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5 Download: 0

군 복무 병사들의 자궁경부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대한 지식 및 백신 접종 의향

Title
군 복무 병사들의 자궁경부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대한 지식 및 백신 접종 의향
Other Titles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cancer, human papillomavirus(HPV) and acceptability of vaccination among the personnel in Korean military service
Authors
신현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본 연구는 군 복무중인 병사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과 백신 접종 의향을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지역에서 군 복무중인 만 18세 이상 26세 미만의 병사 550명을 편의추출 하였으며, 그 중 최종 분석에 사용된 4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11월 30일부터 2012년 12월 30일까지였다. 자궁경부암 지식은 한유정 등(2007)이 개발하고 박수정과 박효정(2011)이 수정한 총 8문항의 지식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은 Pitts 등(2009)이 개발하고 박수정과 박효정(2011)이 번안한 총 13문항의 지식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x²-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e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8세로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84.4%였고 미혼자가 98.4%였다.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자가 67%였으며 부모의 경제 상태를 ‘중’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79.6%였다. 흡연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62.0%였으며, 음주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84.4%였다. 자궁암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는 3%였다. 2. 연구 대상자 중 성관계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85.2%였고 이성과 처음 만난 후 성관계까지 걸리는 기간이 ‘1개월 이상’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0.1%,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가장 적절한 시기를 ‘초등학교 때’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2.4%였다. 군 복무기간 중 성에 관련된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8.8%였고, 그 중 성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7.9%였다. 3. 연구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지식 정도는 8점 만점 중 6.03±1.52점이었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 정도는 13점 만점 중 8.15±1.75점이었다. 4. 연구 대상자 중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대상자는 8.3%로 나타났고, 그 중 방송매체를 통해 들은 대상자가 39%로 가장 많았으며 백신 접종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75.6%로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지식은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에 따라 ‘대학교 재학 이상’이 ‘고졸이하’보다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F=3.262, p=.039), 음주경험에 따라 ‘술을 마시는 자’가 ‘술을 마시지 않는 자’보다 높았다(F=2.041, p=.044).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은 계급에 따라 ‘병장’이 ‘이병’보다 높게 나타났고(F=3.027, p=.029), 종교의 유무에 따라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지식 정도가 높았다(F=-2.337, p=.020). 성관련 특성에서는 성교육 시기에 있어 ‘유치원 때’가 ‘고등학교 이상’보다 지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3.119, p=.026). 6. 연구 대상자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향은 자궁경부암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χ2=12.237,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관련 특성 중 처음 만난 후 성관계까지 걸리는 기간(χ2=11.787, p=.003)과 군 복무중 성교육 경험(χ2=12.26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궁경부암 지식정도(χ2=12.764, p=.001)와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정도(χ2=8.995, p=.003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군 복무 중인 병사들의 백신 접종 의향은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복무중인 남성 대상의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대상자의 지식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대상자가 있는 군 집단에서 개개인의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수준, 음주 경험 유무, 계급, 성교육 시기 등에 따라 교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성에 대한 조기교육 시 자궁경부암의 발생 요인 및 생식기 사마귀 등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에 대한 내용이 교과과정에 속해 있다면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여성 뿐 아니라 남성들도 생식기 사마귀 또는 생식기 암, 여성의 자궁경부암에 대해 잘 알고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 남성 및 여성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HPV and acceptability of vaccination in Korean soldiers on active du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30, 2012 to December 30, 2012. The sample was consisted of 494 male soldiers aged 18 to 26 on duty in D area.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was measured using an 8-question instrument which is developed by Han et al.(2007) and modified by Park and Park(2011), and the knowledge of HPV was measured using a 13-question instrument which is developed by Pitts et al.(2009) and translated by Park and Park(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x²-test, ANOVA by using IBM SPSS 21.0 program. Scheffe test was employed as a post-ho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20.8 years. Unmarried 98.4%, university or higher education 67%, moderate financial status of parents 79.6%, smoking experience 62.0%, drinking experience 84.4%, participants who has family history of cervical cancer were 3%. 2.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d 85.2%, the most time to have sexual intercourse after first date were over 1 month (50.1%). The most proper time to be performed sexual education was 'elementary school'(52.4%). The participants who receive an sexual education during the military service were 68.8%. 3. The participants who had heard of HPV were 8.3%, 39% of them had heard from mass media. The vaccination acceptance was 75.6%. 4. The mean score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was 6.03±1.52 out of 8, and mean score of HPV knowledge was 8.15±1.75 out of 13.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depending on education (F=3.262, p=.039), drinking alcohol (F=2.041, p=.044). HPV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nk(F=3.027, p=.029) and religion(F=-2.337, p=.020). 6. The knowledge of the cervical canc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at you feel when should be sexual education done(F=3.119, p=.026). 7. HPV vaccination inten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knowledge about the cervical cancer(χ2=12.764, p=.001), and knowledge about HPV(χ2=8.995, p=.003), level of education (χ2=12.237, p=.002), the period it takes to sex after first date(χ2=11.787, p=.003), sexual education during the military service(χ2=12.269, p=.001).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eptability of HPV vaccination depending on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HPV. Hence when the planning of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HPV vaccination intention of the male in military servi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ervical cancer and HPV knowledge of educatee. In detail, status of education, rank, the time of sexual education and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the prevention of female cervical cancer, male genital warts and genital canc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