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준-
dc.contributor.author이혜영-
dc.creator이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6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606-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제1공화국 시기 검토되었던 ‘이승만 이후’ 구상을 자유당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승만 이후’ 문제는 1950년대 정치를 규정하는 1인 지배와 그것이 갖는 지속성 면에서의 한계가 결합해 발생했다. 더구나 이승만은 집권 당시 이미 70대의 고령이었으므로, 매우 일찍부터 누가 어떤 방식으로 그 이후 정치를 담당할 것인가에 정치세력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승만 이후’ 문제가 처음 표면화된 것은 1952년 부산정치파동 때다. 초대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가는 데다 이승만이 재집권을 위해 헌정질서 파괴행위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승만 제거를 포함해 대안집단의 형성, 정권 교체와 재창출, 후계 구도의 모색 등 ‘이승만 이후’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이 생겨났다. 정권 유지 및 재창출을 담당하는 세력은 자유당이었다. 자유당은 집권 후 이승만이 꾸준히 추진해 온 독자세력 형성 작업의 결과물로, 자유당 성립을 계기로 정계는 여·야로 개편되었다. 또한 이승만 세력이 자유당이라는 단일 조직으로 결집함에 따라 후계 문제가 대두했는데, 처음 ‘후계자’의 지위에 근접한 인물은 이범석이었다. 그는 자유당 부당수로서 이승만의 1인 지배체제 구축에 핵심 역할을 했고, 이미 해체되기는 했지만 족청이라는 그 자신만의 조직 기반을 가졌다. 그러나 이승만은 차기 권력이 등장하는 것을 경계했고 곧 이범석에 대한 견제에 착수했다. 그리고 이범석 세력이 이에 불응해 패권 투쟁에 나서자 1953년 9월 휴전 성립 직후 이들을 제거했다. 이후 자유당은 이승만의 또다른 측근인 이기붕의 지도 아래 들어갔다. 이기붕은 미주 시절 이래 이승만의 충실한 보조자로서 독자적인 정치 기반이 없었고 권력 추구 성향도 별반 강하지 않았다. 때문에 이승만은 당의 관리자로 그를 발탁했고, 이기붕은 1954년 총선을 통해 충원된 관료 출신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도체제를 구축해 나갔했다. 그런데 이렇게 이기붕이 당권을 장악한 결과, 그리고 무엇보다 이승만이 이를 보장함에 따라 자유당 안에서는 이승만–이기붕으로 이어지는 후계 구도가 형성되었다. 물론 이승만이 이기붕을 후계자로 인정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승만–이기붕의 단선적 지배질서의 확립은 이기붕에게 ‘권력 2인자’로서의 위상을 부여했고, 자유당은 이에 기초해 ‘이승만 이후’ 구상을 가다듬었다. 그러나 이는 곧 위기에 부딪쳤다. 1956년 실시된 정부통령선거에서 이기붕이 낙선한 것이다. 자유당은 1954년 헌법을 개정하면서 대통령 유고시 부통령의 대통령 잔여임기 계승권을 삽입했고, 이 선거에서 이기붕을 부통령에 당선시킴으로써 이승만–이기붕의 후계 구도를 법적·제도적으로 확립하려 했다. 그러나 부통령에는 민주당의 장면이 당선되었고 자유당은 언제 정권이 교체될지 모를 상시적 불안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후 자유당은 이기붕 중심의 지도체제를 재정비하고, 부통령의 ‘계승권’ 문제 해결을 위해 개헌 공작에 착수했다. 헌법의 부통령직을 삭제하고 1954년 개헌 당시 폐지한 국무총리제를 부활시키려 한 것이다. 그리고 정책·조직·선전 등 제 분야에서의 ‘혁신’ 작업에 나서는 한편, 의회 운영 및 대야관계에 있어서는 타협적 방식을 모색했다. 하지만 개헌 공작은 성공하지 못했고, 야당 세력의 성장 앞에 자유당은 강·온파로 분열했다. 그리고 정권 재창출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1958년 12월 국가보안법 파동을 일으켰다. 자유당이 폭력적 방식으로 국가보안법과 지방자치법을 개정한 것은 1960년 정부통령선거에서 승리를 보장받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는 결국 이기붕 지도체제가 한계에 봉착했음을 뜻했다. 24파동 후 자유당은 그 수습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보다 근본적인 당 ‘개조’ 문제를 검토했다. 방향은 내각책임제 개헌을 매개로 한 민주당 구파와의 합동이었다. 즉 조병옥 세력을 끌어들여 이기붕 체제를 보완하고, 병약한 이기붕을 대신해 조병옥을 새로운 후계자로 내세우려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도 이승만의 반대와 민주당 내부의 갈등 격화로 성공하지 못했다. 이로써 자유당은 당 ‘개조’ 및 새로운 후계 구도 마련에 실패하고, 1960년 정부통령선거에서 대대적인 부정행위를 자행했다. 그리고 이는 대규모의 민중 저항을 불러일으켜 결국 이승만 정권의 붕괴로 이어졌다. 자유당 또한 7·29 총선과 제2공화국 출범으로 이어지는 정계 개편 과정에서 해체·소멸의 길을 밟았다. 그러나 그에 앞서 자유·민주 양당의 협력 아래 내각책임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제2공화국 출범 후 민주당 신구파가 여·야로 분열한 것은 1950년대 말 정계 일각에서 검토한 ‘이승만 이후’ 구상의 또다른 실현태였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explored the political plan of ‘post-Rhee Syngman’ examined in the period of the First Republic centered on the Liberal Party. The problems of ‘post-Rhee Syngman’ occurred as the limitations of the dictatorship defining the politics of the 1950s and the continuity that it implicated. In particular, Rhee Syngman already attained an advanced age of 70 while in office. Thus, the question on the subject and way of managing the politics after him was concerned by all political powers. The problems of ‘post-Rhee Syngman’ became obvious at the time of the political upheaval in Busan in 1952 for the first time. This is because the questions of regime change emerged as the presidential term of the first president came to end, and Rhee Syngman violated the constitutional order for