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우민희-
dc.creator우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43-
dc.description.abstractThe prejudice that living alone is miserable, lonely, tragic, and incomplete has existed for a long time. However, one-person household composing, one fourth of all housing types is neither special issue any more, nor accepted negatively in the society. These days, single-person household is regarded as independent and enjoyable way of life rather than sacrificing oneself for their family. While single-person household of old age is still seen as lonely, dismal, and incomplete, one-person household of young aged people reflects the opposite image. Does this image of young single person household match their actual living standard? The main difference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erson household is the leisure time. members of a multi-person household spend considerable amount of leisure time together at home. However, the member of one-person household will look for other ways and spend their spare time without other family members. For this reason, we can presume the member of a single-person household puts more value in their leisure.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ir leisure and the family value structure of the young one-person household group to compare between their factual living standard and wide-spread social perception towards them. The thesis researched young aged popul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ranges from 20 to 39 years old.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more the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ng adult is actively engaged in leisure and puts more value in being independent from other family members compared to individuals of multiple-person household and to the older one-person household, the thesis utiliz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 quantitative data include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awareness of social rel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which is extracted from both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le-person household with the same ratio. A great number of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ly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to discover their various trait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limitation, to configure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household types. Therefore, the data from the survey above are regarded appropriate to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household types. In the analysis,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th is evaluated by two criteria, generation and types of household, in terms of their leisure and value structure of family. Secondly, the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members between 20 to 39 years old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m in depth. They were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life and lived in Seoul or near capital area. There are different leisure activities between generations within single-person household, but the difference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le-person household does not appear. Within one-person households, young generation has shown to engage most in leisure activities related to computer. Compared to that, middle and old generations have shown to enjoy leisure activities with mass media. The young generation, however, did not show a great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household. From the interview, the young age one person household has been categorized the way of leisure into 3 types: rest, self-improvement, and friendship. Furthermore, young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 were not enjoying specific activity but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are spending time in house, without family members nor without any distraction from them. In other words, young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 do not enjoy the leisure with something they intensely wanted. The result of value structure of family is similar as well. The youth in single-person household has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of family compared to older generation. The young generation, however,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in family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usehold. Nevertheless, they showed only difference with regard to ‘attitude toward the single 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interviews, although the youth in single-person household showed satisfaction since they do not live with their whole family, they feel making a new family with marriage as a necessary task and duty in their life-cycle . Thus, it is not the youth in single-person household that have different attitude toward normal family, but it is multiple-person household that are making prejudice toward single person household. In conclusion, while the young gener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tion in terms of leisure and family values, they showed similar aspects of multiple household group. It indicates that the young gener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 showed leisure and family values which are derived from generation characteristics not from the household type. The reason why prejudices regarding single person household exist can be explained with normal family ideology. Normal family ideology which is powerful in our society created a stigma that single person household is abnormal. Since single person household is not the part of normative family, they seem abnormal and erratic regardless of real lifestyle and empirical facts of theirs. In this sense, various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to increase single person household such as personalization,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urbanizati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sion of life cycle are regarded as their characteristics. Of course, it is still a significant change that people happen to have wide perspective toward single person household from losers to trendsetter. However, prejudice and distorted attitude toward specific groups cannot let us view them properly, and it would lead to the results of isolating individual who cannot help making a limited choice by social reasoning. At the same time, prejudice toward young aged single person household should be the matter of concern continuously since they are the product of social mechanism. Therefore, the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prejudice toward young aged single person household is the product of normal family ideology.;혼자 사는 삶은 비참하고 외롭고 비극적이며 불완전하다는 생각은 오랜 세월 존재해 온 대표적인 편견이었다. 