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박지영-
dc.creator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700-
dc.description.abstract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주거공간이 가지는 휴식과 안정의 기능에 대한 역할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현실과는 반대로, 증가하는 공동주택에 대한 여러 가지 사회적 부작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10년 말 기준으로 전체 주택의 약 70%가 공동주택일 정도로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주거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이 바로 아파트, 주상복합,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이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 분쟁으로 인해 이웃 간의 갈등이 크게 심화되고 있으며, 이제는 분쟁의 수준을 넘어 폭력, 방화, 살인에까지 이르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건축적, 구조적인 문제점에 의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층간소음 문제는 매우 심각한 소음 공해로 간주되고 있으며,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적인 공해와는 달리 누적되지 않고 일시적이며, 즉각적으로 소멸된다는 특징이 있어 더더욱 해결과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분쟁의 사례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정신적 피해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결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의 정도는 위층 가구의 구성원과 바닥, 천정 등 건축물의 구조 등에 따라 좌우되고 있어 입주하기 전에는 그 심각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입주 후‘이웃간의 이해와 배려' 라는 피상적인 방법이나,‘인테리어 개조, 차음 효과를 위한 장치마련’ 등 후속적인 조치를 통해 그 피해를 줄여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의 바닥마감재는 인테리어 자재의 한 요소로서 심미적 기능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점차 기능적인 진화를 통해 사회문제 해소를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층간소음 문제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제품개발방향 및 비즈니스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층간소음에 대한 주요 원인과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차음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표적집단면접조사(FGI)을 통해 소비자들의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니즈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차별화 모델과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내용이 사회적 문제로 심화되고 있는 층간소음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문헌연구 및 자료조사를 통해 층간소음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가장 많은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과 층간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그 실태와 사회적인 심각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제조사별 특징과 차음기능성 바닥재 제품들에 대한 특징과 현황을 연구함과 동시에, 차음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대체 가능 소재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일반 소비자 15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층간소음 문제와 원인 및 실태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구매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적으로 층간소음 피해에 노출된 소비자 12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표적집단면접조사(FGI)를 진행하여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과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음기능성 바닥마감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과 개선점을 분석하여 기능적 관점, 친환경적 관점, 디자인적 관점에서의 소비자 니즈를 도출하였다. 이를 다각도로 반영한 디자인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차별화 모델과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의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끝으로 본 논문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n modern society, the function of residential spaces to give a feeling of stability and relaxation becomes more important feature of them. Nevertheless, negative social effects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apartment houses are growing. According to the 2010 statistics, the general housing option settled in Korea is multi-unit dwelling such as apartments or tenement houses, corresponding to about 70% of the whole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Nowadays, noises between floors aggravate neighborhood conflicts, thereby leading to the level of social issues such as violence, arson attack, and even murder. In particular, the interlayer noise issue of apartment house caused by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problems is regarded as a serious noise pollution. Because it is temporary and extinct immediately, unlik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ir/water pollution,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solve and adjust and it leads frequent disputes. In that it i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damages, it is also urgent to establish solutions of the interlayer noise issue. Before moving in, it is very hard to figure out the seriousness of noise between floors, because the degree of noise between floors depends on the family members upstairs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including floor and ceiling. Therefore, in reality, there is no choice but to reduce the damage by ideal methods such as 'understanding and considering between neighbors' or follow-up measures such as 'interior design remodeling and installing soundproof system'. In this point of view, the future flooring material should not only have aesthetic functions as a component of interior material, but also be an alternative for solving social problems with functional evolu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he interlayer noise problem that is serious socially, to reflect the consumer needs for functional insulation flooring that one solution is emerging in order to prevent this, and to propose a differentiated product development and business strategy.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reason for noise between floor and the current status, also sound insulating functional material to reduce the symptom. In addition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e try to suggest the marketing strategy and specific model reflecting needs of consumers for sound insulating material.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could be a solution to prevent the recently growing social problem with noise between floor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were proposed. In chapter 2, the concept, characteristics, main cause of the critical noise damage, and the effect on the human body of the interlayer noise were studied by literature and data research, and thus, the actual condition and seriousness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noise insulating product manufacturers and the features of their products were studied as well as the alternative materials that can insulate interlayer noises. In chapter 4, though the online survey targeting 159 general customers, the cause and condition regarding interlayer noise problem was investigated and purchasing determinants of functional flooring for noise insulation was analyzed. Furthermore, though the customer focus group interviews (FGI) targeting 12 consumers exposed to interlayer noise damage directly, consumers' demands and improvements of functional flooring for noise insulation was investigated. In chapter 5, on the basis of the upper results, consumers' needs regarding functional flooring for noise insulation were deduced in the functional, eco-friendly and design perspective. Newly differentiated model and marketing strategy in terms of the design and functional aspects was also proposed. In chapter 6,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extracted and the limitation was presen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과 목적 1 B. 연구 방법과 범위 3 Ⅱ. 층간소음의 특성 및 실태 A. 층간소음의 개념과 특징 6 B.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8 C. 층간소음 문제의 사회적 심각성 12 Ⅲ. 차음기능성 바닥재 시장 현황 14 A. 국내 차음기능성 바닥재 제품 및 특성 14 1. LG 하우시스 지아 소리잠/소리잠 16 2. 한화 L&C 소리지움 21 3. KCC 숲 소리 순(純) 24 B. 국내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디자인적 특징 26 1. 색상 26 2. 명,채도 27 3. 패턴 ∙∙∙28 C. 차음기능성 소재의 종류와 특징 29 Ⅳ. 소비자 의견조사 및 분석 35 A. 층간소음 문제와 원인에 대한 소비자인식 설문조사 35 1. 조사대상 및 방법 35 2. 결과분석 38 가. 층간소음 발생현황, 원인 및 해결방법 38 나.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구매결정요인 45 B.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소비자 표적집단면접조사(FGI) 50 1. 조사대상 및 방법 50 2. 결과분석 52 가. 층간소음 문제에 대한 소비자 의견 53 나. 차음기능성 바닥재에 대한 소비자 의견 54 Ⅴ.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차별화 전략 58 A.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사용자 니즈 분석 58 1. 기능적 관점에서의 소비자 니즈 59 2. 친환경적 관점에서의 소비자 니즈 59 3. 디자인적 관점에서의 소비자 니즈 60 B. 차음기능성 바닥재 차별화 제품개발방향 및 비즈니스 전략 제안 62 1. 기능적 측면의 차별화 전략 제안 63 2. 디자인 측면의 차별화 전략 제안 69 3. 마케팅 측면의 차별화 전략 제안 74 4. 기대효과 78 Ⅵ. 결론 80 A. 요약 및 시사점 80 B.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82 참고문헌 83 부록 1. 설문지 86 부록 2. FGI 질문내용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44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차음기능성 바닥재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functional flooring for noise insulation-
dc.creator.othernamePark, Ji Young-
dc.format.pagevii, 94 p.-
dc.contributor.examiner조영식-
dc.contributor.examiner이혜선-
dc.contributor.examiner곽소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