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상관관계

Title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tending Art High Schools
Authors
장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개발역량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역으로 진로개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이용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부 전공은 피아노 전공, 성악 전공, 현악 전공, 관·타악 전공, 작곡 전공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의 척도는 일반적 특성과 진로준비행동, 진로개발역량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문제에 따라 수집한 자료에는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년과 전공에 따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을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여학생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전공의 경우, 작곡 전공이 진로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자기이해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역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학생이 높은 진로개발역량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각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개발역량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개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진로개발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개발과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여 진로개발에 힘쓸 수 있는 환경과 기회의 장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보다 성공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달성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tending art high school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reby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levels regarding students’ school year, sex, and major. Furthe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vice versa is also discussed throughout the paper. This paper sets out to study thi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rough survey conducted on 148 male and female students of art high schools in capital area with piano, vocal music, string music, wind music, and percussion concentrations. The surve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MANOVA,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collected data. The research results as the following. In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sex and school year and majo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oth areas appeared to be proportional to school year. In case of concentration, students studying composition showed high levels of data collection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elf-understanding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students art high school resulted to be a positive one, and revealed that those who had high level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had high level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ddition,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ll sub factors. Finall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on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in resul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to have big effect on each sub factor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hen performing logistic-regression analysis on collected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to ha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well. The study results above verify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reby suggests the need of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and also the need for more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s for students to develop competency so that students, in the end, will have better chance in exploring and achieving career go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