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가정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ost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 th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uthors
고승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rearing attitudes of foster parents caused by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foster children. To conduct this study, material was analyzed from a panel study: Foster care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1, 2 from Aug. 2006 to June 2009 in seventeen city local foster care center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new foster children between the age of 6-17 and their foster parents. 118 paired data was analyzed. There are four sub factors; withdrawing, depression/anxiety, delinquency, and aggression in fost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measured four sub factors; affection-hatred, autonomy-control, fulfillment-unfulfillment and rationality-irrationality in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dditional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ster care children and foster par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measured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th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s main variables. Lastly, multiple linear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 th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pparent that foste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o affect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Foste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ffect the autonomy of sub factors in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get worse, foster parents’ autonomy rearing attitudes gets more stronger.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foster care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o affect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Foster care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ffect the control in sub factors in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Delinquency, one of the sub factors of externalizing, also affects control. When a child’s delinquency gets worse, foster parents’ control gets more enforced. Mor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that focus on parents’ effect on foster car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caused by th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Those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children’s effect on the foster parent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child effects. Second,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e results by only one side presumptions or thoughts of the parents or children. In this thesis, accuracy of measurement and objectiveness are increased by analyzing real reports about foster care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directly from themselves. Third, the majority of prior child effect studies suggest the results are related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owever here,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oth the parent effect and child effect to better understand th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oreover,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both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a basi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by analyzing real child effects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followings are practical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an improved intervention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child effect is needed for foster care service intervention implementation.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confirmed that one party intervention was not effective. Most intervention has been based on foster care parents’ education or foster care parents’ self-help meetings. In the future, we need to focus on intervention in both foster parent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example, the existence and level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an be evaluated and applied to the intervention plan through child screening before foster child placement. Pre-foster parents’ education can include child effect content and through this foster parents can better manage child effects more properly after placement. This also re-enforces the foster parents’ ability to access related service early when it is necessary. Periodical monitoring can also be done after the placement of the child. This monitoring makes in time service possible and can be accomplished through child counseling, treatment service, family service, parents education, support group activities, and stress management etc. Second, more aggressive intervention methods are provided i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especially delinquency, enforces control. In general, control has negative connotation as opposite of autonomy attitude. However in this study, we used it as a positive connotation of aggressive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Nevertheless, control in the big picture has a negative rearing attitudes and proper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families exhibiting such problems. Fo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tervention has been relatively active but not for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re are many reasons not to have active intervention such as problems not reported to the foster care family support centers, absence of intervention methods, not enough man power, etc. Realistic concerns and investments are necessary when you confirm that there is a negative child effect.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monitoring system to detect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early stage, to enforce supervising cases and to plan and verify the process for practical intervention service. Additionally, if necessary, join other expert groups and make cooperation systems to develop professional treatment services and other various services. Third, supplementary intervention methods have to be prepared fo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ur study results show that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crease foster parents’ rearing attitudes positively. It is desirable to have positive rearing attitudes by child effect. But following mutual relations have to be considere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o not reveal themselves easily compared to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y accumulate for long periods of time and are expressed as problem behaviors. Furthermore agencies need to participate as a service instead of foster parents’ intuition and ability. We need to design specific parental education and develop specialized case management methods in relation to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at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s of time. Whe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ccur, we need to be able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can not depend sorely on foster parents intuition or ability. There is no proof, domestic-wise, that positive rearing attitudes can last under continuous effect. Also,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crease negative rearing attitudes in foreign studies. As children’s problems are prolonge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an be externalizing.