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8 Download: 0

교사의 스몰 토크(small talk)가 고등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요소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의 스몰 토크(small talk)가 고등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요소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eacher’s Small Talk on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about Mathematics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허윤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희
Abstract
교사는 의식 또는 무의식 중에 많은 스몰 토크를 수업에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 ‘스몰 토크’는 좁은 의미에서 단순히 개시 단계에서 나타나는 ‘길어진 인사(extended greeting)’ 가 아닌 전체 대화 사건 속에서 해석되어지는 것으로 ‘가벼운 대화’, ‘사회적 대화’ 또는 ‘상호작용적 언어’라는 용어들과 밀접한 의미로 정의한다(Schneider, 2008). 일상에서의 스몰 토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박성철, 2006/2007; Coupland, 2000; Fine, 2005; Ide, 1998; Schneider, 2008)와 수업 대화에서의 스몰 토크에 대한 연구(하빛나, 2014; Brown, 2007; Hesse & Scharader, 2001/2004; Jung & Cha, 2015; Luk, 2004; Patterson, 2009; Wu, 2014)를 통해 스몰 토크가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도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어 수업 분위기 조성 및 학생의 정의적 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학교 수학 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개선 방안은 필요성과 중요성이 인식되어짐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교수-학습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성취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수학 수업 중 교사의 스몰 토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스몰 토크가 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우선 현재 수학수업에서 교사의 스몰 토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사는 스몰 토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무슨 내용으로,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고 있는지, 학생은 교사의 스몰 토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어떤 내용을 주로 원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스몰 토크 수업이 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요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생 수학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스몰 토크는 어떤 유형으로 이루어지는가? 2. 고등학생 수학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스몰 토크가 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교사의 스몰 토크가 정의적 성취요소에 미치는 영향에는 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스몰 토크가 정의적 성취요소에 미치는 영향에는 학생 자신이 생각하는 수학 실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선행 연구 조사를 시작으로 Jung & Cha(2015)가 영어 교과에서 실시한 연구 설문지를 수학과에 맞게 수정하고, Mehan(1979)의 수업 구조에 맞추어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예비 검사를 마친 본 설문지는 50명의 교사에게 배부되었고, 작성된 교사 설문지는 연구자가 수거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는 수업의 개시 단계에서 유도형 스몰 토크, 교수 단계에서는 정보제시형 스몰 토크를 주로 사용한다고 답하였는데, 스몰 토크의 교육적 역할과 기능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실 수업에서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스몰 토크가 교육적인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입증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간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통한 수업 목표 도달이라는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교사 설문 내용에서 주로 제시된 정보제시형, 유도형, 기타유형의 스몰 토크를 활용하여 실험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5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반 수업에서는 유도형, 기타유형의 스몰 토크를 최대한 배제하고 정보제시의 인지적인 측면과 성취도 향상에만 초점을 맞춘 강의식 수업을 5차시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실험반, 비교반 학생들은 수업을 전, 후로 검사지를 2회 직접 작성하였고, 연구자가 수거하였다. 실험반 학생들은 수업 후 학생용 설문지를 작성하고, 연구자가 직접 수거하였다. 실험반 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한 10분 이내의 짧은 인터뷰도 진행되었다. 정의적 성취요소 검사지는 이종희 외(2011)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요약된 연구 결과와 실험반 스몰 토크 수업 녹음 분석, 학생 인터뷰 내용 녹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 대부분은 수업 중 교사의 스몰 토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교사의 스몰 토크를 자신들을 향한 교사의 관심과 배려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인터뷰 결과 나타났다. 학생들은 성별과 학생 자신이 생각하는 수학 실력에 상관없이 ‘칭찬, 농담, 유머’ , ‘교사의 개인적 이야기’ 등의 기타유형을 개시와 교수 단계에서 교사의 스몰 토크 내용으로 주로 원하고 있었고, 교수 단계에서는 정보제시형 스몰 토크 중 ‘대학 입시 관련 내용’의 항목에 높은 선호를 보였다. 현재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적 의도 없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학 교사의 스몰 토크는 불안을 제외한 학습지향성, 자기 통제, 흥미, 가치 인식, 자신감 요소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 학습에 정의적 성취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교수-학습 전략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취요소별로 학생의 성별과 학생 자신이 생각하는 수준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는 이 점을 고려하여 수업에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대체로 수업을 지루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끌기 위해 스몰 토크를 사용한다는 교사와 달리 학생은 교사의 스몰 토크를 통해 교사의 관심 척도를 알아보고, 자신의 학습 조력자로서 역할에 맞는 교사를 찾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혹시나 수업에서 교사들이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스몰 토크 중에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저하시키는 내용이 있는지도 점검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고등학교 수학수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학 교사의 스몰 토크가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재해석된 점이고, 둘째, 학생들이 원하는 학습 조력자로서의 수학 교사가 될 수 있도록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스몰 토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스몰 토크 연구와 각기 다른 교실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몰 토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수학 교사의 스몰 토크 수업이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영역 뿐 아니라 인지적 영역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도 제안한다.;Teachers use lots of small talk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t teaching. This study defines small talk as a meaning that is not simply ‘extended greeting’ shown in the opening phase in a narrow meaning but close to the terms of ‘casual conversation’, ‘social talk’ or ‘interactive language’ as interpreted in an entire speech events(Schneider, 2008). I expected from studies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small talk in daily life (Park Sung-cheol, 2006/2007; Coupland, 2000; Fine, 2005; Ide, 1998; Schneider, 2008) and small talk in class conversation(Hanbitna, 2014; Brown, 2007; Hesse & Scharader, 2001/2004; Jung & Cha, 2015; Luk, 2004; Patterson, 2009; Wu, 2014) that small talk will influence communications in high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to play positive roles in preparing for class atmosphere and improving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A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mprovements o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s were recognized even in our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studies in various aspects are required. Accordingly, in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teacher’s small talk during mathematics learning was paid attention as a method to improv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our students about mathematics.