his re-ruling. Therefore, a lot of problems related to ‘post-Rhee Syngma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lternative powers, the change and re-creation of regime, the investigation on the succession of leadership occurred including the elimination of Rhee Syngman. The Liberal Party took charge of the maintenance and succession of Rhee Syngman leadership. The Liberal Party was a yield of constructing separate power that Rhee Syngman continuously promoted after his ruling. The power coalition structure at the time of the government establishment was disassembl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Liberal Party. In addition, the leadership attempting power coalition with Rhee Syngma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oalition cabinet 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parliamentary system became the opposite par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problems of creating the leadership succession occurred as the leadership of Rhee Syngman united into a single organization called the Liberal Party. Yi Beom-seok was the first man who reached the position of ‘successor’ for the first time. As a vice present of the Liberal Party, he took an essential role to construct the dictatorship of Rhee Syngman. He had his own organizational foundation called the National Youth Corps(NYC) even it was already dismantled. However, Rhee Syngman kept strict watch on the emergence of the next leadership, so he made moderation in Yi Beom-seok. Then, he eliminated him and his followers when they started a fight for superiority,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easefire on September, 1953. Afterwards, the Liberal Party was placed under the leadership of Yi Ki-bung, another close associate of Rhee Syngman. Yi Ki-bung was a royal assistant of Rhee Syngman since his days in the United States, who had little political foundation and did not have strong aspiration for political power. Therefore, Rhee Syngman selected him as a manager of the party, and Yi Ki-bung constructed a new leadership system based on the administrative staffs from the general election in 1954. As the result of Yi Ki-bung’s ruling within the party and Rhee Syngman’s protection, the succession structure of Rhee Syngman–Yi Ki-bung was prepared. Although Rhee Syngman did not obviously admit him as his successor, the establishment of monolithic domination order of Rhee Syngman–Yi Ki-bung gave Yi Ki-bung the authority of ‘the second person of the power’, which made the Liberal Party elaborate the plan of ‘post-Rhee Syngman’ Nevertheless, this plan faced a crisis soon. Yi Ki-bung could not be elected for president and vice-president in 1956. The Liberal Party inserted the vice-present’s succession right of the remained term in the case of president’s death when revising the Constitution in 1954, and it tried to establish the succession system of Rhee Syngman-Yi Ki-bung in legal and institutional way by making Yi Ki-bung elected as a vice-president in the election. However, Chang Myeon in the Democratic Party was elected as a vice-present, and the Liberal Party was placed in the unstable circumstance of regime change. Afterwards, the Liberal Party reorganized the leadership system centered on Yi Ki-bung and started a maneuver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solving the problems on vice-president’s ‘succession right’. It attempted to delete the position of vice-president in the Constitution and to revive prime minister system which had been abolished at the tim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54. In addition, the Liberal Party attempted to ‘renovate’ overall sectors including policy, organization, propaganda as well as to explore the parliamentary management of temporization. However, the attempt of constitutional amendment did not succeed, and the Liberal Party was divided into hard faction and soft faction when facing the growth of the opposite party. As the sense of crisis for the regime re-creation arose, the upheaval on the National Security Law occurred on December, 1958.