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중학생의 기질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조절효과 연구

Title
중학생의 기질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조절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al dimension of novelty-seek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 of executive function
Authors
박수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극추구 기질이 외현화 문제(규칙위반, 공격행동)를 예측하는데 있어 실행기능(억제, 전환, 작업기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질과 외현화 문제를 측정하였고, 설문조사를 완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검사를 실시하여 실행기능을 측정하였다. 총 13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극추구 기질을 독립변인으로, 실행기능의 세 하위차원 각각을 조절변인으로, 외현화 문제의 두 하위차원 각각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Aiken과 West(1991)가 제시한대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새로운 자극에 대한 접근 성향과 방해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회피 성향을 나타내는 자극추구 기질이 규칙위반과 공격행동의 외현화 문제 하위차원 각각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의 세 하위차원 중 억제만이 자극추구 기질이 공격행동문제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극추구 기질이 뚜렷하더라도 청소년기에 발달하는 고차원적인 인지기능 중 하나인 억제 능력의 수준이 높은 경우 공격적인 행동을 덜 나타내고, 억제 능력의 수준이 낮은 경우 공격적인 행동을 더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특히 지배적인 반응을 통제하고 비지배적인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능력인 억제가 공격행동의 조절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억제 능력은 훈련에 의하여 향상될 수 있으므로, 기질적으로 분노와 같은 정서에 취약하고, 정서 및 행동조절의 어려움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중학생들에 대하여 억제 능력의 함양을 위한 개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EF) are both related to self-regulation, but have rarely been studied together.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rule-breaking behaviors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and the role of EF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Temperament is defined as individual differences in psychobiological systems within neural structures. Novelty seeking, a sub-dimension of temperament as conceptualized by Cloninger(1987), has shown to consistently predict externalizing problems according to extant literature. There has been accumulating evidence that EF, an umbrella term that refers to a group of higher-order cognitive abilities (i.e., inhibition, set shifting, and working memory) organized for goal-directed behavi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emotion and behaviors. By middle school, the level of EF reaches that of adult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136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yungnam province by using self-report surveys for tempera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 EF was measured by administering computerized tests for inhibition and set shifting, and one-on-one test for working memory.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al analyses revealed that novelty seeking indeed explained significant variance of both rule-breaking behaviors and aggression, respectively. The moderating effect of EF was only significant for inhibition between novelty seeking and ag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inhibition when helping adolescents with problems of aggressive behaviors and temperamental disposition toward behaving impulsively and feeling angry.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gearing toward improving the ability to inhibit dominant and automatic responses in order to fulfill one's purpose for adolescents with problems of aggressive behaviors is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