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75세 이상 일반 및 독거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의 혜택과 삶의 질 관계

Title
75세 이상 일반 및 독거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의 혜택과 삶의 질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ged 75 years and older
Authors
한수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75세 이상 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 혜택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노인기관 이용자 중 연구내용에 대한 내용을 듣고 참여 동의한 자 중 신체, 인지적으로 건강한 75세 이상 노인으로, 총 231명의 노인이 참여하였다. 사용된 연구 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와 삶의 질 검사(이형석 외, 2003)이며, 설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래부르기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어, 노래부르기 경험의 유무와 노래 활동 참여 후 지각된 혜택에 대해 질문하였다. 조사 결과, 저소득층 독거노인 141명과 일반노인 90명이 응답하였다. 노래부르기 선호와 관련된 문항에서는 응답한 노인의 대다수가 노래부르기 활동을 선호하며(일반노인81.1%, 독거노인 60.3%) 특히 가요 부르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노래부르기 내용면에서는 일반노인 집단이 노래 교육 경험자가 많으며 일상에서 노래를 비교적 많이 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부르기 형태를 살펴보면 일반노인이 독거노인에 비해 타인과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혜택의 경우 응답한 노인 모두 경험과 무관하게 정서적 측면의 혜택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경험한 혜택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래부르기 혜택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일반노인은 건강관련 문항에서(p< .001), 독거노인은 사회 관련 문항에서(p< .01) 유의한 상관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노래부르기가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으며, 생활수준에 따라 혜택을 지각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고령노인과 건강노인을 위한 음악활동을 계획할 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실제 노래부르기 활동을 참여한 후 노인의 삶의 질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ged 75 years and older. A total of 231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lder adults living alone with low household income (n = 141) and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n = 90). Each participant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general perception of the benefits from singing and experienced benefits after singing. Also, the Quality of Life scor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o prefer singing in general and the most preferred genre was popular song. The amount and type of involvement in singing-related experiences was found to differ between the two subgroups of older adults living with and without others.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were found to receive music education and participated in singing in their daily lives more than older adults living alone. Also, while higher frequency of singing with others was reported in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older adults living along was found to engage more in singing alone than in singing with others. With regard to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respondents were found to perceive that the emotional aspect of singing was beneficial for them the greate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experienced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perceived social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was found and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health-related benefits and the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This study supports the potential benefits of incorporating singing as an active musical engagement into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expanding the research areas that has been extensively based on listening-based intervention. Also, it presents clinical implication for how singing intervention w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pport this population to better cope with their life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