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윤진영-
dc.creator윤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1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pictorial attachment sto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existing tests and experts discussion, it was selected the story stem which could activate attachment system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n, it was developed the pictures depicting attachment story stem and coding scales. Through pilot and preliminary study, it was determined a set of twelve drawings and six coding scales. In the validity study, it was tes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is instrument using a sample of 152 children aged 4-6 in the general and clinical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orial attachment sto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was comprised of a set of twelve drawings, one warm-up scene, ten scenes depicting attachment related situation, and a wrap-up scene; ‘birthday'. ‘spilled juice', ‘hurt knee', ‘nightmare at midnight', ‘parent's departure', ‘reunion', ‘rejection from friends', ‘challenge to dangerous slide', ‘being lost and alone in a department store', ‘winning a race', ‘being annoyed by difficult puzzle', and ‘family pleasure'. The coding scale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and concepts from various existing instruments using narrative approaches. Six scales are coded. Positive representation to the caregiver and resolution of a story issue were designed to capture of secure attachment representation. Insecure attachment representation is comprised of four scales, which are negative representation to the caregiver, avoidance of a story issue, role reversal, and disorganized themes. Second, analysis of story stems and coding scales showed that pictorial attachment story stem could activate the attachment system of a child and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coding scales. Also, a further studies would be recommended to figure out more sensitive story stem and refine coding scales. Third, by examining internal consistency, inter-rater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pictorial attachment story test was stable and reliable. Fourth, the pictorial attachment story test seemed to a valid measure of the construct of attachment representation.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t had sound construct validity. Also, the comparison of contrasted group suggested the additional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asure of the child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problems and attachment representa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ROC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is instrument was useful to discriminate between the general and clinical population regard to attachment problem. In summary, it was proven that this instrument wa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measure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 Also, it showed encouraging psychometric properties. As a clinically relevant research tool, it could give a window onto child's own experience and expectation of caregiver's availability and responsiveness. As such, it could be applied in the evaluation of being considered for therapy or as a part of psychological tests.; 본 연구는 학령전 아동의 양육자에 대한 애착 표상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학령전 아동의 애착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애착 이야기를 선정하고, 애착 이야기 그림을 제작하였다. 또한, 애착 이야기에 대한 내러티브 반응을 통해 애착 표상을 측정하는 평정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연구를 거쳐 총 12개의 애착 이야기와 6개의 평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를 만 4~6세의 아동 152명에게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학령전 아동을 위한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개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전 아동의 애착 표상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내러티브 접근법을 통해 애착 표상을 평가하는 척도들을 조사하여 학령전 아동의 애착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12개 애착 이야기 그림을 선정하고, 6개의 평정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해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 문항의 내적합치도 및 문항 간 상관을 확인한 후 평정 문항을 확정하였고, 검사의 실시 절차 및 평정 지침을 완성하였다. 최종 선정된 애착 이야기는 워밍업 이야기로 ‘생일 파티’와 끝맺음 이야기로 ‘즐거운 가족’을 포함하여, ‘쥬스를 엎질렀어요.’, ‘산책을 하다가 다쳤어요.’, ‘한 밤 중에 악몽을 꾸고 일어났어요.’, ‘엄마 아빠가 여행을 가요.’, ‘엄마 아빠가 여행에서 돌아와요.’, ‘친구들이 놀아주지 않아요.', ‘위험한 미끄럼틀에 도전해요.’, ‘백화점에서 엄마를 잃어버렸어요.', ‘달리기에서 1등을 했어요.’, ‘퍼즐이 너무 어려워요.’이다. 