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대석-
dc.contributor.author정서윤-
dc.creator정서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남한청소년과 또래관계 형성에서 나타나는 저해요인과 극복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동안 탈북청소년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탈북청소년의 또래관계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또래관계는 학교적응에 있어 매우 큰 영향요인이며, 실제 한국교육개발원(2004)의 연구에서도 탈북청소년이 정규학교에 적응하는데 있어 남한청소년들과의 또래관계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청소년이 정규학교에 성공적으로 적응한다는 것은 남한청소년들과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데 성공했으며, 남한사회에도 성공적으로 정착했음을 나타내는 증거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 탈북청소년들이 남한청소년들과 또래관계를 형성할 때 여러 가지 갈등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남한청소년과 또래관계 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이러한 요인들을 탈북청소년들이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요인연구는 양적연구로 진행되지만 본 연구는 일반적인 또래관계 저해요인이 아닌 탈북청소년이 처하는 특수한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저해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가 없어 설문지 구성이 불가능함으로 기초연구로서 질적연구기법 중 하나인 심층면담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또래관계가 매우 사적이고, 예민한 내용이 포함 될 수 있으므로 양적연구보다 질적연구가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기존에 탈북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에 대해 말해 줄 충분한 사례자를 모으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결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안학교 등 다양한 경험이 있는 탈북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관계 저해요인은 크게 ‘탈북청소년에 대한 오해와 편견’과 ‘또래관계 맺기의 차이’두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남한청소년들이 탈북청소년에 대해 가지는 오해와 편견은 모두 4가지로 ‘무서운 존재’, ‘빈곤한 존재’, ‘신기한 존재’, ‘부담스러운 존재’로 나타나났다. 두 번째 범주인 ‘또래관계 맺기의 차이’에는 ‘상호작용 속도의 차이’와 ‘상호작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탈북청소년이 남한청소년과의 또래관계 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탈북청소년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또래관계 맺기 차이보다 더 부정적으로 작동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탈북청소년들 대부분은 초기에 남한청소년들과 또래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탈북청소년들은 스스로 생존전략을 학습하듯이 저마다 또래관계 극복전략을 습득하였다. 탈북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또래관계 극복전략은 모두 9개이며, 크게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갈등과 맞서기 혹은 회피하기로 ‘맞서 싸우기’, ‘탈북 신분 숨기기’전략이 있고, 두 번째 범주는 한정된 자원의 적극 활용과 추가자원 확보하기로서 ‘운동으로 친해지기’, ‘자존심 내려놓기’, ‘또래(놀이)문화 익히기’전략이 있다. 세 번째 범주는 새로운 환경에서 관계형성전략 습득하기로 ‘먼저 다가가기’, ‘성향이 맞는 친구 선택하기’가 있다. 이는 남한의 또래문화를 어느 정도 숙지해가면서 터득되는 전략들이다. 마지막으로 자기보호 및 지지자원 확보하기 범주로 ‘상처받지 않기’, ‘고향친구 만나기’가 있다. 또래관계 저해요인 분석에 있어 주목해야 할 부분은 탈북청소년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탈북청소년이 남한청소년들과 또래관계 형성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이 크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래관계 맺기의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극복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오해와 편견은 남한청소년들의 인식이 변화하기 전까지 탈북청소년들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극복전략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탈북청소년들이 남한청소년들과의 또래관계 갈등상황을 누군가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을 거치면서 또래관계 극복전략을 습득해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말 그대로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이기 때문에 그 과정을 통해 성장도 하지만 불필요한 상처도 받게 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bstacles and strategies to overcome, coming from establishing peer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hitherto been done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to South Korea’s society, their peer relations have not been taken enough notice of. However, peer relationships have a huge impa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especially relation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in regard to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ccording to a research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4).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o regular school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means not only th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with the South Korean adolescent but also the successful settlement to South Korean society. Various studies, however, reported that the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go through several conflicts when they try to establish peer relation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This paper, taking notice of that, is to find out what constitutes the obstacles to establishing peer relation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and how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overcome those. Although factor analysis research is generally done as quantitative analysis, this paper i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ince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obstacles not to general peer relations but to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peer