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3 Download: 0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Authors
이효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지식기반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진출은 개인은 물론 사회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21세기 한국은 지식정보산업의 발달과 동시에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고학력 여성의 인적자원 활용은 국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여성 노동시장은 결혼, 임신 및 출산, 자녀양육으로 인해 30대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퇴출되었다가 40대에 재진입하는 M자형 구조를 보인다. 특히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은 한번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면 다시 재진입하지 않는 L자형 구조를 보이는데, 이는 한국 여성의 저조한 경제활동참여율과 연관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여러 이슈 중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와 가사 등의 문제로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의 노동공급에 초점을 맞추어,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검토하여 실증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돕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현재 공개되어 있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의 1차년도와 4차년도의 자료를 조작적 정의를 통해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미취학자녀 유무, 자녀보육 대행자 유무, 남편의 가사육아노동 분담 만족도, 아내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도, 남편의 일자리 유무, 여성근로소득을 제외한 가구총소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취학 자녀가 없을수록, 자녀보육 대행자가 있을수록 노동시장 재진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육정책이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중요한 이슈임을 보여준다. 또한 남편의 가사육아노동 분담 만족도와 아내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 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한 남편의 이해와 정서적 지지가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남편의 일자리가 있고, 가구총소득이 적을수록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정적인 영향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밝힌 여러 영향 요인들은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위한 정책 수립에 다양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knowledge-based society, women’s advancement in society is necessary for bo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individual. Korea in the 21st century has entered a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y, and to cope with such social changes, the utilization of highly-educated women human resources of has become a significant issue that should be solved at the national level. The women’s labor market in Korea is the M-shaped structure in that women in their 30s are sacked from the labor market and the women in their 40s reenter, because of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In particular, there is the L-shaped structure in that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do not reenter the labor market after a single withdrawal, and it is so relevant to low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This study reviewed the factors influencing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and examin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who experience the career interruption because of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housework among many issues about the labor supply of wome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widely factors influencing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get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the 1st and 4th open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classified by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fa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ing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First, as key factors influencing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preschool childre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n agent for childcare, the husbands’ satisfaction about the division of household and childcare work, the husbands’ support for wives’ employmen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husbands’ job and the gross household income excepting women earned income appear significant. The detailed results are as below. The nonexistence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existence of an agent for childcare positively influenc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It shows that the childcare policy is an important issue in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Also, as the husbands’ high satisfaction about the division of household and childcare work and the husbands’ high support for wives’ employment positively influenc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husbands’ understanding and emotional support for women’s social activities are necessary parts for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Finally, the existence of the husbands’ job and the low gross household income positively influenc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It is expected that many influence factors that stated in this paper give a variety of implications to policy-making for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