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임빛나-
dc.creator임빛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6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learners who are busy accepting information non-critically in an era filled with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books, media and SNS) and aims at providing solutions to this problem. It particularly intends to find and examine issues regard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ext interpretation and stress the importance of critical reading, essential and thus, required urgently in places of education. It also strived to find adequat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practicing critical reading and actually devised a real-life classroom model implementing such methods in order to prove its effectiveness on learners. The argu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reading which has strong influence on the lives of learners does not necessarily mean solution-finding in texts. In fact, critical thinking and judging ability is multiplied when learners transact with their own ways of living as well as with their peers, an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social context. As such,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key questions. First of all, what is the main focus of the critical reading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ow can it be applied to maximize the learner’s critical reading ability? Another key question is what kind of effect will the discussions and book review writing activities devised by the teacher have on the learner’s critical reading ability? Moreover,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which covered the aforementioned questions. Chapter II reviewed the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necessarily preceding the formation of critical reading abilities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critical reading. Chapter III presented a specific discussion and book review writing classroom model aimed at enhancing the critical reading ability of each student, and further set its sights on analyz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encourage the learner’s habitual reading. This model, composed of three phases(before reading, during reading, post-reading), focused on activating the learner’s schema through sufficient demonstration by the teacher. Chapter IV provided a detailed account of an experiment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in 2nd and 3rd year participated in discussions and book review writing sessions encouraging creative reading, for two hour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8 times. A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were 7,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concretely reflect what actually happens in a classroom, the study striv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ount of the entire session through face-to-face conversations,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he student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ritical reading teaching-learning method devised by the author,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aising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reading ability. It could also be conclude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roviding sufficient strategies, effective in arousing the interests of the learners towards reading education.;이 연구는 책, 매체, SNS 등 각종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정보의 핵심 파악은 물론, 중요도에 따른 가치 판별 능력을 상실한 학습자들의 학습방법을 진단하는 것에 시작을 두었다. 무비판적 정보의 수용, 여기에 학교 현장에서의 텍스트 위주 교수-학습까지 더해져, 학습자들은 창의적인 사고를 하고 이를 표현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가장 절실하게 요구되는 비판적 읽기와, 가치에 따른 판별 기준을 학습자들에게 정립하고자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비판적 읽기 능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수업의 모형을 구안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학습자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는 읽기 활동은 텍스트 안에서만 답을 찾는 활동이 아니다. 학습자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 학습 동료와 함께 교섭하며 작용하는 사회적 맥락이 더해질 때 비판적 사고를 통한 가치판단 능력은 배가 된다. 이에 따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읽기의 지도 방법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교육현장의 수업에 어떻게 적용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교사가 구안한 비판적 읽기 지도를 위한 토의활동과 서평 쓰기 활동이 비판적 읽기 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인가?’이다. 이 연구 문제를 다룬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Ⅱ장에서는 비판적 읽기 능력 형성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비판적 읽기의 속성과 의의를 밝혔다. 기존의 연구에서 소개되고 있는 전통적 독서 지도 모형을 통해, 교사가 구안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모형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다.