또한, 안정애착 표상을 구성하는 문항으로 ‘양육자에 대한 긍정 표상’과 ‘이야기 주제의 해결’이 포함되었고, 불안정애착 표상을 구성하는 문항으로는 ‘양육자에 대한 부정 표상’, ‘이야기 주제에 대한 회피’, ‘역할 전도’, ‘비조직화 주제’가 선정되었다. 둘째, 애착 이야기 그림에 대한 평정문항 분석 결과, 10개의 애착 이야기 그림은 양육자에 대한 애착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애착 표상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평정문항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른 애착 표상에서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애착 이야기 그림 및 평정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애착 표상의 측정에 더 민감한 이야기의 선별과 평정문항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셋째, 신뢰도 분석 결과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문항의 내적합치도는 .66~.84까지의 범위로 허용 가능한 수준을 보여 애착 표상을 일관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평정자간 신뢰도는 .76~.98,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5~.92의 범위를 보여 본 척도가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척도의 타당도는 네 가지 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우선, 구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대조집단 평균 비교를 실시하였다. 평정문항에 대해 안정애착 표상과 불안정애착 표상을 가정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 본 척도가 양육자에 대한 애착 표상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대조집단 평균 비교 결과 기존의 척도를 통해 안정애착 유형으로 분류된 집단과 불안정애착 유형을 분류된 집단 간에 본 척도를 통해 측정한 애착 표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군과 임상군 간에도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여 본 척도가 양육자에 대한 애착 표상이라는 구인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공준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애착 Q-set에서의 애착안정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나, 애착 표상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에 대해 선행 연구 결과에 근거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 애착 표상과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는 정서 조절 및 문제 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본 척도가 양호한 수준의 예측타당도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타당도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ROC 분석 결과, 본 척도를 통해 애착 문제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령전 아동을 위한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는 애착 이야기 그림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 양육자에 대한 애착 표상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써, 국내에서는 최초로 개발된 평가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척도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어 심리측정적으로 안정적인 검사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학령전 아동의 애착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절차와 평정 지침이 매뉴얼화되어 다양한 장면에서의 실질적 활용도 역시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본 척도를 통해 양육자와의 애착에 문제가 있는 아동의 선별이 가능하고, 따라서 문제가 보다 심각해지기 전에 심층 평가 및 개입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양육자와의 안정 애착 형성 및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과 적응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애착과 내적 작동 모델 7 1. 애착의 정의 7 2. 내적 작동 모델 9 B. 애착의 측정 12 1. 애착 측정의 기본 모델: 낯선 상황 절차와 성인애착 면접 12 가. 낯선 상황 절차 12 나. 성인 애착 면접 14 2. 내러티브를 통한 애착 표상의 측정 15 가. 투사적 검사의 특징 16 나. 학령전 아동의 내러티브 특성 18 다. 내러티브를 통한 애착 표상 측정 도구들 20 라. 기존 내러티브 접근법의 장점과 한계 36 C. 애착 표상 관련 변인들 39 1. 애착과 정서 조절 39 2. 애착과 문제 행동 40 Ⅲ. 연구 방법 42 A.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개발 42 1. 애착 이야기의 선정 및 그림 제작 44 2. 평정문항 개발 48 B. 예비 연구 55 1. 연구 대상 55 2. 연구 도구 및 절차 56 3. 연구 결과 56 4. 최종 선정된 애착 이야기 그림 및 평정문항 57 C. 타당화 연구 59 1. 연구 대상 59 2. 연구 절차 63 3. 측정 도구 65 4. 분석 방법 68 Ⅳ. 연구 결과 70 A. 애착 이야기 그림에 대한 평정문항 분석 70 B.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문항 및 하위 구인에서의 점수 차이 비교 75 1.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문항 및 하위 구인에서의 남녀에 따른 점수 차이 비교 75 2.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문항 및 하위 구인에서의 연령에 따른 점수 차이 비교 76 3.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평정문항 및 하위 구인에서의 가정 소득 수준에 따른 점수 차이 비교 78 C. 신뢰도 분석 79 1. 내적합치도 79 2. 평정자간 신뢰도 80 3. 검사-재검사 신뢰도 81 D. 타당도 분석 82 1. 구인타당도 검증 82 가. 확인적 요인분석 82 나. 대조집단 평균비교 84 2. 공준타당도 검증: 애착 Q-set을 통한 애착안정성과의 관련성 88 3. 예측타당도 검증 89 가. 애착과 정서 조절 89 나. 애착과 문제 행동 90 4.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91 V. 논의 94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94 B. 연구의 의의 106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0 부록 129 ABSTRACT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19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학령전 아동을 위한 애착 이야기 그림검사의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Pictorial Attachment Sto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dc.creator.othernameYun, Jin Young-
dc.format.pagex, 153 p.-
dc.contributor.examiner김아영-
dc.contributor.examiner남민-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