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미술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appreciation class with the introduction of criticism method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 For 1st Grade Industrial-specialized-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정조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In these days, the esthetic sensitivity, pleasure to understand artworks, and critical thinking can be acquired through art education. Since a variety of visual imagery and visual information are related to our lives, critical thinking becomes a vital capability for a citizen of a modern society. The objectives of the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art class also state the significance of art appreciating art to cultivate the esthetic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al refinement.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lso suggests the main domain by classifying it into art criticism and art history. To reflect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school fields have increasing attentions toward criticism activit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riticism activity have been conducted as well.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nfluences of appreciation class with the introduction of criticism method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the criticism clas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precise perspectives on objects. Although criticism activity on appreciation class can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in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on appreciation class and criticism activity set th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as research targe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art appreciation class targeting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criticism activity in appreciation class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by developing the appreciation teaching plan based on criticism model and applying it to the actual fields targeting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majority of art criticism classes have been conducted centered on the linguistic activities such as writing a critique, and the studies related to expression activity are highly insufficient. However, since the criticism education in art education aims at improving criticism capability, the critical attitude on artworks, and expression ability, it can be conducted in both appreciation domain and expression domain. Thus, the researcher planned the research including expression activity on artworks as a process of art criticism classes.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 based on criticism model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the literatures on previous studies, critical thinking, and art criticism model were examined. Then, the art criticism classes based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developed. For the application into the actual fields, 80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S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Seongdong-gu, Seoul were selected. They were also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40 students. The classes were performed for total 6 sessions. The art criticism classes conducted in this study were constructed to understand appropriation art as one of art expressions and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artworks with the appropriation technique. In addition, the classes led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own appropriation art based on their contents of analysis and criticism after selecting the artworks they wanted. Prior to exploring the effects of art criticism class on critical thinking, the equivalence examin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The equival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verified based on the pre-test of the questionnaire. The measurement tool was re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Index (2002)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criticism activity sheet was developed based on the assessment method of appreciation domain in art class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self-evaluation sheet was also written and utilized in order to enable the individual students to evaluate their own learning process and attitude. Also, the effects of art criticism class on critical thinking are attempted to be explored by analyzing the outcomes of the two sub-groups among each group in the highest rank and the lowest ran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art criticism model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ppreciation class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applying the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art criticism model showed positive influ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activities of producing artworks. Therefore, the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art criticism model were found to give positive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of the first grad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uch results implicate that studies on a variety of student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nd the attempts to offer art criticism education related to expression activity should be supported.;오늘날 우리는 미술 교육을 통해 미적 감수성과 작품을 이해하는 것을 통한 즐거움, 그리고 비평적 사고력을 얻을 수 있다. 수많은 시각 이미지와 시각 정보들은 우리의 삶과 연결되므로 현대사회의 시민으로서 비판적 사고력은 반드시 갖추어야할 능력이 되었다. 2009 개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도 비판적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 문화적 소양을 갖출 수 있는 미술감상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으며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서 중영역을 미술비평과 미술사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학교현장에서는 미술수업에서 비평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비평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도 이루어지고 있다. 비평방법을 도입한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비평수업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켰으며 대상을 예리한 눈으로 바라보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감상수업에서 비평활동은 의미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선행된 감상수업과 비평활동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들의 대부분은 일반계 고등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려는 미술비평수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어 연구자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감상수업에서 비평활동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술비평수업은 대게 비평문 작성 등과 같은 언어적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표현활동과 연계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비평교육은 비평능력, 작품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 그리고 표현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목적을 가지므로 감상영역과 표현영역 모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미술비평수업의 한 과정으로 작품 표현활동을 포함한 연구를 계획하였다. 비평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조사, 비판적 사고력과 미술비평모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미술비평수업을 개발하였다. 현장 적용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위치한 S공업고등학교 1학년 80명을 실험집단 40명, 통제집단 4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6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비평수업은 미술표현의 한 방법인 차용미술을 이해하고 차용기법이 쓰인 미술작품을 분석하고 비평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학생들이 원하는 작품을 선정한 뒤 해당 작품을 분석·비평하고 비평한 내용을 바탕으로 차용미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술비평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지의 사전 검사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지(2002)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감상영역 평가방법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행평가도구를 바탕으로 비평활동지를 개발하고, 개별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과정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결과물 중 상위 집단 두 모둠과 하위 집단 두 모둠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미술비평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술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감상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술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작품제작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미술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수업이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표현활동과 연계한 미술비평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