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용-
dc.contributor.author윤아란-
dc.creator윤아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in Korea. Thus,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based on which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s while dividing them into operation factors and content factor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ultural programs,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and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types of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In regard to the investigation into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is study conducted a case research on a total of 5 public libraries wher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can be confirmed by genre through the library homepage, while introducing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a total of 25 public libraries that had won the National medal for Museum and Library Services Brochure for the past 5 years from 2010 to 2014 from IMLS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in the U. S. As for the investigation into actual states in Korea,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828 public libraries all over the country, except 83 children’s libraries and 37 branch libraries, from the 2013 Public Library Address Book’ provid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 System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out of which this study confirmed a total of 215 librarie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in all genres. For the investigation into actual states in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managers in charge of cultural programs in a total of 116 public libraries, who had agreed on this survey and provided their e-mail addresses over the phone in adv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Nov. 17 to Nov. 26, 2014, and this study received a total of 64 responses from them (55.17%). Besides, out of the public libraries which sent responses to this survey, this study asked 17 ones operating lectures of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at present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if they could accept a visiting research. Out of them, 5 public libraries agreed on this visiting research, a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sers of art-related cultural lectures through visiting and mail for 9 days from Nov. 21 to Nov. 29, 2014 and collected 7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in total. Among them, a total of 68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mong the art-related cultural program managers, 29 (45.3%) responded that local residents were much interested in their programs. Also, among the user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I'm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ntinuously in the future,' which was responded by 66 (98.5%). Secondly, as for the purpose of running an art-related cultural program in a public library, the managers' most frequent response was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fulfill their needs for culture.' And it was found that the users' most frequent response with respect to their motive for participation in a cultural program was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through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Thirdly, it was found that art-related cultural program managers consider the most the topic of a program when planning and selecting a program, whereas users consider the most the location and traffic of a venue for education when deciding to participate in a program. Fourthly, it was found that as for means to publicizing an art-related cultural program, the managers used mostly the home page of a library, publicity material for their local area of jurisdiction, and various news media; and that the users also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largely through the home page of a library and publicity material in their region, in addition to their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Fifthly, it was found that with respect to the art-related programs of a public library, the users prefer programs in the genre of calligraphy, special lecture-type programs, and programs run during 9-12 a.m. on the weekend. Sixthly, it was found that both managers and users recognized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to reflect the most their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nd programs run by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s into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actual states in Korea,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s while dividing them into operating factors and content factors. The operating factor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for managers of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should be provided, and the managers should be strongly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courses. Secondly, finance for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should be secured, by taking account of methods for funding from local citizens and organizations. Thirdly, cooperation with various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enhanced in running an art-related cultural program. Lastly, it is necessary to have and provide all kinds of facilities, tools and materials needed for the process of operating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The content factor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calligraphy programs, special lecture-type programs, and programs for housewives and workers should be expanded within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present one-off programs, operating methods mainly focusing on ordinary lectures and experience, and programs mainly for adults and children in leading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Thirdly,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should reflect more of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continuous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and active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set up a direction of each library’s own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differentiated from other culture infrastructures. In this way,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state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s for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future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into culture & art programs beside the field of art in public libraries, and helpful for public libraries to plan and operat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better.;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국외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들 내용에서 개선 방안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과 문화프로그램의 개념 및 특성과 유형, 공공도서관의 예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념 및 특성,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념 및 의의와 그 유형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외 사례조사는 미국 박물관·도서관서비스기구(Institute of Museum and Libr ary Services, 이하 IMLS)에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한 『박물관·도서관 서비스상 브로셔(National medal for Museum and Library Services Brochure)』를 기초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 내에 수상한 공공도서관 총 25개관 중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관해 소개하고 있고,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장르 유형별로 확인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총 5개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현황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3년 공공도서관 주소록』에서 전국 공공도서관 총 828개관 중 어린이도서관 83개관과 분관 37개관을 제외한 총 708개관의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장르 유형별로 모두 제공하고 있는 곳 총 215개관을 확인하였다. 현황조사를 위해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사전에 전화로 설문조사를 요청하여 이에 수락하고 이메일 주소를 제공해준 총 116개관의 문화프로그램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11월 1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총 10일간 실시하였고, 그 중 약 55.17%에 해당하는 총 64건을 응답받았다. 또한, 설문을 회신해준 공공도서관들 중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미술 관련 문화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곳 총 17개관에 방문 조사를 요청하였다. 이에 수락한 공공도서관 총 5개관에 2014년 11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총 9일간 직접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미술 관련 문화강좌의 이용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한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8부를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담당자 중 29명(45.3%)은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이용자들 역시 향후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 중 66명(98.5%)으로 가장 많이 나왔다. 둘째,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목적에 대해 담당자들은 주민들의 문화욕구 충족 기회 증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용자들은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로 취미 및 여가활동을 통한 정서적 안정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담당자들은 프로그램의 계획 및 선정 시 프로그램의 주제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프로그램 참여 시 교육장소의 위치 및 교통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넷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홍보 방법으로 담당자들은 주로 도서관 홈페이지와 SNS, 관내 홍보물, 각종 언론매체를 이용하였고 이용자들 역시 도서관 홈페이지와 SNS, 관내 홍보물, 주변인의 권유를 통해 주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대해 이용자들은 서예 장르 유형의 프로그램과 특강 형식의 프로그램 진행방식 그리고 주말 오전 9시~12시 시간대의 프로그램을 더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담당자와 이용자 모두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이 지역 문화기반시설의 운영 프로그램과 지역의 문화기반시설과 같은 지역적 특성을 가장 많이 반영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국외 사례조사와 국내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운영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담당자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 과정 제공과 그에 대한 참여를 적극 권장해야 한다. 둘째, 지역의 민간, 단체 등을 통해 자금 지원에 대한 여러 방법들을 고려하여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재정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시 지역의 여러 기관 및 단체들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시설 및 기자재들을 갖추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이를 제공해야 한다.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서 서예 프로그램, 특강의 진행방식 그리고 주부, 직장인 대상의 프로그램 제공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일회성으로 끝나거나, 일반 강의와 체험 위주의 진행방식, 성인과 아동을 위주로 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다양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에 꾸준한 관심과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적 특성의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타 문화기반시설과 차별화되는 공공도서관만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방향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국내·외 사례와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미술 분야를 비롯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와 조사에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들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C. 선행연구 6 Ⅱ. 공공도서관의 예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23 A.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23 B.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35 Ⅲ.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사례 및 현황조사 47 A. 국외 사례조사 47 B. 국내 현황조사 85 Ⅳ.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29 A. 운영 요소 129 B. 내용 요소 135 Ⅵ. 결론 141 참고문헌 146 부록1. 담당자 대상 설문지 152 부록2. 이용자 대상 설문지 162 ABSTRACT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737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dc.creator.othernameYun, A Ran-
dc.format.pageix, 173 p.-
dc.contributor.examiner정동열-
dc.contributor.examiner이상용-
dc.contributor.examiner정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