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주지현-
dc.creator주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1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1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만족도와 요구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2.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고,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실제 부천시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의 과정을 토대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다. 총 3개의 영역, 4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교육 전체에 대한 만족도는 3.47로 참여교사들은 보통이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홍보에 대한 만족도는 3.55, 교육 신청에 대한 만족도는 3.39, 교육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3.62,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3.59, 교육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3.58, 교육 진행에 대한 만족도는 3.37, 교육에 대한 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3.45으로 교육에 대한 각 만족도 간의 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전체적인 요구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육 홍보에 대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의 교육 및 행사 안내를 방법으로 교육 신청 기간 및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신청에 대하여 교육 전 2주일 동안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신청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참여는 자의에 의한 참여가 많았으나 타의에 의한 참여와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시 행정적 배려로 대체교사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내용에 대하여 보육현장에 더욱 적합한 보육프로그램 운영방법 제시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또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프로그램의 실행하기에 대한 개선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PPT’ 개선으로 교육 내용의 이해를 돕는 사진 및 동영상이 추가가 될 필요가 있음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방법에 대하여 교육 강사로 대학교수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강의식 이외에 가장 필요한 교육 방법으로 어린이집 방문 컨설팅을 요구하였다. 교육 진행에 대하여 교육 시기는 6월부터 8월까지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장소 개선으로 교육공간의 크기와 의자 비율 개선을 가장 많이 요구 했다. 교육 시간으로 09:00부터 16:00까지로 주중 1일 동안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교육 인원으로 40명에서 59명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제공되는 간식으로는 커피와 쿠키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보육전문요원에 대하여 교육등록 및 교육 장소 장내 자리 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보육현장의 현재 만족도와 앞으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요구로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eachers' satisfaction with, and needs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to help improve efficiency in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ere set: 1. How are teachers satisfied with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2. What needs do teachers have for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18 teachers at nurseries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A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anufactured by the researcher in consultation with experts on the basis of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ctually provided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in Bucheon. It was composed of 44 items in a total of 3 areas.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to examine the subjects' general backgrou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stimated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to examine their need.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at 3.47 for satisfaction with the entire education. They scored 3.55 for satisfaction with public relations for education, 3.39 for satisfaction with application for education, 3.62 fo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education, 3.59 fo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3.58 for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s, 3.37 fo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ession, and 3.45 for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of educ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ere insignificant. Second, the general need of the teachers for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varied. For education PRs,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and methods of application for education as a way of guide in education and events at the homepage of childcare support centers. For application for education,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application after logging in the homepage of childcare support centers for two weeks before the education. The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the educa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involuntary participation.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support with alternative teachers as an administrative consider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a childcare program management type more appropriate for childcare practice. They also had the greatest need for improvement in implementation of the childcare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For improvement in PPT,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addition of photos and videos to help understand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teaching methods,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professors as instructors. In addition to lecture-based instruction, they needed consulting based on visit to nurseries. For educational progression,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education time from June to August. For the education sites,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ize of education space and in the seat rate. For education time,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the time span from 09:00 to 16:00 in a weekday. For the number of trainees,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40 to less than 60. They had the greatest need for coffee and cookies in terms of snack supply and were most likely to require childcare professionals to guide in education registration and seat arrangement at the education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assess the current satisfaction with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in childcare practice and the needs to improve th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문제 3 II. 이론적 배경 4 A. 보육교사와 현직교육 4 1. 보육교사의 직무특성 4 2. 보육교사를 위한 현직교육 6 B. 육아종합지원센터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 8 1. 표준보육과정 8 2. 육아종합지원센터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 9 가.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의 법적, 행정적 근거 9 나. 현직교육으로서의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 10 다.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 11 C. 선행 연구 및 관련 연구 20 III.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연구도구 24 C. 연구절차 25 D. 자료분석 26 IV. 연구결과 및 해석 27 A.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만족도 27 B.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요구 28 V. 논의 및 결론 34 A. 결과 및 논의 34 B. 결론 및 제언 37 참고문헌 39 부록 43 ABSTRACT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74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만족도와 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천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Satisfaction with and Need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Childcare Support Centers : Focusing on Bucheon-
dc.creator.othernameJu, Ji Hyun-
dc.format.pageiv, 51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