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이승희-
dc.creator이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38-
dc.description.abstract영어교육의 질은 영어교사의 질을 뛰어넘지 못 한다는 말이 있듯이 성공적인 영어교육을 위해서 영어교사의 역량과 자질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영어교사의 양성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영어교사의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중등교원임용고사의 역할은 영어교육의 미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어 교사 양성과 채용의 과정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두 과정이 잘 연계가 되어 있을 때 교육현장에 훌륭한 교원들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중등교원임용고사 각각의 발전과 적절한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중등교원임용고사의 개선점을 찾으려는 노력과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중등임용고사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임용고사의 문항을 분석하여 시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김정렬, 김영미, 2009; 방시은, 2013; 윤재룡, 2003; 최은영, 2005)이거나,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내에 있는 교과별 비중과 중등교원임용고사의 출제 비중을 비교한 연구(강세정, 2015; 신혜민, 2011; 염지연, 2012; 유지현, 2014)가 대부분이며, 중등교원임용고사에 직접 응시한 수험생들의 관점에서 교원양성과 임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로 교원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참여하였고,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한 후 시험에 응시한 영어과 예비교사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교원양성과정과 중등교원임용고사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출제자와 수험자 모두의 입장에서 변별도와 타당도를 갖춘 교원양성과 평가 제도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과 중등교원임용고사 응시생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참여자 중 23명의 영어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뒤, 영어예비교사들이 중등교원임용고사 준비과정 중에서 느끼는 시험에 대한 인식 및 임용고사의 개선점을 살펴보고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임용고사의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영어예비교사들의 학습 부담이 높은 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과 중등임용고사의 전공영역(영어교육, 영어학, 일반영어, 영미문학) 중 준비 난이도가 높은 영역, 학습 범위의 모호성이 높은 영역, 변별력이 높았다고 생각하는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한 뒤 인터뷰에서 각 인식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조사하였다. 둘째,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중등교원임용고사 사이의 연계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교육의 필요성 정도, 대학교(원)의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사이의 연계성 정도를 예비교사들의 소속별로 분류하여 설문을 하고 사교육의 필요성과 연계성에 대한 인식의 이유를 조사하였다. 셋째, 23명의 예비교사들을 인터뷰하여 영역별 연계성과 각 연계성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인터뷰하여 영역별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중등교원임용고사 사이의 연계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영어과 예비교사들의 각 영역별 중등교원임용고사 준비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중등교원임용고사 1차 및 2차 전형을 영역별(영어교육, 영어학, 일반영어, 영미문학, 수업실연 및 면접)로 분류하고, 예비교사들이 활용하였던 자료를 조사하여 구체적인 학습 자료 현황과 영역별 학습 비중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설문 참여자들의 답변과 인터뷰 참여자들의 경험담을 종합하여 영어과 중등임용고사의 1차 전형과 2차 전형의 개선점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원임용고사에서 영어 예비교사 118명의 학습 부담이 높은 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준비 난이도가 높은 영역, 학습 범위의 모호성이 높은 영역, 변별력이 높은 영역으로 분류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먼저 중등교원임용고사 전공 평가 영역에서 각각 42명의 예비교사들이 준비 난이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영어학과 일반영어 영역이라고 답하였다. 인터뷰에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영어학은 하위과목이 많고 교과내용의 수준이 높기 때문이었고 일반영어는 한정된 출제 범위나 문제 유형을 예측할 수 없어 영어예비교사들이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중등교원임용고사에서 예비교사들에게 학습 범위의 모호성이 가장 높았던 영역에 69명의 예비교사들이 영미문학이라고 답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39명의 예비교사들이 일반영어라고 답을 하였다. 인터뷰의 답변에 따르면 영미문학의 경우 학습해야 할 범위가 방대하나 출제 비중이 적고, 교원양성과정 중에 배우지 않은 생소한 문학 작품들이 자주 출제가 되어 학습범위의 모호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일반영어의 경우도 한정된 범위가 없으며 단시간에 향상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에 학습 범위의 모호성이 높다고 답변을 하였다. 1차 시험에서 가장 변별력이 높다고 여겨지는 영역은 영어과 예비교사 118명 중 91명이 일반영어라고 답변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하여 그 이유를 알아본 결과, 각 문항에 대한 답을 쓸 때에 영어 작문 실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타 전공영역의 난이도가 쉬워져서 상대적으로 일반영어 영역의 변별력이 높아졌고, 중등교원임용고사에서 일반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풀 수 있는 문항들이 많이 출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둘째,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임용고사 사이의 연계성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교육의 필요성 및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임용고사의 연계 정도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소속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었다. 사범대학교 소속의 예비교사들이 사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낮게 느끼고 있었으며,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고사의 연계정도를 가장 높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들이었고 비사범대학교에서 교직이수를 한 예비교사들이 가장 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느끼고,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중등교원임용고사의 연계정도를 낮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중등교원임용고사를 준비할 때 교원양성과정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 외에 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유는 중등교원임용고사의 출제 범위가 넓어 학습 시간의 효율성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시험의 출제 경향과 정보를 알기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교원양성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중등교원임용고사의 연계가 긴밀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31명의 예비교사들이 교원양성기관은 임용고사 