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기독교인 어머니의 부모 역할 신성화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 자녀의 내재화 행동문제 간 관계

Title
기독교인 어머니의 부모 역할 신성화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 자녀의 내재화 행동문제 간 관계
Other Titles
Christian Mother’s Sanctification of Parenting, Parent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Authors
경예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theistic sanctification of parenting among Christian mothers on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Based on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ligiosity and children’s positive psychological outcome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Christian mothers’ tendency to sanctify their parenting roles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pecifically, it is hypothesized that psychological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nd adolescent’ emotional functioning. A sample of 226 adolescents ages 10-18 completed surveys that measure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e.,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mothers reported on sanctification of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behaviors. To test the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Results revealed that psychological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the sacred in parenting and children’s lower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Contrary to the hypothesis, sanctification of parenting per se was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emotional functioning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stead, greater maternal sanctification of parent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ladap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in turn was linked to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thers’ spiritual cognitions related to parental roles are related to lower levels of maladaptive parenting behavior that can subsequently contribute to better emotional adjustment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어머니가 부모의 역할을 신성하게 지각하는 경향성과 부정적인 양육행동이 아동 및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행동문제와 갖는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중·고등학생 자녀 226명과 기독교인 어머니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어머니들은 부모 역할 신성화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에 대한 자기보고식 문항에 응답하였고, 자녀들은 우울과 불안을 포함한 내재화 행동문제에 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부모의 높은 종교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정적 관련성을 갖고, 부모 역할 신성화는 긍정적인 자녀 양육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부모 역할 신성화가 자녀의 낮은 내재화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면서, 이 두 변인 간 관계를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가 지각한 부모 역할 신성화 경향성은 자녀의 우울 및 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예상대로 부모 역할 신성화는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은 아동이 보고한 우울 및 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부모 역할 신성화와 자녀의 내재화 문제 간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과는 달리 어머니의 부모 역할 신성화가 자녀의 내재화 문제와 정적 관련성을 가졌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해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 역할 신성화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을 매개로 자녀의 내재화 문제를 예측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부모 역할을 신성화 하는 것은 낮은 심리적 통제 양육과 관련이 있고, 이는 자녀들의 낮은 우울 및 불안 수준과 연관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때, 부모 역할 신성화는 자녀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대해 직접적인 예측력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가 부모의 역할을 신성하게 지각하는 것이 자녀에게 직접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가 양육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종교성/영성 관련 신념이 직접적인 자녀 양육행동을 예측하고, 이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종교성/영성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종교적 신념을 가진 어머니가 자녀 양육을 하는 과정에서 신의 존재를 지각하는 것이 역기능적인 양육행동을 감소 시키는 보호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 관계가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