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안신혜-
dc.creator안신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1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1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합창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합창활동을 시작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연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합창활동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합창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표현력과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는 포커스 인터뷰와 비참여 관찰을 사용하여 합창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합창부 1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는 합창부 학생들 중에서 학교 정규 수업 외에 음악활동을 1년 이내로 경험해 본 84명의 학생들이었다. 합창활동을 경험하기 이전인 2015년 3월 초에 사전 연구를 하였고, 16차시의 합창활동을 진행한 뒤 사후검사 및 인터뷰가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 사용된 자기표현력 척도는 Rakos와 Schrocder(1980)의 ‘주장 행동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자기표현 평정척도’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고, 하위요인으로 내용, 음성, 신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원호택과 김순화(1985)의 ‘스트레스 요인 척도’와 최해림(1986)의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대응 척도’를 박선희(1991)가 중학생에 맞게 수정·보완한 척도로 사용하였고, 하위요인은 학교생활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자신문제 스트레스, 환경문제 스트레스, 가정생활 스트레스 5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 및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이 사용되었고, 연구 문제에 따라서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설문지 내용은 동일하며 사후검사 이후에 포커스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생들이 합창활동을 통해서 경험한 것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합창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력은 합창활동을 경험하기 이전과 경험한 이후의 결과 값을 대응표본 t-test 실시한 결과 사전과 사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즉 합창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력은 합창활동 이전에 비해 합창활동 이후에 더욱 향상되었다.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소인 내용, 음성, 신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향상 정도는 신체, 음성, 내용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표현력이 가장 높게 향상된 이유는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이 합창활동을 통해서 더욱 구체적인 신체적 자기표현을 원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둘째, 합창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합창활동을 경험하기 이전과 경험한 이후의 결과 값을 대응표본 t-test 실시한 결과 사전과 사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즉 합창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합창활동 이전에 비해 합창활동 이후에 더욱 감소되었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소인 학교생활, 대인관계, 자신문제, 환경문제, 가정생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가정생활, 대인관계, 환경문제, 자신문제, 학교생활 순서대로 스트레스 감소의 폭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실제적으로 학교생활과 대인관계, 자기자신에 대한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었고, 이것은 가정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셋째, 합창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력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합창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스트레스를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남학생은 자기자신 스트레스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합창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스트레스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자기표현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스트레스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합창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표현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합창활동은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 합창활동은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학생들에게 정서적 안정의 효과를 제공하고, 자기표현력을 향상시켜 원활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교육적인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이러한 정보와 자료를 통해서 합창활동의 활성화가 촉진되고, 합창활동에 대한 교육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며 후속 연구에 대해서 시사점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how choral activities affect self-expression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had been done by a mixed study examining the changes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their choral activities. A prior-post examination with a single group was used for quantitative research. Also,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mployed for identifying gender-based differences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of self-expression and stress. A focus interview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84 first-graders of a choir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ose who experienced extracurricular music activities within one year were selected. The prior examination was implemented in March, 2015, which was before the students started their choral activities, and the post examination was implemented after they completed their 16 choral activities. In terms of research tool, ‘self-expression rating scale’(Byeon and Kim, 1980), the translated term of ‘assertive behavior scale’(Rakos & Schroeder, 1980), was applied to measure self-expression. This scale contained sub-factors such as content, voice, and physicalness. Also, the scale by Park Seon Hui(1991), which was the modified ver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tress scale for university studnets’(Choi Hae Rim, 1986) and ‘stress factor measure(Won Ho taek and Kim Sun Hwa, 1985), was utilized to measure stress. This contains sub-factors like school life, personal relations, their own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family life. To analyze dat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 statistic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and a frequency analysis, technological statistics, a credibility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 matched pair sample t-test, a correlation analys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each research problem. The same questionnaire was used for both prior and post examination. After the post examination, we analyzed what the students experienced from choral activities through a focus interview.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in terms of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e matched pair sample t-test with the prior and post value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and post conditions(p<.001).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oral activities showed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compared to their previous conditions.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such as content, voice, and physicalness were all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cause of many chance to express nonverbal factor, physicalness self-expression appeared the most. Also we discovered that students want more physicalness self-expression through choral activities. Second, in terms of stress, the result of the matched pair sample t-test with the prior and post values also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and post conditions(p<.001), which meant the level of stres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oral activities reduced compared with their previous conditions. Sub-factors of stress such as school life, personal relations, their own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family life were all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ctually students felt school life, personal relations, their own problems stress. We could infer it was positive influence of stress decrease. Third, in terms of gender-based self-expression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displayed that boys got higher score than their counterpar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urth, in terms of gender-based stress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displayed that boys got lower score than their counterpar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le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affected by the stress on personal relations, the male counterparts were more affected by the stress on themselves. Fifth,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xpression and stress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self-expression skills the students had, the lower stress they had.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were able to prove that chor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xpression improvement and stress decrease. In other words, choral activities had an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at they coul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tress decrease and a smoother school life through self-expression improvement. It was recommended that choral activities and government supports should be provided, especially for adolesc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합창활동 6 B. 자기표현력 11 C. 스트레스 20 D.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0 A. 연구 대상 30 B. 연구 설계 31 C. 연구 절차 32 D. 연구 도구 37 E.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41 Ⅳ. 연구결과 및 분석 44 A. 기술통계 분석 44 B. 자기표현력 45 C. 스트레스 55 D. 성별에 따른 차이 비교 66 E. 자기표현력과 스트레스의 영향관계 분석 68 Ⅴ. 결론 및 제언 76 참고문헌 80 부록 87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46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합창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horal Activities on Self-expression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Ahn, Shin Hye-
dc.format.pagevii, 109 p.-
dc.contributor.examiner박신화-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신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