relation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 which are so unique and have no basic data that it is hard to constitute a questionnaire. In addition, peer relations are very private and tend to have sensitive information, which makes qualitative techniques more appropriate than quantitative ones. Inasmuch as there haven't been enough studies on the peer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gather enough interviewees to get the diverse experiences about peer relations and, as a result, conducted interviews with 22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whose experiences cover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obstacles to peer relations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toward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the difference in how to establish peer relations'. While the former is comprised of 'the scary one', 'the poor one', 'the odd one' and 'the burdensome one', the latter consists of 'the difference in the pace of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 in how to interact'. These factors turned out to be the obstacles for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to make peer relations with those in South Korea and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had more negative impact than 'the difference in how to establish peer relations' did. Most of the adolescent from North Korea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experienced hardships in establishing peer relations at the early stage. However, they eventually managed to acquire the strategies on their own to overcome those hindrances. The strategies are all nine of them and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standing up to the conflicts or evading them’, which consists of 'confronting strategy' and 'concealing identity strategy'. The second category is ‘the active utilization of limited resources and the securement of additional resources’ and there are three strategies: 'becoming intimate through sports', 'letting self-respect down' and 'learning peer (recreational) culture'. The third category is ‘to acquire relations-establishing strategy in the new environment’ and there are 'approaching first' and 'targeting congenial friends'. These three categories are the strategies attained while getting acquainted with peer culture in South Korea. The last fourth category is about ‘self-protection and securement of supporting resources’ and there are 'not getting hurt' and 'meeting with hometown friends'. Regarding the analysis of obstacles in peer relations,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toward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urned out to have a huge advers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peer relation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Whereas 'the difference in how to establish peer relations' is likely to get overcome naturally in the process of time,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is hardly overcome by their own efforts unless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adolescents toward North Korean ones changes. With regard to the strategies to overcome, it is noteworthy that the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don’t get help from someone else to resolve conflict situation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but rather get to learn the strategies to overcome by themselves through the hard way. However, since having to undergo trial and error, they are likely to get hurt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obstac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연구 4 1. 탈북청소년의 또래관계 4 2. 중도입국청소년의 또래관계 10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14 A. 이론적 배경 14 1. 또래관계의 의미와 기능 14 2. 또래관계 형성요인 17 B.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자료수집 24 3. 자료분석 25 Ⅲ. 또래관계 저해요인 26 A. 탈북청소년에 대한 오해와 편견 27 1. 무서운 존재 27 2. 빈곤한 존재 32 3. 신기한 존재 36 4. 부담스러운 존재 41 B. 또래관계 맺기의 차이 44 1. 상호작용 속도의 차이 44 2. 상호작용 방식의 차이 46 Ⅳ. 또래관계 극복전략 49 A. 갈등과 맞서기 혹은 회피하기 49 1. 맞서 싸우기 49 2. 탈북신분 숨기기 58 B. 한정된 자원의 적극 활용과 추가자원 확보하기 67 1. 운동으로 친해지기 67 2. 자존심 내려놓기 71 3. 또래(놀이)문화 익히기 76 C. 새로운 환경에서 관계형성전략 습득하기 86 1. 먼저 다가가기 86 2. 성향이 맞는 친구 선택하기 92 D. 자기보호 및 지지자원 확보하기 101 1. 상처받지 않기 101 2. 고향친구로부터 지지받기 108 Ⅴ.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21 부록1. 면접조사 동의서 128 부록2. 면접조사 질문지 129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14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탈북청소년의 또래관계 형성에서 나타나는 저해요인과 극복전략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obstacles and overcoming strategies in establishing peer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dc.creator.othernameJung, Seo Yoon-
dc.format.pagev, 133 p.-
dc.contributor.examiner최대석-
dc.contributor.examiner서훈-
dc.contributor.examiner조정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