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 과제 텍스트 양상 비교 연구

Title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 과제 텍스트 양상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zing aspects of task-texts in reading units of middle school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 on predictive reading units
Authors
장혜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to evaluate the 14 kinds of middle school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was revised in 2013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aspects of task-texts in predictive reading unit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 reading education puts emphasis on fostering the spontaneous and critical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while reading various types of reading text, and considering the various purpose, situation, and context of writing. In spite of the educational needs, conventional reading courses are mainly focused on simple reading comprehension on materials and following activities is also reading by merely reframing the textbook.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ew textbook coming forth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exts filled in the current textbook do not much for enhancing the ability of language use. The task-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re important to direct the learners in stages to accomplish the aims of lessons. Moreover, task-texts have greater significance because the series of tasks allow learners to enhance the ability to language use and to choose the way of reading which is fit to the reading purpose. Therefore, the task-texts in reading units should be composed to focus on the ways and the strategies of readings, and also be designed to give motivation of learning active and spontaneous reading by the learner, thereby enhancing the ability to use languages at the end. For the reason stated above,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describes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n detail, setting the direction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es comparing reading unit of the textbook and the researches on the learn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and the method of analysis used in the study is also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section in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is examined in its contents structure, Achievement Standards,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From the debate on the standard of comparing task-texts in reading unit, it derived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sis on task-text in reading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 In chapter 3, subject matter and the method of analysis is examined in detail for the analysis comparing task-text in reading unit, especially on predictive reading unit in the revised 1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The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aspect of task-text in predictive reading in multi aspect, such as task orientation, task level, learning motivation, thought activity, and task integration. Organizing the analyzed result from in chapter 3, chapter 4 discusses the proper ways realizing task-text in in reading unit i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The study suggests the learner oriented task-texts, task-texts with learner’s level consideration, task-texts reflecting the motivational elements, metacognitive task-texts, and integrative task-texts as the proper ways realizing task-text in in reading unit. All these proposals mean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which will induce positive and active learning of reading. If reflected in task-text in reading unit in textbooks with comprehensive consideration, the ways presented in this thesis can be a stepping stone to move forward to learner-centered reading education, instead of the teacher-centered one in the school field. Also, the teachers may lead spontaneous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through textbooks as main materials in reading co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 새롭게 개정된 14종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예측하며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과제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읽기 교육이 실제로 글을 읽는 다양한 목적, 상황, 맥락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글을 능동적이며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갖추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의 읽기 수업은 제재에 대한 독해 위주의 수업이 주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읽기 수업의 활동을 구안하는 경향이 나타나 교과서 안을 채우고 있는 텍스트들이 언어 사용 능력 신장에 이바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새로운 교과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다.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 중 과제 텍스트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학습자에게 활동을 지시하므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또한 읽기 수업에서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고 학습자 스스로 읽기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선택하여 글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 학습을 하여야하므로 과제 텍스트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고로 교과서의 읽기 단원에서의 과제 텍스트가 글을 읽는 방법과 전략을 중시하며,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읽기 학습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언어 사용 능력 신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고 교과서 읽기 단원의 비교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와 학습 활동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 대한 특징을 내용 체계,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나누어 살펴보고, 읽기 단원 과제 텍스트의 비교 분석 기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개정된 중학교 1학년 국어과 교과서에서 ‘예측하며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분석 대상과 분석 기준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예측하며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 양상을 과제 지향성, 과제 수준, 학습 동기, 사고 활동, 과제 통합성 측면에서 다각도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를 정리하고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의 바람직한 구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바람직한 읽기 단원 과제 텍스트의 구현 방안은 학습자 지향의 과제 텍스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과제 텍스트, 학습 동기 유발 요소가 반영된 과제 텍스트, 초인지 활동의 과제 텍스트, 통합적 활동의 과제 텍스트이다. 이러한 구현 방안은 모두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읽기 학습을 유도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고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현 방안이 교과서에서 총체적으로 고려되어 읽기 단원의 과제 텍스트에 반영된다면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자리 잡고 있던 교사 중심의 읽기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육으로 이행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들이 읽기 수업을 함에 있어서 교과서를 중심 자료로 삼아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