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군악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Title
군악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Daegum Melody of Kun-Ak : focused on Pyojeongmanbangjigok · Yoochosinjigok ·Junggwangjigok · Manpajeongsikjigok · inherited Private Pungryu from Kim jukpa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By this time, A lot of thesis on Kun-Ak have mostly focused on comparison of ancient music score and current Kun-Ak, study on current Kun-Aks, and study on just one Kun-Ak. There are five musical compositions with Kun-Ak: Junggwang-jigok in which geomungo is pivotal, Pyojeongmanbang-jigok in which hyangpiri is pivotal, Yoochosin-jigok and Manpajeongsik-jigok transposed from Junggwang-jigok, inherited Private Pungryu from Kim jukpa. This paper studied and compare the whole structure, melody grouped by gak(刻), chulhyeoneum, rhythm, and sigimsae in order to analyse Kun-Ak in five musical compositions with melody of wind instrument ‘daegum’.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irstly, comparing the structure of the five Kun-Aks, and are composed of 10gaks in chapter1, 9gaks in chapter2, 23gaks in chapter3, and 6gaks in chapter 4 so they have same number of gaks of 48. The number of gaks in is 48 that is same as and . However, there are 22gaks in chapter3, 7gaks in chapter4 in which means decrease of a gak in chapter3 and increase of a gak in chapter4. Though, has same melody with and . Based on this fact, wrong indication of chapter4 can be inferred so is regarded same as and . A gak is added in chapter1 of and has same number of gaks of 48 in the other chapters. So, is made of 49gaks. also has 48gaks but there is no separation of chapter3 and 4. It means chapter3 is composed of 29gaks. Secondly, comparing the melody of 48gaks in the five Kun-Aks (excepted 3-(1)gak of chapter 1 in ), and all have same melody of 48gaks. Comparing to and , it has a lower octave in 20 gaks but it has same melody as and . Thus, these 20gaks are included in 46gaks which has same melody with and and the melody of 2gaks of chapter2 are different from and . has 41gaks of same melody and the melody in 3gaks of chapter1 and 2gaks of chapter2 have similar melody and 22gaks of chapter2 have different melody. Comparing which is revised to 黃=G, most melody has a lower octave but same melody. So, melody of 35gaks is same and the melody in 5gaks of chapter1, 2gaks of chapter2, and 22gaks of chapter3 is similar. 2gaks of chapter1 and chapter2 have different melody. Among them, 2gaks of chapter2 have same melody with . Thirdly, comparing the chulhyeoneum of the five Kun-Aks, in, , and , ‘林, 南, 潢, 汰, 㳞’ appears to chapter1-gak2 so this is ‘林-南-潢-汰-㳞, im-jong-jo’ and also ‘太, 姑, 林, 南, 潢’ appears from chapter1-gak3 to last gak of chapter4 so it is ‘太-姑-林-南-潢, tae-ju-jo’. Because ‘潢’ from chapter3-gak12 to jangdan12 is stretching note, it is called Gwonmaseong. In addition, it is ‘林-南-潢-汰-㴌, im-jong-jo’ that is different from ‘tae-ju-jo’. In there is ‘林, 南, 潢, 汰, 㴌’ in chapter1-gak1 and gak2 so it is ‘im-jong-jo’ and ‘汰, 㴌, 淋, 湳, 㶂’ appears from chapter1-gak3 to chapter4-gak6 so it is ‘tae-ju-jo’. From chapter3-gak12 to jangdan12, it is ‘im-jong-jo’ which is same as Gwonmaseong in , , . For that reason this part is called ‘Gwonmaseong’ as well. In which is revised to 黃=G, there is ‘㑣, 㑲, 黃, 太’ in chapter1-gak1 and gak2 but there is no ‘姑’ or ‘仲’ following. From chapter1-gak3 to chapter3-gak29, ‘太, 姑, 林, 南, 潢’ appears so it is ‘tae-ju-jo’ and from chapter3-gak12 to jangdan12, it is same Gwonmaseong ‘im-jong-jo’ as the other four compositions. Fourthly, comparing the rhythm of the five Kun-Aks, when 12baks are divided into 3baks(?), there are 4 rhythms of 3baks(?) in a gak. Therefore, there are 964times of 39 kinds of rhythms of 3baks(?). (192times of , , , and 196times of ) Among 39 kinds of rhythms of 3baks(?), the most used rhythm is ‘?’ that is used 252times(26.2%), second most used rhythm is ‘?