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대학생의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 사고력, 창의성 간의 구조관계 비교

Title
대학생의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 사고력, 창의성 간의 구조관계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Authors
백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As academic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nurturing the future talents of Korea intensifies, studies on designing education programs and creating environments to develop creativity not only in children and students but also in adults are becoming major assignments in educational technolog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specific educational environments becaus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re not clear. Researchers seek factors that affect creativity, and stress that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creativity are needed. Early studies on creativity focused on individual affective and cognitive aspects. However studies in recent years integrate and emphasize not only individual aspects but also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mabile, 1983, 1996; Csikszenmihalyi, 1996; Isaksen, Puccio, & Treffinger, 1993).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factors of affective, cognitive and environmental aspects that affect creativity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ffect creativity. Also, it seeks ways to establish better college environments to develop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lected college students as the study subjects and chose self-efficacy as the affective factor and thinking ability as the cognitive factor that affects creativity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in advanced research. Also, the school environment is chosen as the environmental factor to examine how potential means of self-efficacy,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the effec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specific study problem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elf-efficacy and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creativity in college students appropriate and is ther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2. Is there a difference in potential mean results and effect of self-efficacy,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on school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17 colleg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ed mode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tools and the structural model used to measure variables were verified, direct/indirect effects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were analyzed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ased on the final model selected from the result, groups were divided for multi group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otential means and the effect of variables.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 hypothetical model of the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creativity is appropriate since the structural model’s appropriateness is at the proper level. The result of analysis on path-coefficient among potential variables included in the chosen structural model showed significance in paths from self-efficacy to thinking ability and from thinking ability to creativity.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path from self-efficacy to creativity. Direct/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are as follows: 1)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nking ability. 2) The 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on creativity is not significant. 3) Think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ity. 4)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reativity through thinking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multi group analysis on the potential mean difference are as follows: 1) The potential mean result for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2) The potential mean result for thinking ability does not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3) The potential mean result for creativity does not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among variables in multi group analysis are as follows: 1) Path-co efficiency between self-efficacy and thinking ability h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2) Path-co efficiency between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h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creativity in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based on creativity theories. It suggests that an environment to improve self-efficacy and thinking 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n college environments to contribute to creativity development. For this, schools should provide psychological, instrument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create a school culture that encourages variety in perspectives and new challenges. Also, positive and continuous feedback should be provided while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o help them establish a positive self image and confidence. Furthermore, team work and problem-solving projects should be promoted for students to see problems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seek solutions. Second, self-efficacy and creativity concepts can vary depending on the special nature of the environment and there can b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the two. Unlike the advance research, this study showed no direct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It may be because self-efficacy is considered as a major variable that predicts academic performance (Sukjeong Lee, 2011; Shunk & Pajares, 2004). Academic assessment in South Korea focuses more on achievement in the curriculum than on individual creativity. Therefor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lf-efficacy and creativity should be more clearly described and the relationship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pecial nature of the study background and environment. Third, when a school environment is open and promotes student-centered activities, students' confidence and self-control abilities improve. Also, students can develop their creativity in such an environment regardless of individual capability. This study introduced a final structural model based on verified results and explored differences in the effects among variables as well as the potential mean of the variables divided i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potential mean results for self-efficacy in the groups for positive recognition in their schoo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s for negative recognition; and the path between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i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s with positive recognition. It suggests that creativity can be developed only with schools' psychological, phys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eeking creative environment, despite difference in students' individual cap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or further studies: First, a comparative study is suggested, by dividing the study model from this study into groups by gender, major and year. Self-efficacy,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can b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up the environments to which the study subjects belong and the effects among the variables are also