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이루리-
dc.creator이루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6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6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은퇴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중년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년층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파악하고 노후준비수준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은퇴준비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의 차이,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은퇴준비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노년기 직전의 단계인 중년층을 중심으로 노후준비수준의 실태를 파악하여 노후준비영역별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은퇴준비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복지 실천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기반으로 한 15개 지역을 조사지역으로 하였다. 성별과 연령별 비율을 적용하여 최종표본수로 할당된 45~64세에 포함되는 총 1,870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2011년 10월 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5주간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전문조사원에 의한 1:1 면접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층의 노후준비수준은 사회적, 신체적, 경제적 노후준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준비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였다. 이는 은퇴를 준비하는 사람이 준비하지 않는 사람보다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신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연령, 배우자유무, 직업유무, 종교유무, 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평가, 여가만족도, 긍정적 은퇴인식, 부정적 은퇴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을수록, 직업이 없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평가가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은퇴인식과 부정적 은퇴인식이 높을수록 신체적 노후준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연령, 종교유무, 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평가, 여가만족도, 긍정적 은퇴인식, 부정적 은퇴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평가가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은퇴인식과 부정적 은퇴인식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성별, 종교유무, 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평가, 여가만족도, 긍정적 은퇴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일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평가가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은퇴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 노후준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 노후준비를 지속시키기 위한 개인적⋅국가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개인의 건강과 여가, 도전정신, 가족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국가적으로도 중년층을 위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관계 인식 향상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낮은 수준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년층이 겪게 되는 다양한 재정적 문제의 해결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은퇴 후 나타날 수 있는 위험적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재취업 지원, 연금제도 개선, 노후소득보장체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은퇴준비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은퇴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해야 하며 이 중 긍정적 은퇴인식은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긍정적 은퇴인식 향상을 위한 인식의 변화, 은퇴지식 교육, 재취업, 여가활동 등의 다양한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 여가만족도 또한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여가활동 유무나 빈도와 같은 양적 측면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여가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질적 차원의 여가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여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의 지원, 경제적, 신체적 지원의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s of retirement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behavior levels for old age, among the middle-aged. At first,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middle-aged are understood and actual conditions of preparation behavior levels for old age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 behavior levels for old ag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tirement is prepared and whether or not leisure activities are conducted, respectively, and what effects the retirement experience and the leisure satisfactions have on preparations for old ag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preparation areas for old age by examining preparation levels for old age, among the middle-aged, just prior to old age, and propose specific measure for successful ag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program developments, political suggestions, by exploring the effects of retirement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for old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regions selected based on 2010 population census. A total of 1870 middle-aged persons were recruited, who were in the age between 45 to 64 years old and allocated as the final sample size to which the ratios by gender and age are applie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one to 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professional examiners for five weeks, from October 3 to November 30, 2011.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eparation level for old age among the middle-aged, social preparation level is highest, followed by physical and then economic one. Second,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 level of old ag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tirement is prepared: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preparation, suggesting that persons who prepare their retirements are better than those who do not, in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aration level of old ag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leisure activities are enjoyed. Third, the factors to influence physical preparations for old age include age,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presence of religion,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 of retirement. Thus, when a subject is older, has no partner and job, has a religion and his levels of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score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retirement experience are higher, then the level of his/her preparation for old age seems to be higher. The factors to have some effects on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include age, presence of religion,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retirement experience. Hence, if a subject is older and has a religion and higher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retirement experience, level of his/her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seems to be higher. The factors to affect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are gender, presence of religion,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positive retirement experience. Therefore, when a subject is male and has a religion and higher scholarship,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retirement experience, the level of his/her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is found to be higher. The findings show that individual and nation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keep higher level of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Therefore, some programs considering individual health and leisure, challenging spirit and life style around family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some programs and educations for nationally enhancing the recognitions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 among the middle-aged would b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low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many difficulties they come to experience should be primarily resolved. And supports for re-employment, improvement of pension institution,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old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to prevent potentially dangerous accidents after their retirements. As the levels of preparations for old age are var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tirements are prepared, various factors to promote preparation behaviors for retirements should be understood. Of the factors, positive retirement experienc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so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s are necessary: changes of recognitions for enhancing positive recognitions of old age, educations for knowledge regarding retirements, re-employments and leisure activities. The leisure satisfactions is also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therefore,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 and political, economic and physical supports would be required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leisure satisfaction, which would make it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them, rather than considering only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presence or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문헌고찰 6 1. 중년층 6 1) 중년층 개념 6 2) 중년층의 당면문제 8 2. 노후준비 개념 및 필요성 10 1) 신체적 노후준비 11 2) 경제적 노후준비 12 2) 사회적 노후준비 14 3. 노후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1) 은퇴에 대한 인식 15 (1) 은퇴(퇴직)의 개념 15 (2) 은퇴 후 겪게 되는 문제점 16 (3) 은퇴인식 17 2) 여가만족도 19 (1) 여가 개념 19 (2) 여가만족도 21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B. 측정도구 23 C. 자료 분석 27 Ⅳ. 연구결과 28 A.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8 B. 주요변수 기술통계 31 C. 변수 간 상관관계 32 D. 은퇴준비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의 차이 33 E.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노후준비수준의 차이 34 F. 노후준비수준 영향요인 35 Ⅵ.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38 B.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 설문지 57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55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은퇴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년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Retirement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to the Preparation Levels for Old Age : Focused on the Middle-aged-
dc.creator.othernameLee, Lu Ri-
dc.format.pagevii, 65 p.-
dc.contributor.examiner한인영-
dc.contributor.examiner이승윤-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