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문제해결력함양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문제해결력함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Art Class on Developing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First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 Focusing on UCC Making Class
Authors
구슬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다변화하는 미디어환경의 현대사회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 매체의 활용능력과 문제해결력은 필수 학습요소이다. 이를 위해서 미술과에서는 다양한 매체활용능력을 바탕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적극적인 수용자이면서 자주적인 창조자가 되도록 가르쳐야 하며, 청소년들의 삶 속에서 당면하는 문제 상황에서 자신이 습득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재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문제해결능력을 가르쳐야 한다. 이에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실제세계의 문제에 맞도록 활용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 창의적인 문화의 창조자로 기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해결력은 현대사회를 살아갈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핵심역량이다. 청소년들이 길러야 할 문제해결력은 지적기능 중 가장 상위를 차지하는 고등 사고력으로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및 여러 가지 하위 사고기능들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적인 사고능력이다. 최숙영(2011)에 의하면 21 세기의 삶과 직업을 위해 청소년이 갖춰야 할 기본 학습 소양으로 크게 ‘창의성과 혁신’, ‘비판적 사고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협동’이라 제시하고 문제해결력을 가장 핵심적 소양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UCC 제작 중심의 미술수업에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영상미술의 지식을 습득하고 재창조함과 동시에 고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의 함양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적용한 문제중심학습모형은 실제 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비구조화된(ill-structured) 문제의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의미 있는 해결방법을 찾아나가게 하여 교과 지식과 과정지식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전략을 동시에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구성주의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교수전략이다(조연순,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동영상 UCC 제작 미술수업이 고등학교1 학년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동영상 UCC 제작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하고 있는 S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학년 네 학급의 학생 101 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51 명, 통제집단 50 명으로 나눈 후, 각 12 차시, 10 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는, Heppner 와 Peterson(1982)이 개발한 문제해결척도(Problem –Solving Inventory ; PSI)를 우리나라 청소년 연구에 맞게 한국어로 번안한 홍영수(2004)의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결과물은 질적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적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평균은 28.17 증가하였는데 반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0.24 증가하여 그 향상 정도에 있어 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전통방식의 미술과 수업보다 문제해결력 함양에 더 높은 증진을 보였다. 둘째,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방식의 미술과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의 세 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문제해결력 접근·회피 양식과 자신감에 높은 증진을 보였다. 셋째,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실기결과물의 질적 분석에서 보면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에 도달한 학생이 많았으며 모든 면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넷째,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수업에 대한 학생 평가지’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학습활동과 작품 제작활동에 대한 질문에 전체학생의 반 이상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PBL 을 적용한 동영상 UCC 제작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생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PBL 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는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며 미술과에서 매체를 확장하여 지식을 재구성하는 주체적인 편집과정이 담긴 실천적인 표현활동을 통해 지식의 상관관계를 터득하여 문제해결력 인식의 변화뿐만이 아닌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PBL 의 적용이 학습자의 학습의 몰입도, 학습의 주체라는 정체성, 창의적인 제작활동, 협동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 가는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실현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이 같은 결론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앞으로 학교현장에서 밀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문제해결력 함양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길 바라며,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러 다양한 교과뿐만 아닌 사회적인 이슈를 바탕으로 하여 지식의 습득에서 그치는 교수·학습이 아닌 지식을 재구성하고 편집하는 탁월한 능력을 갖춘 학습자가 되도록 지도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한 문화 창조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미술과 수업에서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교육현장과 학습자와 밀접한 실천적인 미술교육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re is increasing need for teaching teenager media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o recognize social problems around them, who live in modern society under diversifying media circumstances. For this reason, Fine Art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teaching students to be an independent creator and active consumer who can use media literacy with critical attitude toward media contents, and to foster problem solving ability to solve the present question in life situation with various knowledge and techniques learned. So,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focuses on instructing students to select, apply, and reorganize the various knowledge of art regarding real world situation, and to be a creative cultural inventor. This problem solving ability is one of the essential core competencies for teenager who lives in modern society. The problem solving ability is one of the most advanced and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which contains critical, creative thinking, and several subordinate thinking processes. According to Choi, Sook-young(2011), ‘creativity and innova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re emphasized as the core knowledge to be equipped by teenager, which is required for 21 century’s life and job. Therefore, this resear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high school art class focusing on UCC making, so that students could learn and recreate video art knowledge and acquir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in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al world phenomenon as ill-structured problems, so that it makes students find meaningful resolution themselves and it is an instructional strategy and constructivist approach which teaches not only subject and process knowledge, but also problem solving strategies simultaneously(Jo, YounSoon, 2006). Thus, this research is aimed to know the effect of UCC making art class in problem-based learning context o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So, I designed UCC making lessons applying PBL(problem-based learning), and taught the 101 students of S high school in Seong dong-gu, Seou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51 and a control group of 50, and the lessons were given 12 times and 10 times to each grou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measured by Problem-Solving Inventory(PSI) developed by Heppner and Peterson (1982), which was translated by Hong, Young Su(2004) for teenager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ver21.0 and the outcome which cannot be analyzed statistically was analyzed qualitative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 examined the effect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high school art class. The summary is below. First,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 who were given PBL applied art lessons increased to 28.17, while the control group only showed 0.24 increasing. In this research, PBL applied art lessons have shown the greater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lecture learning in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 improvement in the areas of approach avoidance style and confidence among three of subordinate scope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s performances reach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got better evaluation. Forth, more than half of the experimental group’s students carried out positive evaluation on the questions about the problem-based learning activity and the UCC making activity. To conclude, this research provides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 of PBL based UCC making art lesson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and indicated the awareness change and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attitude through the extension of art media, knowledge reorganization through practical expressing activity within independent editing process. Also, ‘the student evaluation of instruction form’ revealed positive evaluation for students’ engaging in learning, an independent identity, creativity of activity and cooperation, and it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Regarding this conclusion, there ar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uture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programs for acqu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t needs to be provided systematically by considering learners level. Also, using social issues as well as various subjects, the instruction needs to focus on not only acquiring knowledge but also reorganizing and editing ability. I anticipate further researches to be conducted dealing with effective and systematic approach and more practical art education studie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al field and learners to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