View : 1009 Download: 0

중학교 사회·역사과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사회·역사과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History Education Teachers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uthors
배자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middle school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hich was applied to all middle school graders in the 2014 school year starting from first graders in 2012, and to intend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is system, especially through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history education teacher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history education teachers, the significance was attached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according to applying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to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exposed the positive perceptions in the part of changes from relatively sensitive school atmosphere about rank order to the education without line-up and from teacher's- to student's position of the perspective on the evaluation. While rejecting the evaluation for discrimination, followed by the class and examination question with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extended to positive parts including making the students to have confidence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and facilitating learning motivation, but also it caused the aspects of a confusion due to not figuring out the relative positions of students themselves. Furthermore, the common characteristic was that the reconstitution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provided by the national levels into the appropriate one for each school's reality was progressing at relatively low level.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aspect that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being introduced from 2014 provided a sense of unity centering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hereas there were the teachers feeling the national requirement for an essential part of teaching as pressure, as we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chievement standards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teachers showed the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class focu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brought the change of teaching practice being able to learn the carefully selected important ones different from progress-oriented comprehensive class teaching everything in the past. This allowed the teachers to have room for the teaching practice and flexi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le such teaching practice provided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focusing on fundamental and important basic contents, it also had the limitations being not connected to the in-depth study of important contents. The additional discussions about how to accommodate the high rank students' demand for deep and comprehensive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required. The introduc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has brought the change to make the teachers focus on whether the students reach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evaluation domain. As the teachers were feeling strong accountability for the evaluation results, which was related to the circumstances being determined by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A-B-C-D-E) as a reaching degre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subject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Especially, as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high ratio of E graders means the ratio of students not reach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high,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the teacher's class and evaluation failed, consequently the evaluation practice of social studies teachers under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focused on reducing the number of E grades. The generous evaluation scores in addition to easier practice has caused concern that the evaluation scores might be upward standardized regardless student's actual performance. The entrance system into a higher school under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has brought about the confusion of entrance examination guid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 which is students not knowing their relative positions. Th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 sugges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changes are required to be able to get agreements and supports of many teachers in the process of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selection being introduced from 2014. Second, the perception changes are demanded to strengthen the accountability for the evaluation results by teaching and learning being able to focus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chievement levels with the class of internal stability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the interest in E grade ratio itself among the students' ratios by achievement level and the restrictions of education offices' level. Third, it is the introduction of flexibility relieving the operational rigidity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The arrangement in city-and province education offices' levels is required to give the autonomy to teachers for the evaluation to be able to have flexibility for the yearly plan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of which rigidity caused difficulties for the teachers and was pleaded by them in the past. Fourth, the reinforcement of connectivity between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entrance system into a higher school is demanded. Finally, as for the external supports being required to operate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ith internal stability, the most collected part of teachers' opinions was about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tasks. When the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changed evaluation system is added to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 and evaluation with internal stability will be possible.;글로벌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는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된 능력과 소질을 발현하여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재 육성의 필요성은 창의적인 학교교육의 실현이라는 과제를 낳았고, 학교가 자율적으로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었다. 이에 대한 평가제도의 대응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2011.12.13.)