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한성희-
dc.creator한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위기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학교생활적응, 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탄력성이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고 나아가 긍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KCYPS)’의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패널과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010년 1차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으며, 패널 자료의 다문화 청소년 총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탄력성이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부모양육방식, 학교생활적응이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때 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 하에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그리고 일반가정 청소년들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이 낮지 않았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 친구, 교사 등 외부 요인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내적 요인에 관심을 갖고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 탄력성을 주목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탄력성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고, 다시 탄력성은 부모, 교우, 교사 등의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탄력성이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탄력성은 긍정적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부모양육방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탄력성도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모형은 긍정적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보임으로써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경로를 입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긍정적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모델을 입증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원과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강점인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주목하였다는 것이 의의가 있다. 이는 그동안 다문화가족 청소년에 대한 외부적인 지원 위주의 전략에서 탄력성이라는 내적 자원에 관심을 가지고, 청소년이 스스로의 힘으로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변수인 탄력성에 관심을 가지고, 탄력성이 다문화청소년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표본 수가 적으며, 횡단연구로서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표본 수를 확보하고 종단연구를 통해 삶의 만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의 한계로 다문화의 특성을 타나내는 변수를 포함하지 못하였다. 추후에는 다문화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의 양적연구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청소년을 둘러싼 가족, 학교 환경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이후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실제적 상황과 심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질적 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이해 노력을 진행하여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arenting styl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to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The resilience will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n parenting style, school adjustment and satisfying way of lif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for further positive developments in supporting multicultural youth to live a happy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were utilizing the data.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7th grade of Middle School panel Panel in 2010 was a secondary analysis of primary data. Panels were enrolled in a total of 65 people in a multicultural youth resour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justment appeared to affect life satisfaction. Resilience is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While negative parenting style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Also it showed resilience that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ing style. This study model showed resilience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resilience demonstrated the path that acts as a protective facto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was noted in the resilience of the new variable to the multicultural youth. And resilience has been found that it can be used as a new variable that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ir life. The psychosocial support and studies for multicultural youth is not enough. Meanwhile, the internal resources of resilience were interested in the strategies of external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youth.. Multicultural youth demonstrated that they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fe by the power of their ow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is study is the small number of specimens from multicultural youth. And research has limitations as a crossing stud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is study has a limit of analysis by the secondary material. Accordingly, it does not include the many variables that appear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ism. Finally, this study did not reflect the real situation and mentality of multicultural youth in the quantitative study of the self-re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5 Ⅱ. 이론적 배경 6 A.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6 1.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삶의 만족도 6 2. 부모양육방식과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 7 3. 학교생활적응과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 8 B.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탄력성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0 1.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탄력성 10 2. 탄력성과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 14 3.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 탄력성의 매개효과14 Ⅲ. 연구방법 16 A. 분석자료 16 B. 측정도구 17 1. 부모양육방식 17 2. 학교생활적응 18 3. 탄력성 19 4. 삶의 만족도 20 C. 자료분석방법 20 D. 연구모형 22 Ⅳ. 연구결과 23 A. 기술적 분석 2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2. 다문화가정 청소년 부모의 양육방식 24 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25 4.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탄력성 26 5.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 27 B. 연구모형 분석 27 1. 자료 분포의 특성 27 2. 측정모형 분석 31 Ⅴ. 결론 39 A. 연구결과 요약 39 B. 함의 및 제언 43 1. 이론 및 정책적 함의 43 2. 실천적 함의 46 3. 제언 및 한계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7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다문화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justment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dc.creator.othernameHan, Sung Hee-
dc.format.pagev, 61 p.-
dc.contributor.examiner정익중-
dc.contributor.examiner전종설-
dc.contributor.examiner양옥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