학원이 아니라 학문적인 소양을 쌓는 연구기관이기 때문이라고 답변하였으며, 22명의 예비교사들은 영역별로 연계성 정도가 다르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영어예비교사들에게 교원양성프로그램으로 중등교원임용고사 대비가 충분히 되었는지에 대해 영역별로 분류하여 인터뷰로 조사한 결과, 예비교사의 소속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16명의 예비교사들이 영어학이 가장 준비가 잘 되었다고 응답을 하여 영어학 영역이 가장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임용고사의 연계성이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준비가 안 되었다고 응답한 영역은 영미문학 영역으로, 10명의 예비교사들이 영미문학 영역에서 학습 범위가 너무 넓고 교원양성과정에서 다루는 문학 수업의 방향과 임용고사에서 다루는 문학의 출제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연계성이 낮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인터뷰 답변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중등교원임용고사를 준비하면서 활용했던 자료 현황을 자세하게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영어학은 중등교원임용고사 준비 과정 중 예비교사 1인당 평균 5.4권의 자료를 학습하였으며, 영어교육은 평균 4.3권, 일반영어는 평균 2.3권, 영미문학은 평균 1.5권의 자료를 학습하여 영역별 학습 비중의 차이가 있었다. 인터뷰에서 예비교사들의 응답에 따르면 영미문학의 학습비중이 타 영역의 학습비중보다 적은 이유는 영미문학의 학습 범위가 매우 넓은 것에 비하여 출제 비중은 적기 때문에 영미문학 영역 학습에 시간을 쏟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큰 학습 방법이므로 영미문학영역에 대한 학습을 소홀히 하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각 영역에서 활용된 자료를 조사하여 빈도 분석을 한 결과, 많은 예비교사들이 사설자료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답변에 따르면 사설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이유는 학습해야 할 원서의 양이 많아 예비교사들이 교원임용고사에 출제될 확률이 높은 부분들을 위주로 학습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영어과 중등임용고사 1차 및 2차 시험의 개선점을 조사한 결과, 설문 응답에서는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서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한 의견이 각각 68명과 2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인터뷰에서는 중등교원임용고사 1차 시험에서 일반영어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전체적인 시험의 난이도가 쉬워져 평가의 변별력이 없을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과 중등임용고사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원임용고사에서 영미문학 영역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영미문학 영역의 출제 범위를 구체화시켜야 한다. 또한 영미문학 영역에서 교원양성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이 중등교원임용고사에 적극적으로 반영이 되어 교원양성과 임용간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영어과 중등교원임용고사 전 영역의 균등한 출제 비중과 적절한 난이도 기준이 확립되어야 한다. 전 영역의 적절한 난이도 배분과 고른 출제 비중을 통하여 특정 영역에 출제가 편중되는 것을 지양할 때, 예비교사들이 전 영역을 골고루 학습을 하여 전문적인 교사로서 양성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1차 및 2차 시험에서 구제척인 평가 기준을 예비교사들에게 제시하여 임용고사 채점과정의 신뢰도를 높이고, 예비교사들이 채점 기준을 바탕으로 더 나은 교사가 될 수 있도록 자기 발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in which various aspects of the preparation done by pre-teachers for the national teacher-selection test were investigated. The level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curricula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national teacher-selection test was analyzed and measured.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teacher-selection test were developed and discussed. The study was designed as follows. A survey was given to 118 pre-service teachers who recently took the preliminary teacher-recruitment test. Through the surveys, data was collected on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s to the curricula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nd as to the four subjects tested: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Among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twenty-three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During the interviews,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for their perspectives on how well the curricula taught at teacher training programs corresponded with the actual material tested on the teacher selection tes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our subjects tested. Next, the twenty-three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how they had prepared for the teacher-selection test and what test preparation materials they had used. They were also asked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the teacher-selection test might be improved. The data gathered was measured with either the frequency analysis by IBM SPSS18 or the transcription by the researcher.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from the four subjects tested on the teacher-selection test, English linguistics and general English presented the most difficulties for pre-service teachers with test preparation. Based on responses given during the interviews, English linguistics was an inherently difficult subject, due in part to its wide range of subdisciplines, such as phonetics and syntax. General English was difficult due to a general lack of standardization. Sixty-nine pre-service teachers out of 118 indicated that English literature was the subject that presented the most uncertainty in their test preparation. In their interviews, these pre-service teachers stated they did not know what to study. They perceived an incongruity between the hug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and the actual weight given to the subject in the test's overall scoring. The subject with the highest level of discrimination was general English according to ninety-one pre-service teachers. The reasons for this perception were that English proficiency was required to give answer written in English, and that other subjects(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ere too easy and thus lacking in test