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백하리-
dc.creator백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706-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기술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브랜드를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기업의 브랜드 정체성 확립과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플랙시블 구조의 브랜드 표현이 전략적인 디자인의 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과거 브랜드의 표현방법이었던 단일적·일괄적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시대변화와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능적·전략적 브랜딩이 필요한 것이다. 현시대 박물관의 문화적 교육적 역할의 확대와 개성에 발맞추어 박물관 브랜딩 또한 장기적 경제 가치창출을 위한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그 가능성과 기대에 어울리는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본다. 현재 어린이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 내에 자리 잡고 있는 브랜드로서 국립중앙박물관과 통합적·체계적인지 않은 연결고리가 없는 브랜드 이미지를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박물관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물의 모형과 구성으로 어린아이들에게 체험적인 문화 산물을 접하며 교육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의 기능과 쓰임으로 볼 때 본 연구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의 MI를 이용한 어린이 박물관의 아이덴티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또한 다양성을 표현하는 플랙시블 구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을 통해 어린이박물관으로서의 가치향상과 더 나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플랙시블한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플랙시블 구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플랙시블 구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이 적용된 박물관의 사례조사를 통해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둘째, 국립중앙박물관과 어린이박물관의 심벌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이에 앞서 설문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과 어린이박물관을 대상으로 심벌의 인지성, 이미지, 연계성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아이덴티티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어린이박물관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플랙시블 아이덴티티의 디자인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립중앙박물관의 브랜드와 조직적 일체감 또는 연계성을 조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앙박물관이 추구하는 이미지와 어린이박물관의 이미지가 다르고 시민이 인지하는 이미지가 혼동되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조직 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는 걸로 분석되어 관람자와 소통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조직체로써 유대관계가 형성되도록 국립중앙박물관의 MI원형을 이용한 어린이박물관의 플랙시블 구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이 반영된 디자인을 최종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관성과 다양성이 내재한 flexible system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의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와 더불어 교육·문화공간으로써 가치향상을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정체성이 모호한 채 획일화 되어가는 어린이박물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flexible system 디자인 전략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과 지역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어린이박물관으로서의 브랜드 기능과 표현을 향상시켜 관람자와의 보다 풍부한 상호작용을 통해 소통이 가능하도록 관심이 확장되길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확장된 시각적 표현 연구와 적용 디자인의 개발을 기대한다.;Environment surrounding brands are changing rapidly due to changes an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While constant efforts are put to establish and activate brand identities of companies these days, flexible brand expression is emerging as a way of strategic design. We need functional and strategic branding which can quickly respond to change of time and needs, breaking from single and uniform application methods which are the conventional ways of brand expression. Branding museums also have infinite potential that creates long-term economic value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cultural and educational role of contemporary museums and traits of them. I believe that a competitive edge is needed with differentiated designs that live up to the potential and expectation. Currently, a brand image of Children's Museum, a brand locat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does not have integrated and systematic connection with National Museum of Korea. Children's Museum is used as a place where children can experience culture products with exhibition models and composition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use of Children's Museum, I believe that developing flexible identity for activating the value of Children's Museum by using MI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s necessary. Therefore, I am going to solve the problem by activating better application as Children's Museum through flexible identity design strategy which can express diversity. In this paper,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following steps. First of all, I looked into concept and role of identity and considered necessity of concept of flexible identity and design strategies for flexible identity. Also, I analyzed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investigating cases of museums where flexible identity design strategies were applied to prepare for basic data for design improvement. Secondly, I raised questions by figuring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symbol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hildren's Museum and classifying them into symbolic representation, pattern and color. Prior to this, I figured out problems about awareness, images and connection of symbol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hildren's Museum through a survey. Also, I confirmed necessity of flexible identity design strategies which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 to establish its identity. Therefore, it seems that Children's Museum does not have connection or a sense of systematic unity with brand of National Museum of Korea. This is because the image that National Museum of Korea pursues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s Museum, and people are confused to aware the images. It does not help enhancing the group image in conclusion, and led to disconnection to visitors. To improve these problems, I suggest a design reflecting flexible identity design strategies of Children's Museum using the original MI form of National Museum of Korea as the final plan to form ties as one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flexible design strategies to activate identity brand of Children's Museum of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has both consistency and diversity. I hope that Brand identity of Children's Museum which is being uniformed without its own clear identity can form a sense of unity with National Museum of Korea through flexible system design strategies, and Children's Museum can communicate well with visitors with sufficient interaction by improving brand function and expression as Children's Museum. Also, I expect to see more expanded visual expression studies and development of application design based o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방법과 범위(대상) 2 II. 현대사회의 브랜드와 Flexible System A. 현대사회에 있어서 브랜드 5 B. Flexible System의 개념과 도입 8 C. Flexible System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기능과 특징 9 III. 박물관 ·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디자인 표현 A. 박물관·어린이박물관과 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MI) 16 1. 현대 사회의 박물관·어린이박물관 16 2. 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필요성 18 3. 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19 4. 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Flexible System 표현의 사례 20 B.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현황 37 1. 분석 대상의 선정 및 분석방법 37 2.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 37 3.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종합적 분석 40 IV. Flexible System의 어린이박물관 MI 제작 및 해설 A. 대상분석 41 1. 국립중앙박물관 브랜드 특성 41 2. 국립중앙박물관 MI 시스템 현황 43 3.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특성과 MI 시스템 현황 44 4. 현재 MI 디자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8 B. 어린이박물관 MI의 Flexible System 디자인 전략 48 1. 디자인 목표 48 2. 디자인 방향 49 C. 어린이박물관 MI의 Flexible System 디자인 개발 51 1. Flexible System의 MI 개발 51 2. Flexible System 적용 디자인 62 V. 결론 75 참고문헌 76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80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브랜드 가치향상을 위한 Flexible구조의 어린이박물관 브랜드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립중앙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Brand Expression of Children's Museum with Flexible System to Enhance the value of Brand : Focusing on Children's Museum locat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dc.creator.othernamePaik, Ha Ri-
dc.format.pagevii, 83 p.-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이여름-
dc.contributor.examiner김시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