을 발표하였고 그 핵심 내용이 창의·인성 수업모델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성취평가제의 도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2학년도 1학년을 시작으로 2014학년도에는 전 학년에 적용된 중학교 성취평가제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중학교 사회·역사과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과 실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사회·역사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성취평가제를 경험하고 있는 중학교 사회교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단위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성취평가제의 중학교 사회과 적용에 따른 변화 모습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중학교에 재직 중인 사회·역사과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심층 면담은 대면 면접을 통한 심층 면담과 전화 면담 방법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인터뷰는 녹취하여 녹음 내용을 한 명당 A4 15장∼45장 분량으로 전사하였다. 전사한 녹음 내용, 즉 연구 참여자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현장 일지에 기록된 연구 참여자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내용은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한 코딩 작업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는 근거이론에 토대한 분석 방법으로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가 계속적으로 자료를 비교하면서 무엇이 중요한지 인식하고 이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개인적 자질인 이론적 민감성을 가지고 지속적인 비교방법, 메모, 코딩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비교방법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나가는 과정에서 추출해낸 개념들을 이전에 나온 개념들과 계속 비교해가면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찾아내고 범주화해 나가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은 계속해서 되풀이되었다. 연구결과, 인터뷰에 참여했던 대다수의 교사들은 상대적 서열에 민감하던 학교 현장의 분위기가 줄 세우지 않는 교육으로, 평가에 대한 관점이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의 입장으로 변화된 부분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변별에 목적을 둔 평가를 지양하게 되면서 성취기준에 입각한 수업과 평가문항 출제로 이어져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 교과에 대한 자신감, 재미를 갖게 하고 학습 동기부여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부분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학생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한 혼란을 야기하는 측면도 가지고 있었다. 국가수준에서 제공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학교의 현실에 적합한 것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재구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또한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2014년부터 도입된 핵심성취기준이 사회과 교육의 중심을 잡아주는 통일감을 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꼭 가르쳐야 할 부분에 대한 국가의 요구와 압박으로 느끼는 교사들 또한 존재하고 있었다. 성취기준이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성취기준에 기반한 수업실행을 보여주고 있었다. 성취기준 중심의 수업은 그동안 모든 것을 가르쳐야 한다는 진도 위주의 넓은 수업에서 중요한 것을 정선하여 배울 수 있는 수업 실행의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는 교사로 하여금 수업 실행상의 여유와 교수·학습 방법 적용상의 유연성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수업의 실행은 학생들에게 기초적이고 중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배우게 되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내용의 깊이 있는 공부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기도 하였다. 상위권 학생들의 깊이 있고 넓은 사회과 교육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끌어안을 것인가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중학교 사회과에서의 성취평가제 도입은 평가 영역에 있어서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의 성취기준의 도달 여부에 초점을 두도록 하는 변화를 가지고 왔다. 교사들은 평가 결과에 대한 강한 책무성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로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A-B-C-D-E)이 결정되는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높은 E등급의 비율은 성취기준에 미흡하게 도달한 학생이 비율이 높다는 해석을 가능케 하는 부분으로 이는 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대한 실패로 판단되기에 성취평가제 하에서 사회과 교사들의 평가 실행은 E등급을 줄이는데 초점을 두게 되었다. 쉬어진데다 후한 평가점수의 부여는 학생들이 실제 수행능력과는 상관없이 평가점수가 상향평준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었다. 성취평가제와 고입 진학 지도 면에서는 강한 불협화음이 감지되었는데 학생들이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모르는 성취평가제의 특성으로 인한 입시지도의 혼란은 특히 비평준화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평준화 지역의 특목고 입시 지도에서도 혼란이 야기되었다. 성취평가제 하의 수많은 A등급 학생들은 넘쳐나는 특목고 지원자들로 이어졌고 중학교에서는 쏟아지는 특목고 지원자들을 진학 지도하는 상황을 가져왔다. 이는 유례없이 높은 비율의 지원자들 중에 특히 우수한 학생을 선별해야 하는 고등학교 입장에서도 어려움을 낳았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부터 도입된 핵심성취기준 선정과정에서 많은 교사들의 동의와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운영상의 변화가 필요하다. 교과별 성취기준 중 보다 중요하고 핵심적인 것으로 선정된 핵심성취기준에 대한 의문들이 교사들로부터 제기되었던 바 있다. 선정된 핵심성취기준이 교사들로부터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에 둘 때 의미 있는 배움을 가져오는 교수·학습과정의 실행이 가능해질 것이라 예측된다. 둘째, 성취수준별 학생비율 중 E등급 비율 자체에 대한 관심과 교육청 차원의 제재보다는 성취기준에 근거한 내실 있는 수업 운영으로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높이는데 집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지원으로 평가결과 책무성을 강화해가는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변화가 있을 때 중요한 것이 “깊이 있게” 교사로부터 가르쳐 지고 학생은 이를 배울 수 있는 교수‧학습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성적 부풀리기가 아닌 진정한 학생 배움의 성장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성취평가제 운영상의 경직성을 완화하는 유연성의 도입이다. 경직적인 데서 오는 어려움을 호소하게 만든 연간 교수·학습·평가 계획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에게 평가에 대한 자율권을 줄 수 있는 시·도교육청 차원의 안배가 필요하다. 연간 교수‧학습‧평가계획이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작성될 수 있도록 하는 시기적 조정과 학사일정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는 교수‧학습‧평가계획을 수정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주어질 때 많은 교사들이 유연성을 토대로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권을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하는 제도라는 것에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성취평가제와 진학제도의 연결성 강화가 요구된다. 평준화 지역에서는 특목고 입시와 관련하여 변별되지 않는 성취평가제의 준거 참조 평가적 성격으로 인해 학생들이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모르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로 인한 입시지도의 혼란은 특히 비평준화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성취평가제는 진학에 있어 교과관리에 의한 성적 중심의 입시에서 비교과관리와 면접, 자소서, 다양한 교육활동에 의한 스펙 쌓기의 중요성을 가져왔으며 이 부분에 특화된 사교육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의 끼와 재능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 상에서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공해줄 수 있는 환경조성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성취평가제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필요한 외부의 지원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교사들이 의견을 모은 부분은 행정업무 경감에 대한 것이었다. 이러한 업무 경감이 성취평가제를 실행하는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의 교육적인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성취평가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공감과 지지가 있을 때 뚜렷한 상승작용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대단위 집합 연수로 단순히 새롭게 도입된 제도가 차질 없이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매뉴얼을 안내하는 형식보다는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의 필요성과 취지에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소규모 단위의 연수나 협의체의 시행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행정업무의 경감과 변화한 평가 제도를 긍정하는 교사의 인식이 더해질 때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한 내실 있는 수업의 실행과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