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최현경-
dc.creator최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829-
dc.description.abstract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은 미디어가 우리생활에서 꼭 필요한 존재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김소정, 2008). 우리는 이미 넘쳐 나는 미디어의 중심 속에 살고 있으며, 우리 삶의 상당 부분은 미디어가 자리 잡고 있다. 이제 미디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넘어 삶의 전반적인 부분까지 연관되어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은 의사소통 수단의 변화로 이어지며,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소통 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21세기의 핵심 역량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시키고 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영국과 캐나다, 호주, 그리고 미국은 세계의 변화와 미디어 환경의 흐름을 이해하고 오래 전부터 미디어 교육을 실시한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선진국이 되었다. 이제 미디어 리터러시는 개인의 단순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전 영역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지식의 하나로 성장했으며, 국가 경쟁력의 강화와 공동체의 번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이정훈, 이두황, 2011).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범람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 부족이 정책적 간과로 이어지며,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황치성, 김광재, 한승연, 2014). 이처럼 미디어 리터러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으로 강조되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지역과 세대별로 모두 중요한 능력으로 요구됨에 따라 이에 따른 적절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또한 각광 받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에 노출되는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사회성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초등학생 시기의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에 따라. 학년(3, 6학년)에 따라, 성별(남, 여)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미디어 교육프로그램 설계와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 앞서 지역, 학년, 성별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및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 학년, 성별에 따른 해당 변인들의 수준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생의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학년(3, 6학년), 성별(남, 여)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존재하는가? 2. 초등학생의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학년(3, 6학년), 성별(남, 여)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소인 미디어 사용능력,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의사소통 능력 수준의 차이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2014년 10월 13일부터 10월 24일까지 대도시의 초등학생 3, 6학년(남, 여)학생 200명과 중소도시의 초등학생 3, 6학년(남, 여)학생 200명을 합해 400명의 초등학생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389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대상자에 포함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 값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3원 분산분석(3Way-ANOVA), 다변량분산분석(MANOVA)방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학년(3, 6학년), 성별(남, 여)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이 3학년보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도시의 6학년 여학생이 중소도시의 3학년 남학생보다 미디어를 잘 활용하고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3원 분산분석(3Way-ANOVA)에 따른 지역, 학년,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 요인에 대한 수준 차이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학년(3, 6학년), 성별(남, 여)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소인 미디어 사용능력,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미디어 사용 능력과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에서는 지역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도시의 미디어 사용능력과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의 평균이 중소도시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성별에 따른 하위요인의 수준 차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세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사용능력,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의사소통 능력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준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하위요인의 수준 차이에 대한 결과에서도 세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학년 간 차이가 확인 되었다. 이는 3학년보다 6학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학년(3, 6학년), 성별(남, 여)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년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 중에서도 지역과 학년, 지역과 성별, 그리고 지역, 학년, 성별의 경우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먼저, 지역과 학년의 경우에는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미디어 사용능력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지역과 성별의 경우에는 미디어 사용능력과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의사소통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과 학년과 성별의 경우에는 미디어 사용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지역과 학년의 상호작용과 지역과 성별, 그리고 지역, 성별, 학년 간 상호작용 효과가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 6학년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이 속해 있는 환경과 특성에 따라 연구결과가 다르게 측정되거나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에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에는 다양한 지역, 학년 등의 집단에 속해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변인으로 미디어 사용능력,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특정 변인에 따라 연구결과가 다르게 측정되거나 차이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미디어에 대한 도덕적 문제, 저작권에 대한 윤리적인 의식, 성찰과 행동 등의 추가적인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와 변인에 따른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지역 간, 학년 간, 성별 간 상호작용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설계와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알리고, 미디어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특성의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였으며, 변인 간 상호작용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의 수준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이 있을 것이며, 이에 따른 기초 자료 구축 논의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해본다.;Advent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made media the daily necessity in our lives(Sojeong Kim, 2008). We are living in the middle of myriad of media which takes a considerable part of our lives. Beyond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media is linked to overall aspect of life affecting various areas. Such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eads to change in the ways of communication, using various media, for which the need of media literacy is emphasized. This current trend includes media literacy as a core capability of the 21st century and brings up the need of education to improve media literacy capability. Especially the UK, Canada, Australia and the US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world and trend of media environment and have been practicing media education for many years already, for which the countries are now advanc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Media literacy became one aspect of knowledge to influence in all areas of life, not only a mere ability; it draws worldwide attention a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a country more competitive and a community more prosperous(Jeonghoon Lee, Duhwang Lee, 2011). In South Korea however, it lacks the need and awareness while the media environment requires media literacy and proper media literacy education is yet not practiced(Chiseong Hwang, Gwangjae Kim, Seungyeon Han, 2014). As such, media literacy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a necessity; proper media literacy education is receiving great amount of attention as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ability regardless of area, age and gender. It shows that the age when exposed to media is getting younger and prope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important since social skills and values are formed during that stage in life.