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3 Download: 0

임금근로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관한 연구

Title
임금근로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uthors
김영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좋은 일자리에 초점을 두고, 장애인이 좋은 일자리 근무를 통하여 만족스럽고 생활의 질이 개선되는 삶을 사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기존 장애인고용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임금근로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 현황을 파악하고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이동과 유지 영향요인으로 임금근로 장애인의 개인특성 요인, 인적자본 요인, 일자리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에 사용된 원자료는 장애인고용 패널 데이터 1차-6차(2008~2013년) 자료이며, 패널 데이터의 장점을 충분히 살린 ‘패널로짓 확률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TATA 13.0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좋지 않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 이동 비율은 1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일자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력, 자격증, 사업체 규모, 직종, 복리후생, 직장이동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이 계속 좋은 일자리를 유지한 비율은 73.8%로 나타나 좋은 일자리 이동 비율과 비교하였을 때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 좋은 일자리를 유지할 비율이 훨씬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좋은 일자리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사업체규모, 적성부합, 복리후생, 직무조정, 직장이동으로 나타났다. 이중 직장이동은 좋은 일자리 이동에서는 양(+)의 값을, 좋은 일자리 유지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좋지 않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 직장이동이 있을수록 좋은 일자리 이동 확률이 놓고,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직장 이동 없이 현 직장에서 지속적으로 근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인이 취업할 당시 좋은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적자본 등이 취약하고 사회적 차별의 영향을 받는 장애인이 모두 좋은 일자리에 취업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므로 비록 좋지 않은 일자리에 취업했다고 할지라도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고 좋은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향후 장애인 노동시장 정책은 양적인 취업확대에서 벗어나 일자리의 질을 고려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장애인 고용장려금 등 장애인 고용의무제도의 개선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성과제고를 위한 별도의 대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취약성은 장애인고용과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사항으로,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서도 남성장애인에 비해 여성장애인의 취약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여성장애인 근로자가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적합 직종 개발 및 멘토링 시스템 운영, 그리고 재택근무 활성화 및 직장보육시설 설치 확대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인적자본 확대 및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장애인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의 신설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좋은 일자리 이동에서 학력은 음(-)의 값으로, 자격증은 보유할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좋은 일자리 유지에는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미 취업이 된 장애인근로자의 이후 노동시장 성과에는 학력 등의 인적자본 영향력이 미미함을 알 수 있으나, 재직중 훈련 및 자격증 취득 등의 경험이 있는 장애인근로자가 소수임을 고려할 때 기본적으로 취약한 장애인의 인적자본이 반영된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이에 장애인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를 통해 장애인근로자가 직업생활을 유지하면서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자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체 규모는 좋은 일자리 유지에 있어 5인 미만 사업체에 비해 모든 규모의 사업체에서 근무할수록 좋은 일자리를 유지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서 사업체 규모별 차별화된 전략을 통한 보다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취업확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복리후생을 제공받는 것이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좋은 일자리 이동과 유지에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는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장애로 인해 직무조정 등 지원이 필요한 경우 지원을 받는 것이 좋은 일자리를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직무조정 지원 제도를 신설하여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등 장애기준에 의한 지원이 아니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수행에 장애가 불편함이 되지 않도록 개별 특성에 맞는 직무조정 등의 서비스가 지원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전직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현재 취업이 된 장애인근로자에 대해서는 일자리의 질과 상관없이 동일 직장에서의 근속을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계속 현 직장에서의 근속을 지원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그러나 좋지 않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는데 직장이동이 영향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근로자의 적극적인 이직 노력과 함께 체계적인 전직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임금근로 장애인의 노동시장 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good job, to examine th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and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m fo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gnored in many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promot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via the good job. The research analyzes variou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actors affecting of mobility and retention : individual, human capital and job. The research conducts by utilizing the raw-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1th~6th(2008~2013), and especially by ‘panel logit random effects model’ that fully reveal the merits of panel data. Making use of the Stata 13.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nly 11.5%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transferred from the bad job to the good job. Analysis show also that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o the good job mobility are : sex, education, certification, volume of enterprise, type of profession, benefits package, job turnover Second, 73.8%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good job keep on their job. It shows that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good job have more possibility of keep going their job than possibility of changing careers. As a result,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o the good job retention are : sex, volume of enterprise, aptitude, benefits package, job accommodation, job turnover. It is also find that job turnover is positive(+) for good job mobility and negative(-) for good job retention. It means that the more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bad job try to job turnovers, the more they can get the good job mobility and the other hand, It is desired to keep going without job turnover for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already in the good job. The results implicate as follows :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analysis of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for the disabled people it is very important to occupy a good job in the moment of finding their job. But it is unlikely in reality that all the disabled people get a good job as they are vulnerable to human capital and to social discrimination. Therefore, even if they are obliged to occupy bad job at the beginning, what is important is promoting the good job mobility and the good job retention. To do this, change of direction is needed from now on : reform the labor policy for the disabled people pushing for quality-driven employment rather than quantity-driven employment, modify the employment quota system including subsidy for employing disabled people and draw the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high quality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cond, It is imperative to considering some measures apart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Many previous studies already show us the vulnerability of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also they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compared to the opposite sex. To promote their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such as development of appropriate job, mentoring system, promotion of work at home and workplace child care facilities etc. Third, it is required to make newly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to enhance human capital and competency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good job mobility analysis, education represent negative(-) value and the more getting certifications the more influenc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human capital factors concerning good job retention. This show that human capital factors contribute just a little to performa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but considering only a few workers have experienc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or certification, this is explained by the vulnerability of human capital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ffect. Thus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plan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ervice fo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ensur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in parallel with their current job. Fourth, job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for th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among the different factors. As to the size of enterprises, workers in all size of enterprises tent to keep going more their job rather than in enterprises less than 5 employees. It means that the policies of promote getting a stable job ie needed through differentiated services according to enterprise size. The benefits package factor has an effect not only on the good job mobility but also on the good job retention. In addition, even though type and level of handicap don't have an effect on th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some support, if necessary due to handicap, such as job accommodation contribute to the good job retention. Thus, it is absolutely essential to establish newly job accommodation support system in order to provide individualized service that handicap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no longer awkward in their job, what is different with service according to only type and level of handicap. Fif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job turnover support service fo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day, keeping on the current job is considered important fo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quality of work. If they are in the good job, job retention supporting service is understandably important. Considering the influential job turnover factor on the good job mobility in case of bad job, organized job turnover support service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performa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in parallel with active efforts into job turnover of the wor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