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이 신경언어장애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Title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이 신경언어장애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and Stress Coping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Authors
김나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내원한 신경언어장애자들에게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신경언어장애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모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신경언어장애자 중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평가(K-WAB)에서 AQ 평균점수가 79.4점 이상의 경도실어증자와 마비말장애자, 말실행증자 20명이며, 그 중 10명은 실험집단,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 비교 집단 설계이다. 그 중 실험집단은 2014년 12월 29일부터 2015년 4월 3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주 1회, 30분씩 1대 1 개별적인 방식으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스트레스의 이해, 호흡 및 근육이완훈련, 인지적 재구성, 스트레스 대처기술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게 위해 SPSS/pc⁺ wi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측정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인지행동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은 신경언어장애자의 스트레스 지각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경언어장애자들이 자신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신경언어장애자들을 위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나 통제집단은 아무런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아서 연구효과가 지지효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추후연구에서는 위약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지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하기를 바란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신경언어장애자였다. 추후연구에서는 신경언어장애자를 실어증, 마비말장애, 말실행증으로 각각 나누어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셋째, 신경언어장애자의 스트레스 상황은 본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가족이나 친지, 지인 등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신경언어장애자의 가족이나 지인 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볼 것을 제안한다.;Recently, the population of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s is increasing. They have experienced the hurt by speech-language disorders to their psychology and emo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n effective counsel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and stress coping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The concrete subjec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how is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reasing the perceived stress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Second, how is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increasing the active stress coping ability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Third, how is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reasing the passive stress coping ability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8 sessions from December 29, 2014 to April 3, 2015.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10) and control group(10). The Program was run 8 sessions in total, once a week for 30 minutes; the contents were the understanding of stress, cognitive restructuring, relaxation trai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the experiment group had performe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e control group hadn't been provided any measures. In order to measure this study, we used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and Levenstein's perceived stress scale and Lazarus & Folkman's stress coping scal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mputerized with SPSS/pc⁺ Windows(version 21.0), and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which may be affected by verious variable was test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 t-test.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score of the perceived stress and stress coping were measured by paired-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perceived stress.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from 84.50 in pre-test to 75.8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t=3.33, p<.05). The mean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88.90 in pre-test to 93.2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1.66, p>.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active stress coping ability.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9.10 in pre-test to 43.4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t=2.83, p<.05). The mean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38.10 in pre-test to 36.1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1.14, p>.05).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passive stress coping ability.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from 67.30 in pre-test to 56.6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t=2.57, p<.05). The mean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66.80 in pre-test to 63.7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82, p>.05). In conclusio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