하지만 전체 가구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일인가구는 더 이상 특별한 대상이 아니며, 일인가구에 대한 인식 역시 부정적 이미지에 머물러 있지 않다. 오늘날 일인가구는 자유롭고, 가족을 위해 희생하기보다는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즐기는 이미지로 극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여전히 노년 일인가구에게는 외롭고, 쓸쓸하며, 연약한 이미지가 덧씌워지는 것과 달리 청년 일인가구는 그와 정반대의 이미지가 입혀지게 된 것이다. 실제로 청년 일인가구는 우리 사회가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일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차이점은 가족이 존재하지 않는 집에서 노동 외 시간을 보내는 것이므로 일인가구의 실제 삶이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만큼이나 새롭다면, 그들의 여가를 보내는 방식과 가족에 대한 생각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여가와 가족 관련 가치관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청년세대 일인가구에 대한 인식과 현실이 얼마나 일치하는가 그리고 사실과 사회적 시선이 일치하는 혹은 일치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단독 가구이다. 청년세대 일인가구가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유롭고, 적극적인 여가생활을 하고 있으며, 가족을 위한 희생 대신 자신을 위해 살고 있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모두 활용하였다. 양적 자료는 일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율을 1:1로 유의할당 추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자료를 이용했다. 선행 연구의 자료 대부분이 일인가구만을 대상으로 수집되어 일인가구 내 다양한 특성을 밝히는 데는 유용하였지만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그들의 실질적 차이를 밝히기 어려웠음을 고려할 때, 이 자료는 일인가구의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기에 적절하여 선택되었다.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세대와 가구 형태를 두 축으로 여가와 가족가치관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분석된다. 먼저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같은 일인가구일지라도 중장년 세대 및 노년 세대와 비교해 다른 여가 행태 및 가족 가치관을 보이는가 알아본다. 다음으로는 청년세대라는 동일한 연령에 해당하는 다인가구와 일인가구를 비교한다. 그리고 각각의 통계적 결과 관련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행동 및 의식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9세의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세대 일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1:1 인터뷰 자료를 추가하였다. 우선 여가활동의 경우 일인가구 내에서 세대 간 차이는 나타났으나, 청년세대 내에서 일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인가구 내에서 청년세대는 인터넷을 비롯한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고 있었고, 중장년세대 및 노년세대는 대중매체 관련 여가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청년세대는 가구형태에 따라 여가활동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터뷰에서 청년세대 일인가구에게 여가가 의미화되는 방식은 크게 휴식, 자기계발, 친교관계로 요약되었다. 더불어 여가시간의 측면에서 일인가구 청년들은 가족과 함께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만족스러워할 뿐, 온전히 자기 중심적인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으므로 하고 싶었던 특정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청년세대 일인가구가 자신의 기호와 취향을 확실히 표현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여가를 보내고 있지 않았다. 가족 가치관 역시 여가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다른 세대 일인가구와 가족 가치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청년세대 일인가구와 다인가구는 ‘일인가구에 대한 태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나머지 가족 관련 가치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터뷰에서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원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것에 대해 매우 만족스러움을 느끼고 있었지만 결혼을 통해 새 가정을 꾸리는 것은 생애주기적 과업이라고 생각하는 다소 상충되는 가정에 대한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즉,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가족에 대한 태도가 다인가구 청년과 다르지 않았으나 다인가구는 일인가구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와 가족가치관은 세대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다인가구 청년과는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가구형태가 아닌 세대 특성으로부터 비롯된 여가와 가족가치관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인가구라는 이유로 청년세대에게 편견이 생기는 이유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강력한 우리 사회는 규범적 가족에 해당하지 않는 일인가구는 비정상적이라는 낙인을 찍어 그들의 실제 라이프스타일이나 가치관에 대한 경험적 사실과 상관없이 일인가구를 비정상적으로 바라본다. 이 때, 그들의 발생 배경인 개인화, 여성 지위 향상, 도시화, 통신기술의 발달, 생활주기의 확장 등을 곧 그들의 특징인양 여기게 된 것이다. 물론, 일인가구에 대한 시각이 낙오자에서 트렌드세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갖게 된 것은 분명 진일보한 변화이다. 하지만 특정 집단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편향된 시각은 그들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없게 만들어 사실상 경제 및 사회구조적 논리에 의해 제한적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개인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동시에 청년세대 일인가구를 둘러싼 편견은 그것을 만들어내는 특정 사회적 기제의 산물이므로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청년세대 일인가구를 둘러싼 편견은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의 산물임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B.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A. 일인가구 6 1. 일인가구의 증가 6 2. 일인가구의 내부 다양성 8 3. 청년세대 일인가구:‘궁상맞은 독신’에서 ‘화려한 싱글’로 12 B. 여가의 사회적 의미와 개인적 의미 14 1. 여가의 사회학적 의미 14 2. 한국사회의 대중여가시대: 가족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17 3.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 20 C. 다인가구 구성원으로서의 개인과 일인가구로서의 개인 23 1.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23 2.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가족 26 Ⅲ.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29 A. 연구문제 29 B. 연구 대상 및 연구 분석 방법 31 1. 양적 자료 31 2. 질적 자료 39 Ⅳ.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 활동 42 A. 일인가구 내 세대별 여가활동 43 1. 평일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43 2. 휴일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47 B. 청년세대 내 가구 형태별 여가활동 52 1. 평일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52 2. 휴일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56 C. 여가의 의미 및 중요도 60 1. 여가활동의 의미 60 2. 여가시간의 의미 67 Ⅴ.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가족 가치관 71 A. 일인가구 내 세대별 가족 가치관 74 B. 청년세대 내 가구 형태별 가족 가치관 75 C. 향후 일인가구 유지 의향 76 Ⅵ. 요약 및 결론 82 참고문헌 85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09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정상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일인가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가 활동과 가족 가치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Boundary of Normality : Focusing on the Leisure Activity and Family Values-
dc.creator.othernameWoo, Min Hee-
dc.format.pagevi, 94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선-
dc.contributor.examiner김민지-
dc.contributor.examiner최샛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