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s to have more aggressive services for interventi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re hard to recognize so we should consider parents’ education or enforcing case management for early detection and other more various monitoring channels, such as day care centers and schools who are trained to identify such issues. This has to be done in conjunction with setting up cooperation systems with other professional groups, using their expertise to develop their useful services. Fourth, aggressive consideration for the child effect in service intervention is needed. As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o have enough investment in manpower, material, and time for intervention of service, such as active monitoring, enforced management, enforced parental education, developing services and intervention, and community cooperation. Once child effect occurs and generates negative effects, children and their foster family’s stability is under the influence and it can cause the termination of foster care. A stable foster caring environment is critical, so that the investment of proper and sufficient intervention has to be accomplish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6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국 17개 시도지역가정위탁지원센터에서 조사된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에 대한 패널연구(위탁아동패널연구)1기」의 1, 2차회기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6세부터 17세까지 신규위탁아동과 그들의 위탁부모였으며, 118개의 쌍체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가정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는 위축,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의 네가지 하위영역으로, 위탁부모의 양육태도는 애정-적대차원, 자율-통제차원, 성취-비성취차원, 합리-비합리차원의 네가지 하위영역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인 가정위탁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위탁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변수인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 양육태도에 대한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가정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아동의 내면화문제는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아동의 내면화문제는 위탁부모 양육태도 하위 영역 중 자율차원에 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아동의 내면화문제가 커질수록 위탁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아동의 외현화문제는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아동의 외현화문제는 위탁부모 양육태도 하위 영역 중 자율차원에, 외현화문제 하위 영역 중 비행 역시 자율차원에 대해 부정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초기 사정 시점의 스크리닝 작업과 이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이러한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는 많은 경우 아동의 친가정 경험을 통해 형성되고, 더불어 친가정으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위탁가정 배치됨에 따른 심리적 어려움을 겪으며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한 바 있다. 궁극적으로는 아동 배치 전단계에서 아동스크리닝을 통해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의 정도에 대해 확인하고 사례개입계획 반영 및 아동의 상태에 적절한 위탁가정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관차원에서는 아동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며, 아동이 위탁 배치 된 이후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을 위해 위탁부모, 아동, 기관 그리고 필요한 타 전문가들과의 협조 체계가 구축되어지고, 각각의 역할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내면화문제의 경우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만큼 부모교육을 통해 이에 대한 위탁부모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겠고, 어린이집, 학교 등 보다 다양한 채널의 도움을 받는 등 아동의 행동문제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가정위탁 초기 진입하는 모든 대상 아동에 대한 스크리닝을 실시하는 등의 정책적, 환경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위탁아동에 대한 개입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는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과 이에 대한 제어 어려움이 위탁양육을 곤란하게 만드는 주요 위험요인이라는 조사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모나 아동 한쪽만을 대상으로 한 개입은 효과가 크지 않으며, 아동효과, 즉 아동의 부모에 대한 영향을 보다 충분히 고려한 아동과 부모 양쪽에 관여된 개선된 개입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위탁과정에서 아동의 연령과 상황에 맞게 위탁경위를 이해시켜 준비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며,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친구와의 지속적이고도 깊은 관계 유지할 수 있도록 관계형성기술 습득, 소속감 갈등과 행동적 문제에 대한 개입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위탁아동 개입에 있어서는 다학제간의 협력적 접근이 강조된다. 위탁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위탁부모와의 좋은 관계, 학업적 성취 등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탁부모와 학교 교사 등과의 협업이 좋은 성과를 예측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위탁부모에 대한 지원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가 있는 아동을 양육하고, 아동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는 사람은 위탁부모이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은 부모교육의 보완·강화이다. 예비위탁부모교육 과정에서는 아동효과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특화된 위탁부모보수교육을 통해 위탁부모 스스로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영향에 대한 자기인식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위탁부모 역할 명확화 역시 위탁부모의 소진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스트레스관리, 소진예방프로그램과 같은 서비스 개입이 필요할 것이며, 아동에 대한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 역시 위탁부모들에게는 힘이 될 수 있다. 넷째, 전문위탁가정 개발이 필요하겠다. 위탁아동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를 증가시켜 아동의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심각한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를 가진 아동의 경우 기본적인 부모교육이나 서비스만으로는 위탁부모가 쉽게 소진될 수 있다. 따라서 학대로 인한 외상을 갖고 있는 위탁아동들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위탁아동의 문제에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위탁가정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효과의 부정적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개입과 이를 위한 투자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겠다. 새롭게 배치되는 아동 뿐 아니라 이미 배치되어 위탁보호되고 있는 아동들의 아동효과로 인한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 이를 유발시키는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특히 1인당 담당사례수가 현실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추가 배치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즉, 아동의 안정적 보호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인적, 물적, 시간적 투자이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위탁아동이 위탁부모의 양육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아동효과가 실제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가정위탁아동이 보고한 자신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 위탁부모가 보고한 자신의 양육태도를 근거로 분석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측정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외현화문제 뿐 아니라 내면화문제에 있어서도 실제로 아동효과가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위탁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에 대한 양자적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