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조윤영-
dc.creator조윤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53-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시대라 불리는 현대 사회는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해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다. 교육 역시 ‘디지털 원주민’이라 불리는 청소년들의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시대의 변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나 아직은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어교육이 필요함을 인지하면서도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독서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기존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 독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2장에서 디지털 시대 독서가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해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디지털 시대 청소년 독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독서교육의 방향을 논한다. 또한 모바일러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독서교육을 접목하기 위해 모바일러닝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정의와 특성을 분명히 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 28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구성 요소, 구현 방식, 사용 편리성, 상호작용성이라는 4개의 분석 항목에 따라 유형화하고 분석함으로써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한계점, 장점 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3장의 분석 결과는 새로운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제작 방향의 기반으로 삼았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바탕으로 독서교육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실제 구현된 모습으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 기존의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구성 요소 영역에서는 주요 기능이 교육적 활용도가 있는 ‘독후 활동 및 공유’인 어플리케이션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이 ‘독서 목록 기록’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중고등학생을 이용대상자로 하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없다는 것이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독서 목표를 설정하는 기능,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이 부족함을 확인했고, 사용편리성 측면에서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이라는 점과 도서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대부분의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이 상호작용성면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는 점도 알 수 있었는데, 감상을 공유하고 댓글을 통해 손쉽게 다른 학습자와 대화하는 기능은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독서교육에서 반드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 기획, 구성도 설계, 스토리보드 제작, 디자인 구성의 과정을 거쳐 실제 실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인「Book School」은 독서 목록 관리, 도서 검색 및 다양한 도서 정보 제공, 독서 과정 기록을 위한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활용한 메모 기능, 목표 설정 및 관리, 통계 제공, 친구들과 독서 목록 공유, 감상 공유 및 댓글 기능 등을 갖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개발된 「Book School」을 바탕으로 현재 운영 중인 기존의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이 개선되고, 독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 In the current digital era, things are changing rapidly from the advancement of mobile devices. Especially, teenagers are highly exposed to digital media and the education they are receiving has no choice but to be transformed to satisfy their needs. However, not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deal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troubleshoot problems of original mobile reading applications; starting from this, the new approach will be sugges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reading in the 21st century. In chapter 2,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promising future model will be discussed. Moreover, by examining the reading habit of teenaged students, new directions of reading education methods will be introduced. In this research,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learning and mobile applications is precisely defined. In chapter 3, the analysis of existing 28 different reading-related applications is contained to be typed and analyzed according to four standards: structural designs, implementation methods, user experience, and readiness of interaction.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reading education methods will be unfolded to be of help for developing new mobile applications of the like. The application named ‘Book School’ is developed to remedy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applications. This brand new mobile application is devised mainly for teenagers and has various functions: Managing reading lists, providing book search function, keeping tracks of the process of reading by using diverse input/output systems, rendering statistics, sharing reading lists or opinions with friends, and commenting on the content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nalysis resul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 new-born Book School application, it is confidently expected that up-to-date mobile reading applications utilized in reading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디지털 시대의 독서와 모바일러닝 5 A. 디지털 시대의 독서 5 1. 텍스트의 변화 6 2. 디지털 텍스트의 독서 패러다임 7 3.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 11 B. 모바일러닝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14 1. 모바일러닝(m-Learning)의 정의 및 특징 14 가. 모바일러닝의 정의 14 나. 모바일러닝의 특징 17 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정의 22 Ⅲ.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 현황 및 문제점 25 A.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현황 및 유형분석 25 1. 분석 절차 25 2. 분석 대상 26 3. 분석 기준 32 B. 항목별 분석 결과 35 1. 구성 요소 35 2. 구현 방식 40 3. 사용 편리성 44 4. 상호작용성 47 C.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 52 1. 구성 요소 52 2. 구현 방식 54 3. 사용 편리성 55 4. 상호작용성 56 Ⅳ.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 개선의 실제 및 활용 방안 58 A.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개선 방안 58 B.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절차 62 1. 개발 기획 63 2. 화면 구성도 64 3. 스토리보드 65 C.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 구현의 실제 73 D.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교육적 활용 방안 77 1. 개인적 활용 방안 78 2. 협동학습 활용 방안 80 Ⅴ. 결론 및 제언 83 참고 문헌 85 부 록 89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893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디지털 시대 청소년 독자를 위한 모바일 독서 어플리케이션의 양상 및 개발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urrent State of Reading Applications for Digital Era Teenagers and its Development Plan-
dc.creator.othernameCho, Yoon Young-
dc.format.pageix, 102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