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임헌영-
dc.creator임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 학습에서 관용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용어를 습득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정 방식 중에서 글자체에 변화를 주는 시각적 입력 강화와 관용어의 문맥적 의미를 상세화해 풀어 쓴 입력 방식이 읽기 텍스트로 제공 되었을 때 관용어의 의미와 형태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양적 연구이다. 또한 실험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지필 설문지와 사후 구두 인터뷰를 통해 추측하기와 문맥 추론과 같은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여부, 입력 강화 유형을 인지하는 것이 관용어 습득에 효과적인지를 질적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공공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과 외국인 이주 노동자 중에서 중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시각적 입력 강화가 처치된 실험 집단 1, 상세화가 처치된 실험 집단 2,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가 동시에 처치된 실험 집단 3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집단의 입력 수정 유형에 따라 읽기 텍스트를 수정하고 학습자들에게 제시한 후 즉시 사후 시험인 두 가지 유형의 수용적(의미), 생산적(형태) 관용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시험이 끝난 직후 실험 집단별로 지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평가 점수와 설문지 내용을 바탕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다변량분산분석, Scheffé 사후다중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읽기 텍스트 수정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의미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2. 읽기 텍스트 수정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형태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3.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는 읽기 지문에 나온 모르는 어휘(관용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연구문제 4.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는 수정된 읽기 텍스트를 읽으면서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실험과 설문지, 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어의 의미와 형태 습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용적, 생산적 평가 점수는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두 가지 종속변인이 읽기 텍스트의 수정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하였다. 통계 결과 수용적 관용어 평가 점수의 평균은 시각적 입력 강화 < 상세화 = 시각적 입력 강화+상세화로 순으로 나왔으며 시각적 입력 강화와 다른 실험 집단간의 점수 차이도 크지 않았기 때문에 읽기 텍스트의 수정 유형이 관용어의 의미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산적 관용어 평가 점수의 평균은 시각적 입력 강화 < 상세화 < 시각적 입력 강화+상세화로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읽기 텍스트 수정 유형이 관용어의 형태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Scheffé 사후다중비교분석을 통해 어떤 입력 유형이 관용어 형태 습득에 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집단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 입력 강화보다는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가 동시에 처치된 집단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가설 2.3만 채택되고 나머지 가설들은 전부 기각되었다. 연구 문제 3은 어휘 전략 사용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참여자들은 모르는 어휘를 처리하기 위해 대부분 문맥 추론의 어휘 전략을 사용하였다. 관용어의 어휘적 특성을 알고 있으면 상세화를 통한 추론 전략을 활발히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 4은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라는 입력 수정 방식을 인지하고 있는지 이것이 관용어의 의미와 형태 습득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시각적 입력 강화가 처치된 실험 집단의 참여자들은 모두 입력 강화 방식을 인지했으며 어휘 상세화가 처치된 집단의 학습자들 역시 대부분 상세화를 인지했다.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가 동시에 수정되었을 때 목표 어휘의 의미와 형태 습득에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 시각적 입력 강화는 글씨체가 큰 것이 단어에 집중하게 만들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단어 형태가 생각이 나거나 기억이 나도록 도움을 준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의미 습득에 있어서는 상세화가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는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는 텍스트 수정 방식 중 상세화는 의미 습득과 문맥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각적 입력 강화와 상세화가 동시에 수정 되었을 때는 관용어의 형태를 기억하거나 목표 어휘에 집중하여 문맥 추론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한국어 어휘 유형의 하나인 관용어 습득에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 도구와 읽기 교재를 개발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의 일상생활 의사소통과 말하기 유창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ypographical enhancement, lexical elaboration, or a combination affects foreign learners’acquisition of Korean idiom.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he recognition of input elaboration on Korean idiom acquisition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adult foreign KSL learners at public institutions in Seoul, Korea. They were migrant married women and migrant workers.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 was intermediate leve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three experimental groups. The first experimental group(n=8) who read a typographical enhanced text,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n=8) who read a lexical elaborated text, and the last experimental group(n=8) who read a mixed text with two kinds of input modification. There was not a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one of three versions of experimental reading text contained 8 target idioms. Right after the treatment, immediate two type idioms posttest-meaning and form idiom tests- were administered. The statistical analysis employed was a two-way factori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Scheffe through SPSS 21.0, with type of typographical enhancement and type of lexical elaboration. This study adopted the design with modification typ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eceptive(meaning-recognition) and productive(form-recognition) idiom posttest as two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the modification types(typographical enhancement and lexical elaboration) from reading text did not significantly aid to learn Korean idiom meaning, but the modification types positively affected to acquire Korean idiom form. Furthermore, the Scheff result supports the suggestion that the mixed modification types which are simultaneously treat on the reading text more effective to learn the target Korean idiom form. (2) Most of the learners used guessing among vocabulary strategy. The learners who understood the nature of the Korean idioms used of the guessing strategy through lexical elaboration as much as possible. (3) the learners did pay attention to the treatment(input modified type) and were positively affected in efforts to focus the forms and to memorize the meanings of the Korean idioms. This study also suggest pedagogic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to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Korean idiom teach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용어의 정의 5 1. 관용어 5 2. 텍스트 상세화 6 C. 논문의 구성 7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9 A. 한국어 관용어 9 B. 입력 강화 17 C. 텍스트 상세화 20 D. 선행연구 고찰 25 E.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38 Ⅲ. 연구 방법 43 A. 연구 설계 43 B. 연구 참여자 44 C. 연구 도구 46 1. 실험 도구 46 가. 읽기 텍스트 선정 46 나. 목표 관용어 선정 47 다. 텍스트 수정 49 라. 수정된 텍스트 검토 절차 52 2. 측정 도구 52 가. 동질성 검사지 52 나. 관용어 평가지 53 다. 지필 설문지 54 D. 연구 절차 56 1. 예비 실험 56 2. 본 실험 57 3. 지필 설문지 작성 및 인터뷰 58 E. 채점 및 분석 방법 59 1. 채점 59 2. 자료 분석 5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61 A. 읽기 텍스트 수정 유형이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61 1. 연구 결과 분석 및 기술 61 2. 연구 결과 해석 및 논의 65 B. 어휘 전략 사용 67 C. 텍스트 수정 인지 여부 72 Ⅴ. 결론 79 A. 연구 결과 요약 79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81 C. 한국어 관용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 82 참고문헌 84 부록 89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02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읽기 텍스트 수정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Modification Types on Korean Idioms Acquisition Through Reading Text-
dc.creator.othernameLim, Hun Young-
dc.format.pageix, 101 p.-
dc.contributor.examiner송영빈-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