♩’ that is used 208times(21.6%), and then ‘?♪♩’is used 149times(15.5%). Especially, ‘?’ is used mostly in chaper3 in five Kun-Aks, ‘?♩’ mostly appears in chapter3 of . Lastly, comparing the sigimsae of the five Kun-Aks, the number of sigimsae is 278 and there are 12 kinds of sigimsaes in five Kun-Aks. These sigimsaes appear 67times in , 71times in , 19times in , 77times in , and 44times in . Among these 12 kinds of sigimsaes, sigimsae ‘’ is used 127times(45.7%), sigimsae ‘’ is used 44times(15.8%), and sigimsae‘’ and sigimsae‘’ is used 23 times(8.3%) each.;지금까지 연구한 군악에 대한 논문들은 고악보와 현행의 군악을 비교한 논문, 현행의 군악들을 연구한 논문, 그리고 군악 한 곡만을 연구한 논문들이 대부분이다. 군악이 나타나는 악곡은 거문고가 중심이 되는 중광지곡, 향피리 중심의 표정만방지곡, 중광지곡을 4도 낮게 조옮김한 유초신지곡과 만파정식지곡, 김죽파 전승 민간풍류로 다섯 가지이다. 본고는 지금까지 연구하지 않았던 다섯 가지 악곡에 나타나는 군악을 관악기 대금의 선율로 분석하기 위하여 전체 구성, 각(刻)별로 묶은 선율, 출현음, 리듬형, 시김새 등을 비교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섯 가지 군악의 구성을 비교해보면, <유초신>과 <중광>은 제1장 10각, 제2장 9각, 제3장 23각, 제4장 6각으로 구성되어, 총 각수가 48각으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정>의 총 각수는 48각으로 동일하지만, 제3장이 22각, 제4장이 7각으로 구성되어, 제3장은 1각 줄고, 제4장은 1각 늘어난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곡과 선율이 동일하므로 제4장 표기가 한 각 앞서 잘못 표기 되어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초신>, <중광>과 동일하다고 판단된다. <만파>는 제1장에서 1각이 추가되고, 다른 장은 동일하여 총 각수가 49각으로 구성되어있다. <죽․풍>은 총 각수가 48각으로 동일하지만, 제3장과 제4장의 구분이 없어 제3장이 29각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섯 가지 군악의 선율을 비교해보면, <만파>의 제1장 제3-(1)각을 제외한 48각의 선율을 비교해봤을 때, <표정>과 <유초신>은 전체 48각의 선율이 동일하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광>은 <표정>, <유초신>과 비교하였을 때, 20각의 선율이 한 옥타브 아래로 진행되지만 이것은 동일한 선율이다. 그러므로 48각 중 이 20각을 포함한 46각은 동일한 선율로 진행되고, 제2장의 2각은 다른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파>는 41각이 동일한 선율로 진행되고, 제1장의 3각, 제2장의 2각은 <표정>, <유초신>과 유사한 선율로 진행되며, 제2장의 2각은 다른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죽·풍>은 실음으로 기보된 음을 장3도 내려 黃=G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선율이 <표정>과 <유초신>보다 한 옥타브 아래로 진행되지만 이 선율 또한 동일하므로, 35각은 동일한 선율로 진행되고, 제1장의 5각, 제2장의 2각, 제3장의 2각은 유사한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장의 2각과 제2장의 2각은 다른 선율로 진행되는데, 이 중 제2장의 2각은 <중광>의 선율과 동일한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섯 가지 군악의 출현음을 비교해보면, <표정>, <유초신>, <중광> 세 곡 모두 동일하게 제1장 제2각까지는 ‘林, 南, 潢, 汰, 㳞’이 출현하므로 이것은 ‘林-南-潢-汰-㳞’의 ‘임종조’이고, 제1장 제3각부터 제4장 마지막각까지는 ‘太, 姑, 林, 南, 潢’이 출현하므로 ‘太-姑-林-南-潢’인 ‘태주조’이다. 제3장 제12각부터 12장단까지의 ‘潢’은 쭉 뻗는 음이기 때문에, 권마성이라고도 불리며, 앞부분의 ‘태주조’와는 다른 선법인 ‘林-南-潢-汰-㴌’의 ‘임종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만파>의 제1장 제1각과 제2각은 ‘林, 南, 潢, 汰, 㴌’가 출현하므로 이것은 ‘林-南-潢-汰-㴌’의 ‘임종조’이고, 제1장 제3각부터 곡의 마지막각인 제4장 제6각까지는 ‘汰, 㴌, 淋, 湳, 㶂’이 출현하므로 이것은 ‘태주조’이다. 제3장 제12각부터 12장단까지는 <표정>, <유초신>, <중광>의 권마성과 동일한 ‘林-南-潢-汰-㴌’의 ‘임종조’이다. 이 부분 역시 ‘권마성’이라 불린다. <죽․풍>은 실음을 장3도 내려 黃=G로 보면, 제1장 제1각과 제2각은 ‘㑣, 㑲, 黃, 太’가 출현하고, 그 뒤에 ‘姑’나 ‘仲’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1장 제3각부터 곡의 마지막각인 제3장 제29각까지는 ‘太, 姑, 林, 南, 潢’이 출현하므로 이것은 ‘태주조’이고, 제3장 제12각부터 12장단까지는 다른 네 곡과 동일한 권마성으로 ‘林-南-潢-汰-㴌’의 ‘임종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다섯 가지 군악의 리듬형을 비교해보면, 한 각인 12박을 3박(?)씩 나누었을 때, 한 각 안에 3박(?)의 리듬형이 4회 등장한다. 이것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3박(?)의 리듬형은 총 39종류이며, <표정> 192회, <유초신> 192회, <중광> 192회, <만파> 196회, <죽․풍> 192회로 총 964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가장 많이 등장한 리듬형은 ‘?’이며, 252회(26.2%) 등장하고,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 리듬형은 ‘?♩’로 208회(21.6%) 등장하며, 그 다음으로는 ‘?♪♩’리듬형이 149회(15.5%)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리듬형은 모든 군악의 제3장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듬형은 <죽․풍>의 제3장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섯 가지 군악의 시김새를 살펴보면, 다섯 악곡에 12종류의 시김새가 총 278회 나타났다. 이 시김새는 <표정> 67회, <유초신> 71회, <중광> 19회, <만파> 77회, <죽․풍> 44회로 나뉘어 나타나는데, 이 중 ‘’가 127회(45.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가 44회(15.8%)로 많이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난 시김새는 대금의 대표적 시김새인 ‘’와 ‘’로 각각 23회(8.3%)씩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