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Local Government Law in violent way intended to guarantee the victory in the election for president and vice-president in 1960. Nevertheless, it implicated that the leadership system of Yi Ki-bung eventually reached its limit. After 24 upheaval, the Liberal Party investigated the probation method and examined the fundamental ‘reform’ of the party. The direction was the coalition with the old group in the Democratic Party through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parliamentary system. In other words, the Liberal Party attempted to supplement the leadership of Yi Ki-bung by attracting Cho Byeong-ok and appointed him as new successor instead of weak Yi Ki-bung. However, this strategy also did not succeed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Rhee Syngman and the conflicts within the Democratic Party. The Liberal Party, which failed in preparing the ‘renovation’ of the party and new leadership conducted the broad-scale fraudulent act in the election for president and vice-president in 1960. It brought the popular uprising on a large scale, which led to the collapse of Rhee Syngman regime. The Liberal Party was also de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political reorganization from the 7∙29 general elec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Republic. Prior to this,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parliamentary cabinet was conducted under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Liberal Party and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fact that the old faction and new faction in the Democratic Party was divided into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e par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Republic could be regarded as another realization of the plan of ‘post-Rhee Syngman’ examined in a part of political arena in the late 195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1 2. 연구 내용과 자료 8 Ⅱ. 1948-52년 자유당의 성립과 이승만–이범석의 권력 연합 11 1. 1948-50년 이승만의 독자세력 형성과 정당설립 시도 11 1) 정부수립 후 대한국민당의 창당과 분열 11 2) 민국당의 여당화 전략과 이승만의 대응 17 3) 1950년 5·30 총선 전후 신당운동 재개와 개헌문제 대두 21 2. 1951-52년 자유당 창당과 부산정치파동 34 1) 이승만의 신당 조직 착수와 두 개의 자유당 탄생 34 2) 부산정치파동과 이범석의 부상 53 3) 이승만의 이범석 견제와 자유당 재정비 84 Ⅲ. 1953-56년 자유당 개편과 이승만–이기붕 체제의 성립 94 1. 이승만의 족청계 제거와 이기붕 주도의 당 개편 94 1) 족청계의 당 장악 기도와 족청–非족청 갈등 94 2) 이승만의 족청계 제거 지시와 이기붕 중심의 당 수습·정비 104 2. 이기붕 중심의 자유당 지도체제 형성 117 1) 1954년 5·20 총선과 자유당의 쇄신 구상 117 2) 1954년 ‘사사오입’ 개헌과 자유당 내 갈등 격화 125 3) 개헌 후 당 수습과 이기붕 지도체제의 구축 139 Ⅳ. 1957-58년 이기붕 지도체제의 재정비와 강온파 갈등 146 1. 이기붕 지도체제의 재정비와 혁신 시도 146 1) 이기붕 지도권의 재확립과 기구 개편 146 2) 장면 부통령 암살 시도와 ‘부통령 계승권’ 개헌 공작 153 3) 당 혁신 강화 시도와 타협적 의회 운영의 모색 164 2. 자유당 내 강경파·온건파의 노선 대립 185 1) 1958년 5·2 총선과 당무회 분열 185 2) 강·온파 갈등과 국가보안법 파동 195 Ⅴ. 1959-60년 새로운 후계구도 모색과 자유당의 몰락 214 1. 이승만–조병옥 후계구도의 모색과 내각책임제 개헌론 214 2. 1960년 3·15 부정선거와 자유당의 몰락 223 1) 당 개편과 조기 선거체제로의 전환 223 2) 3·15 부정선거의 계획과 수행 234 3) 4월항쟁과 자유당 해체 246 Ⅵ. 결론 262 참고문헌 269 ABSTRACT 2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42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제1공화국기 자유당과 '이승만 이후' 정치 구상-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Liberal Party and the political plan of ‘post-Rhee Syngman’ in the period of the First Republic-
dc.creator.othernameYi, Hye Young-
dc.format.pagev, 283 p.-
dc.contributor.examiner이완범-
dc.contributor.examiner김영미-
dc.contributor.examiner백옥경-
dc.contributor.examiner홍석률-
dc.contributor.examiner정병준-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