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이송이-
dc.creator이송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을 위하여 발성 및 노래 부르기 중심의 음악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상의 호흡기능, 음성적 수준, 삶의 질의 변화를 조사한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2개의 병원에 입원중인 대상으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지 1개월 이상, 만 40세 이상, MMSE-K 17점 이상, GDS-K 10점 이하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었다. 중재기간은 2015년 4월 9일부터 2015년 5월 25일까지 총 8~12회기 중재 프로그램을 각 환자에게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호흡기능은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지표인 FVC, FEV1, PEF로 사정하였고, 음성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PT, Intensity, Pitch, Jitter, Shimmer, NHR을 측정하였고, 삶의 질의 변화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발성 및 노래 부르기 중심으로 구성된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이며 내용은 자세 고정 및 긴장 이완을 위한 호흡근 훈련, 패턴화 된 호흡 훈련, 발성 훈련, 노래 부르기의 총 4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호흡양의 증가와 호흡조절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뇌졸중 환자에게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치료적 음악 중재를 시행한 결과, 호흡기능, 음성적 수준, 삶의 질 점수 모두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호흡기능 지표 중에서는 FVC, FEV1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음성적 수준에서는 강도를 제외한 모든 수준에서 향상된 수치가 나타났으며 특히 Pitch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삶의 질 점수 또한 사전-사후 점수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호흡근의 강화와 호흡 수행을 지지 및 유지하기 위한 음악적 요소의 체계적 활용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중재프로그램이 호흡기능의 향상뿐만 아닌 음성적 수준과 심리정서적인 삶의 질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발성 및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및 음성적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과 더불어 삶의 질까지 개선할 수 있는 중재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와 근거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focusing vocalization and singing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vocal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t two hospitals in Seoul. Five patients with stroke aged 45 to 7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received a total of twelve 30-minute individual sessions two or three times a week. Music intervention focusing on vocalization and singing comprised in four steps: (1) the sequence of warming-up, exercises to strengthen respiratory muscles, (2) patterned breathing, (3) vocalization and (4) singing. For these exercises and singing tasks, rhythmic and melodic patterns constructed and were applied in order to provide temporal, spatial, and force cues for target movements. Singing was designed to integrate elements necessary for respiratory control which were trained in previous steps. Assessment was conducted at pre, mid, and posttest.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₁) and peak expiratory flow (PEF) were measured via a spirometer. Voice parameters including maximum phonation time (MPT), average intensity (dB), pitch (Hz), jitter, shimmer, noise to harmonics ratio(NHR), and average intensity and pitch during singing were also measured via the Praat voice analysis program.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BREF) was scored to assess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improvement in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voice parameters and increases in the quality of life scores. Particular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the average pitch during phonating and the quality of life scores. These results indicate respiration-specific intensive training and the systematic use of patterned musical stimulus effectively facilitates the respiratory control. It is notable that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not only in the respiratory function but also in the quality of vo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intervention focusing on vocalization and singing w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address the issues with regard to respiratory function, voice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ffected at post-strok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뇌졸중 8 1. 뇌졸중의 개념 및 정의 8 2. 뇌졸중 환자의 특성 8 3.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10 B. 호흡 기능 12 1. 호흡 12 2. 뇌졸중 환자의 호흡 13 3. 호흡 재활 15 C. 음악과 호흡 17 1. 음악과 호흡 기능 17 2. 노래 부르기 17 3. 노래 부르기와 호흡 18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도구 22 1. 대상자 선정 도구 22 2. 연구 도구 23 C. 연구 설계 및 절차 26 1. 연구 기간 및 장소 26 2. 연구 설계 26 3. 연구 절차 34 D. 자료 분석 방법 35 Ⅳ. 결과 및 논의 36 A. 연구 결과 36 1. 연구 대상자 특징 36 2. 항목별 검사 결과 38 B. 논의 43 Ⅴ. 결론 및 제언 46 A. 결론 46 B.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9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37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발성 및 노래 부르기 중심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Focusing on Vocalization and Singing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dc.creator.othernameLee, Song Yi-
dc.format.pagev, 67 p.-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contributor.examiner배민정-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