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Women Who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in Cambodia

Titl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Women Who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in Cambodia
Authors
KEO Chanvuthy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캄보디아는 수십 년간 가정폭력이 만연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렇지만 가정폭력을 겪은 피해 여성들이 자살과 정신질환까지 유발할 수 있는 우울증을 어떻게 겪어 왔는지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 오지 않았다. 본 연구는 피해 여성의 우울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한 실증을 진행하였다. 세 개의 NGOs (CWCC, LICADHO, CCASVA)에서 140명의 피해 여성 사례를 수집하였다. 설명 변수로는 유아기 시절 폭력 당한 경험, 성인으로 성장 후 폭력 당한 경험, 남편의 알코올중독 실태, 사회적 지원 및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전략을 설정하였고, 이 요인들이 우울증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6%에 달하는 다수의 피해 여성들은 적절한 정신건강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우울증을 겪고 있었다. 앞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요인 중 남편의 알코올중독은 피해 여성의 심각한 우울증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²=.355, F=4.228, p<.000). 남편이 알코올중독으로 인해서 건강이 악화되며, 업무 능력이 감퇴되어 가정 내 재정적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가족들은 남편의 알코올중독에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결국 이러한 상황이 가정폭력을 발생시키고 여성들은 이로 인해 우울증을 겪게 된다. 가정폭력에 대한 세 가지 대응 전략 중에서는 정서 중심적 전략(B=-.297, F=4.228, p<.018) 및 회피 지향적 전략(B=.197, F=4.228, p<.043)이 피해 여성의 우울증 유발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하나인 문제 중심적 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피해 여성들이 가정폭력을 해결하기 위해서 남편과 대화를 하는 등 직접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여성들이 이러한 갈등 상황을 참고, 피하는 것이 가정의 화목을 지키기 위하는 것이라는 문화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놀랍게도 사회적 지원과 우울증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게 나타난 이유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전문적인 사회복지 인력 및 재정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피해자들의 회복력과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들의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적 지원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향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피해 여성을 치료할 때 남편의 알코올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복용도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반면, 집단상담은 가정폭력이 사회적 오명이고 문화적 가치에 해를 입힌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The high prevalence of domestic violence has been found several decades in Cambodia. However, only few researches has been done to understand how thos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ve suffered from depression that can lead to mental disability as well as suicides.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depression and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pression of female victims. Quantitative method was used to gather and analyze the data from 140 female victims in three NGOs (CWCC, LICADHO, CCASVA)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he risk factors including violence experienced in childhood, current violence experience in adulthood, alcohol use problem of male partner,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finding, it is found that the majority of female victims interviewed (66%) have suffered from severe depression that needs proper mental health treatment. The study also found that alcohol use problem of male partn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R²=.355, F=4.228, p<.000). This shows that alcohol not only causes the domestic violence but also the depression since it brings about shame, sickness, and the failure of job performance which affect the financial instability of the male partners that majority of their wives have depended on. In addition, among the three coping strategies, only emotion-focused (B=-.297, F=4.228, p<.018) and avoidance oriented (B=.197, F=4.228, p<.043)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This reflects how the victims normally do not want to talk with their male partners in order to deal with domestic violence because it is what culturally prevents in order to keep the family harmony. Surprisingly,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social supports with depression. One of the possible explanations is that social supports mostly are inadequate due to the limite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Therefore, they should be well addressed and improved since the victims’ resilience and those social supports are strongly connected. The study also highlights that treatment for substance abuse also needs to provide to the male partners when social workers provide treatment to the female victims. Moreover, since domestic violence is thought as the source of social stigma and harm to cultural value, group counseling is not quite appropri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