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비판적 읽기 교육과 실제 학교 현장에서 독서교육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지도가 활성화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제 Ⅲ장에서는 토의 학습과 서평 쓰기 수업 모형을 제시해 학생들의 비판적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 나아가 학습자의 읽기 생활화를 위한 지도 방법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활동이 토의 혹은 독후감 쓰기라는 단일한 활동에 그쳐 사고의 영역이 확대되지 못한 아쉬운 점을 감안한다면 이전까지 읽기 교수-학습 방법에서 이 두 활동을 접목해 수업을 구안하고자 노력했다. 이에 따라 수업을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크게 3단계로 구성, 읽기 전 교사의 충분한 시범 보이기를 통한 학습자의 스키마 활성에 주력했다. 단편적인 지식의 주입으로 가치 판단 능력, 지식의 재구성에 익숙하지 않은 중학생 학습자들은 텍스트를 접하기 전 어떻게 책에 접근할 것이며, 흥미 위주의 읽기에서 텍스트와 관련성을 전제로 한 비판적 읽기 방향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미리 형성된 스키마는 텍스트를 읽으며 교사의 질문, 학습자 스스로 만들어 낸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동료학습자와 나눌 이야기를 차곡차곡 쌓을 수 있게 도와준다. 연구자는 학습자에게 비판적 읽기를 위한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로 무엇을 비판적으로 읽을 것인지 선별하는 과정에서 토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토의는 유의미한 활동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도서의 내용과 가치를 평가하고, 또 다른 독자를 위해 전달하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글쓰기인 서평 쓰기와 함께 연속선상에 놓이게 된다. 기존의 독서 감상문이 철저하게 독자 중심의 평가에 그쳤다면 서평 쓰기는 학습자에게 더욱 꼼꼼한 독자의 역할을 권유하고, 다양한 질문에 대한 평가와 함께 같은 공간에서 의견을 공유하는 학습 독자와의 유대를 증진시킨다. 독서 토론 이후 다른 학습자가 쓴 서평을 통해 자신의 비판적 사고를 심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에 접근하게 되어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책의 내용과 표현, 가치를 평가하는 글쓰기 역시 비판적 사고 형성에 필요한 전략적 과정에 해당한다. 학습자의 독서 방법은 작품의 종류와 읽는 목적, 그리고 작품 자체 텍스트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읽기 방법 중에서 학습자 스스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지도 모형이 필요하다. 정답을 찾기 위한 글 읽기가 아닌, 학습자 스스로 적절하고 중요한 질문을 묻고 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두는 것이다. 제 Ⅳ장에서는 ‘비판적 읽기를 위한 독서토의와 서평 쓰기 활동의 실제’로 지역구 도서관에서 중학교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두 번, 두 시간씩 8차시에 걸쳐 적용했다. 프로그램 안내와 함께 사전 학습에서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폈으며, 단계별 지도 전략에 따라 학습자에게 어떠한 교수-학습을 제시했는지 수업 지도안을 통해 보여 주었다. 수업에 참여하기 전 사전 검사와 독서프로그램 수업 후 비판적 읽기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의 변화를 살폈다. 이는 어떠한 종류의 글을 대면하게 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읽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 수업 현장에서 반드시 국어 교과 활동에 필요한 수업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구자가 구안한 토의와 서평 쓰기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충분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5 1. 비판적 읽기 6 2. 토의활동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지도 연구 7 3. 서평 쓰기를 비판적 읽기 교육에 적용한 연구 9 Ⅱ. 비판적 읽기의 이론적 배경 11 A. 비판적 사고와 읽기 11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11 2. 비판적 읽기의 속성과 의의 13 B. 전통적 독서 지도 모형 14 1. 독서지도 모형의 유형별 특징 고찰 14 2. 현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상호 교섭식 토의활동 18 C. 토의활동과 서평 쓰기 중심의 비판적 읽기 19 1.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비판적 읽기 교육 19 2. 교과서에 구현된 비판적 읽기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23 3. 학교 현장에서 독서교육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지도 28 가. 토의토론 교육 운영실태 28 나. 서평 쓰기 교육 운영실태 28 Ⅲ. 상호 교섭식 토의활동과 서평쓰기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연구 방법 30 A. 연구 대상 및 기간 30 B. 연구 설계 및 과정 31 1.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3 2. 실험일정 34 3. 사전검사 35 4. 사후검사 35 C.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6 1. 면담 36 2. 설문조사 36 3. 수업결과 활동자료 분석 40 D. 교수-학습모형의 적용 지도 계획 40 1. 교사의 읽기 전략 및 시범 42 2. 교수-학습 모형 적용 45 Ⅳ. 비판적 읽기를 위한 상호 교섭식 토의 활동과 서평쓰기의 실제 50 A. 교수-학습모형 지도과정 50 1. 독서 지도 프로그램 활동 및 사전 교육 50 2. 프로그램 안내 52 3. 사전 학습에서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52 4. 단계별 지도 전략 55 5. 학습참여자 분석 56 6. 차시별 독서 목록 59 B. 비판적 읽기를 위한 토의활동과 서평 쓰기 활동 분석 61 1. 비판적 읽기를 위한 독서토의 수업지도안 61 2. 독서토의 활동과 서평쓰기가 비판적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78 3. 차시 별 각 학습자의 질문 80 4. 상호 교섭식 토의를 바탕으로 한 실제 서평쓰기 사례 84 C. 학생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한 분석 86 1. 사후검사 결과 86 2. 상호 교섭식 토의 활동과 서평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90 3. 비판적 읽기 지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91 D. 상호 교섭식 토의와 서평 쓰기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 93 1. 학습자의 발달단계와 수준을 고려한 읽기 94 2. 대회가 아닌 대화 중심의 읽기 96 3.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는 읽기 97 4. 실천적인 삶 성장을 위한 읽기 99 Ⅴ. 결론 및 제언 100 참고 문헌 104 부 록 108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047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상호 교섭식 토의활동과 서평쓰기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ritical Reading through Transactional Discussion and Book Review Writing-
dc.creator.othernameIm, Bin Na-
dc.format.pagexi, 143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