different (Eunhyeon Seong, Mungi Shin and Yunyeong Han, 2013; Gyeonghee Lee and Jiyeon Kim, 2014). Therefore additional verification can be possible in the study model through further studies on college students in various groups. Second, re-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ccording to school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s sugges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self-efficacy is studied as a major variable for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Heesu Kim, 2004; Sukjeong Lee, 2011) and the assessment criteria for academic achievement in South Korea is based more on achievement in the curriculum than creativity(Hyeontae Gang, 2008; Minah Jo, Eungyeong Go and Yeongseok Seo, 2012). Third, a comparison of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school environment through apply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and institutional support by dividing into groups is suggested. It can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environment that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efficacy,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Fourth, variables, such as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assessable through specific problem-solving processes or the results can secure objectivity when measured by experts in the field, rather than by self-inspection index(Amabile, 1996; Besemer & O'Quin, 1986). Therefore objective results measured by experts based on assessment index are suggested in further studi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reflects fa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at affect creativity in college students and confirms the relationships. Also the study suggests discussions on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strategies to develop creativity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school environment for creativity.;창의성이 미래사회를 영위할 인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 학계의 논의가 왕성해지면서 유아와 학령기 학생들 뿐 아니라 성인들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방법과 환경을 설계하는 연구가 교육공학에서 주요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창의성의 개념 및 특징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구체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연구자들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초창기 창의성 연구는 개인의 정의적, 인지적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개인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맥락적인 환경적 측면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강조되고 있다(Amabile, 1983, 1996; Csikszenmihalyi, 1996; Isaksen, Puccio, & Treffinger, 199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측면의 요인들을 선정하여 이들 변인들이 어떠한 관계를 통해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 계발을 위한 대학환경 조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대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으로 자기효능감, 인지적 요인으로 사고력을 선정하였다. 또한, 환경적 요인으로 학교환경을 선정하여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창의성의 잠재평균과 이들 간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하고, 이들 간 직·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2. 대학생의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집단 간 자기효능감, 사고력, 창의성의 잠재평균과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상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변인 측정에 사용된 측정 도구들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통해 최종 상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의 잠재평균 및 변인들 간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의 모형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변인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조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 사고력, 사고력에서 창의성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였으나 자기효능감에서 창의성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효능감은 사고력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친다. 2)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직접영향은 유의하지 않다. 3) 사고력은 창의성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친다. 4) 자기효능감은 사고력을 통해 창의성에 유의한 간접영향을 미친다. 둘째, 다집단 분석을 통한 잠재평균차이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효능감의 잠재평균은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사고력의 잠재평균은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다. 3) 창의성의 잠재평균은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다. 다음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한 변인 간 영향력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간의 경로계수는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사고력과 창의성 간의 경로계수는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창의성 계발 도모를 위해 대학교육 현장에서 자기효능감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다양한 관점과 새로운 시도를 격려하는 수업풍토를 조성할 수 있도록 심리적, 도구적,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수자가 학생의 개별 특징을 고려한 긍정적이면서도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학생들이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자아상을 수립하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뿐만 아니라, 팀 프로젝트 학습이나 문제중심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환경의 특수성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으며, 둘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고찰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 직접영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주요변인으로 연구되고 있으며(이숙정, 2011; Shunk & Pajares, 2004), 국내의 학업성취 평가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 다양한 관점을 장려하는 것보다 교과내용의 수렴 정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진행의 배경 및 환경의 특수성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개념 및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기술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학교환경이 개방적이고 학생중심적인 활동을 지향할 때, 학생의 자신감과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는 개인역량에 관계없이 학생의 창의성이 계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증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상정된 구조모형을 상정하였으며 학교환경 인식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이들 간 변인의 잠재평균 및 변인 간 영향력 차이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교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 집단의 자기효능감 잠재평균이 부정적 인식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으며 긍정적 인식 집단의 경우 사고력과 창의성 간의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 간 개인역량의 차이가 존재하여도 창의적인 풍토를 지향하는 학교의 심리적, 물리적, 행정적 지원만을 통해서도 창의성이 충분히 계발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모형을 성별, 학과별, 학년별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한다.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창의성은 연구대상이 속해있는 환경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며 변인 간 영향력에도 그 차이가 있다(성은현, 신문기, 한윤영, 2013; 이경희, 김지연, 2014). 때문에 다양한 집단에 속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 대한 추가적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주요변인으로 연구된다는 것(김희수, 2004; 이숙정, 2011)과 국내 학업성취 평가기준이 창의성이 아닌 교과내용의 수렴도에 기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강현태, 2008; 조민아, 고은영, 서영석, 2012) 교육환경과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재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서로 다른 교수법 처지와 제도적 지원을 통해 집단을 나누고 이에 따른 학교환경 인식수준을 비교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과 사고력,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학교환경의 특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사고력과 창의성 같이 구체적인 문제해결과정이나 산출물 등을 통해 평가될 수 있는 변인은 자가점검 지표보다 해당 영역의 전문가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Amabile, 1996; Besemer & O'Quin, 1986).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관적 결과를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관점의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공학적 교수, 학습전략을 논의함으로써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 논의에 기여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