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일화-
dc.contributor.author배하눌-
dc.creator배하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4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conducted by the government; how much students are improved in the respects of their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oject, there are four main sectors of various programs: academic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handling emotional parts, and building welfare system. In each part, many kinds of programs are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these improvement. The target students are selected in girls’ middle school in Incheon in Korea. In this school, 62 female students who are the targeted students, and 61 other students who are not in this program are chosen. In order to see the practical and vivid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same students who ar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tinuously are scored for three years. The controlled group, 61 students, are the students who are in the same economical status, but not taken any private lessons after school, and they are randomly chosen. The self-esteem scale is scored every October for three years when the one-year program is ended. On the other hand, academic achievement is scored every semester, 6 times for three years. To see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self-esteem test is conducted. In this test, there are four main parts: self-abase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self-assertion and anxiety. To get the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paper-based assessment and performance test are collected.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general subject scores, and math and English test scores. The reason why math and English scores are studied independently is that these two subjects are the main subjects and the ones which many programs in this project for academic achievement is focused on. To analyze these scores, repeated measurement ANCOVA is used in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ores of self-esteem is raised for three years, and this ga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s meaningful. Also, in each year improvement, the score gap is not meaningful in 2012 and 2013, but meaningful in 2012 and 2014, and 2013 and 2014. Secondly, in the four parts of the self-esteem test, the gap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is meaningful in two parts: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elf-assertion and anxiety. Thirdly, i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for three years is meaningful. In each semester, every following semester is improved significantly for three years except for the first semester and the second semester in 2013. Lastly, in math and English scores, the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e controlled group, but it is not meaningful. In the improvement of two semesters, improvement of eight parts are meaningful among ten parts. As a result, the programs in this project ar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is effect is maintained for three years. This fact explains that this project should be expanded in other regions where relatively poor students live and the program should be sustained in longer periods.;본 연구는 2003년부터 정부 차원에서 실시된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학생들이 본 사업 하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직접 참가하였을 때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 면에서 어떠한 발달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은 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의 네 가지 영역에서 다양하게 실시되었으며 각 영역에서 학생들의 정서 발달과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이 고안되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이 실제로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인천의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여자 중학교 내 프로그램 대상학생 62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61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질적이고 분명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3년 간 동일한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점수를 누적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이 되는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3년간 꾸준히 참여한 학생으로 제한하였으며, 통제집단으로 분류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역시 사회·경제적 배경이 비슷하고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으로 제한하여 무선 선발하였다. 자아존중감 발달은 매년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학업성취 향상은 학기 별로 나누어 총 6학기의 점수를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 발달을 보기 위해서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지는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의 네 가지 척도로 구성되었다. 학업성취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체 교과에서 내신 점수, 즉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합산 점수를 통해 전체적인 점수를 수집하였고 이와 더불어 주요 교과인 수학과 영어에서의 성취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두 과목의 지필, 수행 평가 합산 점수를 함께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한 검사에 대한 반응의 변화 패턴 차이를 검증하는 반복측정 공분산분석(repeated measurement 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점수가 3년 간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검사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분석 첫 해인 2012년과 2013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첫 해와 마지막해인 2012년과 2014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해와 마지막 해인 2013년과 2014년에도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검사 하위척도별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 네 가지 영역 중 타인과의 관계, 자기주장과 불안 두 가지 하위 척도에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하위 척도별 검사 시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비하척도는 첫째 해인 2012년과 마지막 해인 2014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타인과의 관계척도는 첫 해와 마지막 해, 두 번째 해와 마지막 해 두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도력과 인기 척도에서는 첫 해와 둘째 해, 첫 해와 마지막 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자기주장과 불안 척도에서는 첫 해와 마지막 해에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업성취를 살펴보기 위한 전체 교과 내신 성적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면 전 과목 점수의 3년 간 향상 정도가 통제 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컸다. 검사 시기별 전체 교과에서의 성취를 살펴보면 2학년 1학기에서 2학년 2학기가 되는 구간을 제외하고 총 아홉 개의 구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만큼의 향상을 보였다. 넷째, 학업 성취에서 보다 세분화하여 3년 동안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 프로그램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수학, 영어 과목에서의 성취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수학 점수에서의 성취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꾸준하게 더 높은 점수 향상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만큼은 아니었다. 검사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학년 2학기에서 2학년 1학기 구간, 2학년 2학기에서 3학년 1학기 두 구간을 제외하고 총 여덟 개 구간에서 향상 정도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점수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면 사전 점수를 통제한 결과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지는 않았다. 시기별 점수 향상 정도를 살펴보면 1학년 2학기에서 2학년 1학기로의 향상 폭과, 1학년 2학기에서 3학년 2학기로의 향상 폭을 제외하고 총 여덟 구간에서 모두 점수의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발달과 학업성취 모두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가 종단으로 연구하였을 때에도 계속적인 향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이 안정적이고 꾸준하게 진행되었을 때 학생들 내면의 변화와 실제적인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의 현황 5 1. 배경 및 목적 5 2. 대상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6 B.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의 효과 8 1. 대상 선정기준에 따른 효과 9 2. 측정 요인에 따른 효과 10 가. 자아존중감 11 나. 학업성취 11 3. 연구 기간에 따른 효과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연구절차 16 C. 실험설계 16 D. 측정도구 17 1. 자아존중감 검사지 18 2. 학업성적 20 E. 자료 분석 22 Ⅳ. 연구결과 24 A. 자아존중감에 대한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24 1. 자존감 점수에 대한 프로그램 효과 분석 24 2. 자존감 검사 하위척도별 프로그램 효과 분석 28 B. 학업성취에 대한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39 1. 전 과목 39 2. 수학 44 3. 영어 48 Ⅴ. 논의 및 제언 52 A. 요약 및 논의 5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4 참고문헌 59 부록 64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89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 향상에 대한 종단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ongitudinal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Bae, Hanul-
dc.format.pageviii, 74 p.-
dc.contributor.examiner설경옥-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이일화-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