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색채공감각 연구

Title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색채공감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lor synesthesia to improve product awareness : focused on VMD design at premium supermarkets
Authors
이선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This is a study on color synesthesia for more attention to items. With the focus on fruits and vegetables against the background,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emotions is analyzed with its effective application to color schemes. In relation to food, colors may induce or decrease appetite as well as indicate the freshnes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of the person who recognizes a color, color psychology also may be varied. Colors are major elements when it comes to marketing strategies. Both colors and tastes belong to the same category of color synesthesia and reproduce senses by converging them. Prior to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lor emotions is examined to apply its results in the background color experiment effectively. As for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attention is paid to premium food halls that create high sales margin despite the low growth rates in distribution industry. Leading domestic department stores seeks gentrification of food halls as a way to create more profits. With food halls located underground, the sales of commodities displayed on ground floors increases as well, which is called fountain effect. The sales at food halls turned out to affect the total sales of a department store. As a result, shop interior designs of premium food halls are being remodeled. The range of items is broadened to include imported brands, wine, etc. While areas are expanded to introduce new items, the posi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in premium food halls stable. According to one hands-on worker at Food Team, H Department Store, the reliance on vegetables and fruits sales at the premium food hall is quite high, and since they are little affected by trends, the earnings from them are constant around the year. In thi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where premium food halls are popular, colors were selected as an element to enhance attention to vegetable and fruit item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experiment conduc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onclusion, most of the test participants preferred mild and clear pale tones, and common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same and complementary colors. As for the same colors, most respondents selected Pale and Very Pale tones. As for complementary colors, their background color preferenc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rightness of the object vegetables and fruits. Apples of low brightness, grapes of impressive bright and vivid tones against clear and bright backgrounds were preferred. In contrast, as for items of high brightness such as orange, lemon, and sweety, background colors of mild pale tones were preferred just as in the case of the same colors. This result indicates that background colors affect the level of attention to vegetable and fruit items, and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certain color schemes of the highest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ake vegetables and fruits displayed in a premium food hall look more fresh and delicious by making good use of harmonious color schemes. Not only in premium food halls but also outlets and traditional markets, effective color schemes are thought to be of great help in enhancing attention to vegetable and fruit items.; 본고는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색채공감각 연구’로서 청과물과 배경을 중심으로 색채와 감정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배색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음식에서의 색채는 식욕의 증진과 감퇴는 물론, 음식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동일한 색채를 보더라도 지각하는 사람의 환경, 경험에 따라 느껴지는 색 심리도 다양하다. 또한 색채는 마케팅전략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요소이다. 색채와 미각은 색채공감각의 범주에 속한다. 여러 감각의 융합을 통해 감각을 재생산한다. 본 연구의 실험을 진행하기에 앞서, 배색 실험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색채 감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사회적, 경제적 배경으로는 유통업의 저성장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을 창출하는 프리미엄 식품관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새로운 이익창출 요소로써 식품관의 고급화에 힘쓰는 것이 국내 주요 백화점의 현황이다. 지하에 위치한 식품관의 영향으로 지상층 상품의 매출까지 높아지는 분수효과를 통해 식품관의 매출이 백화점의 총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프리미엄 식품관의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을 새롭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품 구성은 수입 브랜드와 와인 및 기타 상품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새로운 분야를 도입하고 확장시키는 노력이 있는 반면, 프리미엄 식품관 내 청과물의 입지는 확고하다. H백화점 식품팀 현업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프리미엄 식품관의 청과물 매출 의존율은 높은 편이며 유행을 타지 않기 때문에 꾸준한 이익을 내는 품목이라고 한다. 프리미엄 식품관이 각광을 받는 사회적, 경제적 배경 속에서 청과물의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요소로 색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와 실험조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사전 조사를 통하여 실험 조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사전 조사는 설문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항목은 프리미엄 식품관의 공간 디자인 요소와 청과물 구매 시 선호하는 항목, 형용사 이미지로 구성된다. 색채로 느껴지는 감정과 감성은 수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통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도출한다. 본 설문조사를 통하여 프리미엄 식품관의 공간 디자인 중 전반적인 색상, 조명 분위기, 쇼케이스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 형용사 설문을 통하여 프리미엄 식품관의 기대 이미지는 고급스러운, 자연적인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청과물 구매 시 고려 요소는 신선도, 맛의 순서대로 높았고 배경색과의 조화가 필요한 이유도 신선도와 맛을 더욱 좋아 보이게 하기 위하여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둘째, 실험의 기준 색상을 정한다. 프리미엄 식품관 청과물 코너의 주요 품목을 분석하여 5가지 색상으로 구분한다. 5가지로 분류된 색상은 VMD 배색 기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동색배색과 보색배색을 고려하여 색 실험에 적용된다. 또한 앞서 도출한 형용사를 바탕으로 동색과 보색의 톤을 조정한 색 실험군을 대조하여 본 실험을 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은 프리미엄 식품관에서 과일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실험 인원은 20명이다. 바탕색에 해당 색계열을 대표하는 과일을 놓고 3가지 항목을 조사하는 일 대 일 직접 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의 결과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각 평균 점수를 도출하였다. 결론으로는 대부분의 피실험자는 연하고 맑은 Pale톤을 선호하였고 동색계열과 보색계열에 따라 공통적인 차이점이 도출되었다. 동색계열의 경우 대다수가 Pale, Very Pale톤을 선택하였다. 보색계열의 경우 실험 대상 청과물의 명도에 따라 배경색 선호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명도의 과일인 사과, 포도는 배경색은 선명하고 밝은, 강한 색상인 Bright톤과 Vivid톤일 때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에 고명도의 과일인 오렌지, 레몬, 스위티의 배경색은 동색계열과 마찬가지로 연한 Pale톤이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과물의 상품 주목도를 높이는데 배색의 효과가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높다고 느껴지는 배색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프리미엄 식품관의 청과물을 진열하는 데 있어 배색 조화를 활용하여 더욱 신선하고 맛있어 보이는 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프리미엄 식품관 뿐만 아니라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에서도 청과물의 상품 주목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