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민식-
dc.contributor.author김예지-
dc.creator김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8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861-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one of the biggest social issues is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Adolescents are likely to use smartphone more excessively than adults; and the addictive use of smartphone has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addition, since the negative effect lasts longer in adolescents than in adults, the issue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our society. As a result, a variety of studies and policies have been underway to address the issue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personal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addictively use smartphone, and proposed that the problematic environment of adolescents be changed or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be treated to solve the addiction issu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process of policy or educational measure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excessive smartphone use, because the psychosocial factors are complicated to define and affected by family environment or genet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also implementing the multi-sided polic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including the announcement of '2015 Initiative to Prevent and Solve Internet (Smartphone) Addiction.’ Nevertheless,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 is not declining.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a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martphone-addictive behavior of adolesc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ime preference, which is an economic term,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polic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tudy views 'smartphone addiction' behavior as a choice behavior. The study predicts that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 is a response for immediate satisfaction and pleasure to the use of smartphone,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possible future costs, and attempts to understand adolescents' smartphone-addictive behavior by connecting the prediction with the economic concept of 'time preference.' In particular,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a lot of demographic and sociocultural aspects in common because they all have the social issue of increasing adolescents' use of smartphone and are geographically close in the same Confucian culture. In addi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countries in the same cultural sphere have similar time preference (Graham, 1981; Henrich et al., 2005; Wang et al., 2011). Thus,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well time preference explains smartphone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ference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who are expected to have similar time prefere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on 409 male and female students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imilar housing environment in the three countries. In order to measure the smartphone addiction score, the study used th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developed by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Center of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tool to measure the time discount rate, the present reorganized the questionnaires used for drug addicts and the control group of ordinary people by Kirby et al. (1999).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time discount rate is an effective variable for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self-control, self-esteem, social support,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level of daily stress, which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were also measu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 educational intervention related to time preference as a method to address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will be a useful resource in reducing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 In addition, the Rewarding Achievement (REACH) program of the US, which gives an immediate reward for academic achievements to reduce the time discount rate of students at schools, suggests that an educational intervention using the time preference theory can be helpful in solving the issue of adolescents' excessive smartphone use. It is expected that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policy measures for time preference to reduce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 need to be conducted and the related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materializ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setting.;최근 사회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다.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은 청소년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이 성인보다 청소년들에게 장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는 미래 우리사회의 인적자원관리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때문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들이 진행되어왔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스마트폰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사회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의 문제 환경을 변화시켜주거나 심리적인 문제를 치료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심리적 요인은 정의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이고 가정환경이나 유전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 특성에 대한 정책 및 교육적 처치의 과정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2015년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등 다각도의 예방·치유 정책을 추진하는 중이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행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경제학적 개념인 시간선호를 도입하여 한중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행위를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치료를 위한 교육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행위를 선택 행위로 봄으로써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청소년들이 미래에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이해보다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즉각적인 만족 및 유희에 반응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이를 경제학적 개념인 ‘시간선호’와 연결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행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 세 국가는 증가하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이 사회적인 이슈인 국가일 뿐만 아니라 같은 유교 문화권 내에 속해있으며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어 인구통계학 및 사회문화적으로 공통된 점이 많다. 또한 여러 선행 연구에서 같은 문화권에 속한 국가들의 시간선호가 비슷함을 입증하였다(Graham, 1981; Henrich et al., 2005; Chen et al., 2005; Wang et al., 2011).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시간선호가 비슷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한중일 세 국가 청소년들의 시간선호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의 관계를 비교해봄으로써 시간선호가 스마트폰 중독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중국, 일본 세 국가의 거주환경이 비슷한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의 409명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점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 중독 대응센터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고 시간할인율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Kirby et al.(1999)가 약물 중독자와 일반인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용했던 설문문항을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시간할인율이 한중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얼마나 유용한 설명 변수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부모양육태도 및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도 함께 측정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시간선호와 관련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는 데 있어 유용한 자원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시간할인율을 낮추기 위해 학업성취에 대한 보상을 즉시 제공하는 미국의 ‘REACH(Rewarding Achievement)’프로그램은 시간선호이론을 적용한 교육적 개입이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는 시간선호의 교육 및 정책적 처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교육적 방안이 구체화되어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선행연구 고찰 6 A. 스마트폰 중독 관련 문헌 검토 6 1. 스마트폰 중독의 정의 및 부정적 영향 6 2.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 11 가. 인구사회학적 요인 11 나. 스마트폰 사용 시간 요인 12 다. 사회심리적 요인 12 3. 중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선행연구 16 B. 중독에 대한 경제학적 해석 19 1. 합리적 중독 19 2. 중독과 시간선호 21 C. 시간선호 이론 22 1. 시간선호와 할인 22 2. 시간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Ⅲ. 연구방법 28 A. 연구의 대상 및 자료수집 28 B. 주요변수 측정 33 1. 인구통계학적 및 스마트폰 관련 변수 33 2. 시간선호 분석 33 3. 스마트폰 중독 검사 척도 35 4. 사회심리적 변수 37 가. 자기통제력 37 나. 자아존중감 38 다. 사회적 지지 38 라. 부모양육태도 39 마. 일상적 스트레스 40 C. 자료분석 방법 4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2 A. 한중일 집단 간 비교 42 B.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1. 인구사회학적 요인 43 2. 스마트폰 관련 요인 47 3. 사회심리적 요인 49 C. 시간선호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53 D. 다중회귀분석 결과 54 Ⅵ. 결론 및 논의 62 참고문헌 66 부록1. 한국 청소년 대상 설문지 76 부록2. 중국 청소년 대상 설문지 85 부록3. 일본 청소년 대상 설문지 93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0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중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행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행동경제학적 접근-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n Korea, China and Japan : a behavioral economics approach-
dc.creator.othernameKim, Ye Ji-
dc.format.pageviii, 107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훈-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민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