validit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differing opin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attending private academies, and regard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 material actually tested. Moreover, these differences in opinion depended on which group a pre-service teacher belonged to. For example, the perceived need of attending private academies was lowest among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studying education in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in non-education university needed private education the most. Similarly, thes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a weak correspondence between the curricula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material tested in the teacher-selection test. By contrast,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studying education in university perceived a stronger correspondence. Private academies were seen as a way to save time, to study the wide array of required books more efficiently, and to find out information about examination trends. Moreover, pre-teachers attributed low correspondence between teacher-selection test and the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program to an academical purpose of education university as it is meant to be. Third,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perceived as most effective in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for English linguis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perceived as being least effective in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for English literature. That is, the perceived discrepancy between what was taught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what was actually on the test was greatest with respect to the English literature section. Fourth, with regard to test preparation materials, this research showed that almost all of the pre-teachers used materials from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s a way to maximize the likelihood they would study only what was likely to be on the test. Additio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allocated less of their time and resources to studying for the English literature section of the teacher-selection test because of the small portion this subject was expected to take up of the test. Fifth, many pre-service teachers agreed about the necessity of explicit evaluation standards for scoring in teacher-selection test. They agreed that test results could be affected by the subjectivity of raters. Furthermore, the interviewees noted the large proportion that general English made up in the preliminary test. They perceived a possible problems in test discrimination in that the other sections of the tests may not adequately test for demonstrated teacher's qual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teacher-selection test are as follows. First, limitation in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from the English literature field is required. The teacher-selection test should limit questions to the specific literature covered in courses taught at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st should be set high enough in order to be able to enhance the test's validity in measuring a test taker's qualifications. Third, the teacher-selection test should be divided evenly between the four subject areas tested. In other words, no one section should be given an inordinate share of the overall test. This would allow for th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those take takers who are more balanced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demonstrate sufficient knowledge in each of the tested subject areas. Finally, explicit evaluation standards should be considered a necessity in how the teacher-selection tests are sco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2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A. 영어교사의 역할과 자질 4 1. 영어교사의 역할 4 2. 바람직한 영어교사의 자질 7 B. 영어과 중등교원임용고사 12 1.영어과 중등교원임용고사 변천과정 12 2. 2015학년 영어과 중등임용시험의 개요 14 C. 선행연구 16 1. 영어과 교원양성프로그램분석연구 16 2. 영어과 중등임용고사 문항 분석 연구 22 3.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임용고사간의 연계성 연구 26 4. 예비교원 및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연구 29 Ⅲ. 연구내용 및 방법 35 A. 연구질문 35 B. 연구 대상 35 1. 설문조사 참여자 36 2. 인터뷰 참여자 37 C. 연구 방법 37 1. 설문조사 38 2. 인터뷰 39 D. 연구절차 39 E. 결과분석방법 40 F. 연구의 제한점 41 Ⅳ. 연구결과 43 A. 학습 부담이 높은 영역 43 1. 준비 난이도가 높은 영역 44 2. 학습범위의 모호성이 높은 영역 46 3. 변별력이 높다고 생각하는 영역 50 B. 교육 및 교과과정과 임용고사와의 연계성에 관한 인식 53 1. 사교육의 필요여부 53 2. 대학교(원)의 교육과정과 임용고사와의 연계성 57 C. 영역별 교원양성프로그램과 중등교원임용고사 간 연계 정도 62 D. 영어과예비교사들의 중등교원임용고사 준비실태 66 1. 1차 시험 영역별 활용자료 수 66 2. 영역별 자료 현황 69 가. 영어교육 69 나. 영어학 71 다. 일반영어 73 라. 영미문학 74 마. 수업실연 및 면접 75 3. 사설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76 E. 임용고사의 개선점 78 1. 1차 시험의 개선점 78 2. 2차 시험의 개선점 82 Ⅴ. 결론 및 제언 86 참고문헌 93 부록 1. 99 부록 2. 103 부록 3. 106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09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영어과 수험생의 중등교원임용고사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wareness of Pre-teachers on Employing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dc.creator.othernameLee, Seung Hee-
dc.format.pageviii, 122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양혜순-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