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small talk on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about mathematics learning. First of all, it is going to take a look at the use of teacher’s small talk in mathematics class. Moreover, the effects of teacher’s small talk on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of students will be examined. This study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What types does teacher’s small talk in high school classrooms progress in? 2. What effects does teacher’s small talk in high school classrooms have o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about the mathematics learning?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eacher’s small talk on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according to sex difference?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eacher’s small talk on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according to mathematics abilities students evaluate themselves? I went through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First of all, investigation of preceding studies was taken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and students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in the mathematics subject from a research questionnaire performed in the English subject by Jung & Cha (2015), and produced in compliance with the lesson structure of Mehan(1979). The questionnaire that completed a preliminary inspection was distributed to 50 teachers, and the completed teacher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teachers were utilizing small talk in class learning without recognizing its educational roles and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ceeds to prove the assumption that small talk has educational roles and functions. 5 instrumental units were performed o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n education intention of achieving learning goal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y utilizing small talk of informative type, elicit type and other types mainly suggested in the contents of the teacher questionnaire. In the class of the comparative class, lecture classes of 5 instrumental units focusing on the cognitive aspect of informative type and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were performed excluding small talk of elicit type and other types to the utmost limit.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s test paper used that of Lee Jong-Hee et al(2011).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prepared in person questionnaires 2 times before and after class and I collected them.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 completed student questionnaires after class and I collected them in person. A short interview was conducted on 5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 for 10 minut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affective achievement factor test, student questionnaire, class of the experimental class and student interview. Most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small talk of teachers in class. The students mainly replied ‘feel close to teachers’ and ‘form a ti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n interview result was showed as revealed in preceding studies that they thought teacher’s small talk as teacher’s interest in and consideration for them. The students mainly wanted other types such as ‘compliment, joke, humor’, ‘teacher’s personal story’ regardless of sex and mathematics abilities that students think themselves in the opening and instructional phase as the contents of teacher’s small talk, and they showed a high preference to the item of ‘university entrance related contents’ among the small talk of informative type. Mathematics teacher’s small talk that is used a lot without an educational intention in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course gives affirmative effects on students in learning orientation, self-control, interest, value recognition and self-confidence factors besides anxiety, and is an educationally valuable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the aspect of the affirmative achie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However,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its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sex and levels by achievement factor that students think themselves. Accordingly, teachers should use it considering the fact. In addition, while the teachers generally use small talk to have smooth class with boredom, the students try to find teacher’s interest amount and find teachers in compliance with the roles as their learning assistants through teacher’s small talk. Therefore, it needs to check whether small talk used in clas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by teachers may have some contents that can reduc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students in small talk.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mathematics teacher’s small talk in high school mathematics class was reinterpreted as educationally valuable, and second, studies on small talk that is available to be utilized realistically for mathematics teachers as learning assistants desired by students are required. Accordingly, as follow-up studies, studies on small talk aiming at students at various levels and those on small talk that can be applicable to each different class atmosphere should be mad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tudies on the possibility that small talk may give significant effects not only on the affective areas but also on the cognitive areas about the subject of mathema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