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연-
dc.contributor.author정다연-
dc.creator정다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6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666-
dc.description.abstract서론: 약물 치료에서 약사의 환자교육과 복약지도는 환자에게 안전성과 순응도를 높여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고 질병에 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는 국내외 많은 연구들에서 입증되고 있다. 특히 중재 효과는 심혈관계질환, 암과 같은 위험성이 높은 질병에서 그 효과가 크다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죽상경화판이 터져 생긴 혈전과 혈관수축물질로 인해 관상동맥이 수축과 폐쇄를 일으켜 흉통, 심장마비 등을 일으키며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질환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통계를 살펴보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유병률과 재발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환자들의 질병과 약물 치료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는 약사의 중재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Ovid-medline, CINAHL, EMBASE, Cochrane library를 이용해 2000년 이후로 출판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Acute coronary syndrome”, “Myocardial infarction”, ”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NSTEMI”, “STEMI”, “unstable angina”와 “Pharmacist”, ”Pharmacists”, “Pharmaceutical service”, “Pharmaceutical care”, “Community pharmacy service”, “hospital pharmacist”등으로 P(patient)와 I(intervention)을 정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은 초록과 원문이 영어로 된 문헌을 검색하였고 단어 선정과 문헌 선정에 있어 저자와 지도 교수 1인이 함께 하였다. 포함 기준과 배제 기준으로 문헌을 선택, 선정하였고 3편의 무작위 배정연구와 6편의 비무작위 배정연구 총 9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이 후 퇴원 처방약, 복약 순응도, 재입원율, 사망률에 따라 outcome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하였으며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비뚤림 위험도를 조사하고 출판 편중을 평가하기 위해 funnel plot을 그려보았다. 메타 분석은 Cochrane Review Manager software 5.3(RevMan)을 사용하여 Mantel-Haenszel(M-H) random, 95% Confidence interval을 바탕으로 forest plot과 Odds ratio를 나타내었고 무작위 배정 연구의 비뚤림 조사는 Cochrane Risk of Bias, 비무작위 연구는 RoBANS를 이용하였다. 결과: 퇴원 처방약에 대한 분석에서 β-blocker,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 statin과 모든 약을 병용투여한 전체 병용투여의 경우 메타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복약 순응도의 연구는 문헌 고찰방법으로 연구하였는데 Gujral, G. et al, 2014의 연구를 제외하고 대체로 약사의 중재가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spirin, clopidogrel의 퇴원 처방과 재입원율, 사망률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Funnel plot을 그렸을 때 각 연구의 출판 편중은 없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저자는 급성 관상동맥 환자에 대한 약사의 중재와 성과를 알아보았다. 퇴원 처방약의 메타분석연구에서 β-blocker, ACE/ARB, statin과 total combination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순응도의 고찰 연구에서 환자의 복약 순응도와 약물 치료에 대한 신뢰, 교육에 대한 기억에 관해 약사의 중재가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추가적인 정량 분석을 통해 이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spirin, clopidogrel의 퇴원 처방과 재입원율, 사망률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것은 축적된 연구들을 통해 다시 한번 반복된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검증되어야 하며 약사의 중재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더 많은 약사들의 적극적인 중재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Object: The systematic review is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harmacist’s clinical intervention on secondary prevention of acute coronary syndrome using a meta-analysis. Method: Studies on pharmaceutical care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published from January 2000 until September 2014 were identified through Pubmed, Embase, CINAHL, Cochrane library, Ovid-medline. Nine trials were chosen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chrane Review Manager software 5.3(RevMan) was used to meta-analysis. To assess the quality of studies, Cochrane’s Risk of Bias (ROB)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were used. ROB is the tool for assess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RoBANS is the tool for assessing Non-randomized studies. Odds ratio and Forest plot was used to improve interventions of pharmacist about discharge on a regimen, readmission, mortality. To assess the publication bias, funnel plot was used. Result: The odds ratios for discharge on regimen of β-blocker, ACE/ARB, statin, total combination of the medications were 1.41(95%CI: 1.00,2.00), 1.58(95%CI: 1.30,1.93) and 2.23(95%CI: 1.33,3.76), 2.19(95%CI: 1.69,2.85) respectively. The odds ratios for discharge on regimen of aspirin and clopidogr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odds ratio for readmission was 0.75(95%CI: 0.45, 1.27) and the odds ratio for mortality is 0.89(95%CI: 0.57, 1.39). Regarding medication adherence, study suggested that the pharmacist help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have the belief of medications and improve adherence of medi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harmacist’s management and intervention on secondary prevention of acute coronary syndrome were appea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increasing medication utilization at discharge and adherence. However the effect on readmission and mortality weren’t shown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 studies would be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pharmacist’s interven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목적 7 Ⅲ. 연구대상 및 방법 8 Ⅳ. 연구결과 14 Ⅴ. 고찰 31 Ⅵ. 결론 36 참고문헌 61 부록(설문지) 64 ABSTRACT 66 감사의 글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88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급성관상동맥증후군환자에 대한 약사의 중재와 성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Pharmacist-initiated Interventions in Improving patient care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c.creator.othernameJeong, Da Yeon-
dc.format.pagevi, 68 p.-
dc.contributor.examiner이병구-
dc.contributor.examiner이순실-
dc.contributor.examiner이정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