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 in the level of media literacy according to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grade) and gender(male, femal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media education program Prior to study, concepts and definitions of media literacy are review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o see whether the levels of media literacy vary depending on location, grade and gender; and advanced research was conducted regarding difference of levels of variables for location, grade and gender. Specific study problems to meet the study objective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levels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depending on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grade) and gender(male, femal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Are there difference in level of sub-factors of media literacy, which are ability to use media,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these depending on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grade) and gender(male, femal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dress these study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ising of 200 3rd and 6th graders(male, female) in big cities and 200 3rd and 6th graders(male, female) in small cities, during the period from Oct. 13, 2014 to Oct. 24, 2014. Data on 389 students except missing data was includ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3Way-ANOVA and MANOVA using SPSS 22.0.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levels of media literacy depending on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grade) and gender(male, female) was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Big cities showed higher level of media literacy than small cities, 6th graders than 3rd graders and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media literacy. This can be analyzed that female 6th graders in big cities can use media and communicate through media better than male 3rd graders in small cities. Difference in level by sub-factors of media literacy according to interaction among location, grade and gender in 3Way-ANOVA was not found. Second, analysis on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sub-factors, which are ability to use media,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ability to communicate according to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and gender(male, fema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ility to communication according to location; however ability to use media and ability to communic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 locations. This shows average ability to use media and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in big cities is higher than it is in small cities. For difference in level of sub-factors according to gender, all three sub-factors of media literacy showed difference in gender and such result suggests that female students show higher level of ability to use media,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to communicate than male students. Difference in grades was identified in all three sub-factor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6th graders showed higher level of media literacy than 3rd graders. Next, for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media literacy sub-factors according to location(big cities, small cities), grade(3rd, 6th) and gender(male, female), location and grade, location and gender and location, grade and gender showed significant effect of interaction while gender and grad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case of location and gr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to communicate where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ability to use media. In case of location and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bility to use media and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bility to communicate. Lastly in case of location, grade and gen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ability to use media whereas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to communicat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interactions of location and grade, location and gender and location, gender and grade have significant effect on media literacy level.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based on the results for limitations and further studies.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on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of male and female 3rd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big cities and small cities. Since the results or interaction effect can vary among variabl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samples should be collected from various locations and grades. Second, ability to use media,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information and ability to communicate were chosen as variables to verify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results can vary depending on certain variables therefore additional variables including moral issues on media, ethical awareness on copyright, self-examination and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studies. Lastly, interaction effect among sub-factors according to difference of media literacy level and vari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o reduce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locations, grades and gender,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This study has these limitations but it recognizes the need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s various factors affecting media literacy and confirms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sub-factors according to interaction among variables. To reduce difference in level of media literacy by educational technological approach, it suggests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will contribute to discussion on establishing basic dat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1. 미디어 리터러시 6 1) 미디어 사용능력 6 2)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7 3) 의사소통 능력 7 2. 지역 7 3. 학년 8 4. 성별 8 Ⅱ. 이론적 배경 9 A. 미디어 리터러시 9 1.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9 2.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18 B.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 22 1. 미디어 사용능력 27 2. 정보의 비판적 해석능력 29 3. 의사소통 능력 30 C. 관련 선행연구 33 1. 지역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연구 33 2. 학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연구 36 3. 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연구 41 4. 지역학년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연구 43 D. 선행연구 요약 및 가설 45 1. 선행연구 요약 45 2. 연구가설 47 Ⅲ. 연구방법 50 A. 연구대상 50 B. 측정도구 51 C. 연구절차 54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55 Ⅳ. 연구결과 56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56 1. 지역별 인류학적 특성에 따른 기술통계 56 2.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술통계 57 3. 지역학년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 분석 58 4. 지역학년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의 수준 차이 분석 62 Ⅴ. 논의 및 제언 73 A. 논의 73 1. 지역, 학년, 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 73 2. 지역, 학년, 성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의 수준 차이 분석결과 74 B. 시사점 76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77 참고 문헌 80 부록-1.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측정 초등학생용 설문지 92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8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지역·학년·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 of the media literacy levels according to areas, grades and gender-
dc.creator.othernameChoi, Hyun Kyung-
dc.format.pagexiii, 106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수-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강명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