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이지현-
dc.creator이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8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82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은 시대에 따라, 유행에 따라 빠르게 변화 하고 있다. 그에 맞춰 사람들의 삶과 생각, 감성까지도 변화 하였고 지금도 어디에선가 변화는 계속 진행 중일 것이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은 것은 반드시 존재한다. 따뜻한 정(情), 그리고 우리 삶의 애환이 녹아 있는 전통시장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오랜 세월동안 서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함께해 온 전통시장은 빠른 산업화와 현대화로 인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유통시장이 개방 된 이후 프랜차이즈 편의점, 대형 마트 등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입으로 전통시장의 위기는 시작되었다. 쾌적한 쇼핑 환경, 친절한 서비스, 넓은 주차 공간 등의 편의시설을 갖춘 대형 마트는 빠른 속도로 전국으로 퍼져 나갔고, 과거 전통시장에서 먹거리, 생필품을 구매하던 사람들은 대형마트로 자연스럽게 발길을 옮겨가게 됐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위기는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었고, 정부에서는 전통시장 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 등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전통시장 보다 사라져 가는 전통시장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전통시장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대형마트가 가진 장점을 쫓아가는 것이 아니라 전통시장만이 가진 특별한 장점을 특화 시켜야 한다고 본다. 해외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사례인 스페인의 보케리아 시장이나 영국의 버로우 마켓은 주변 관광 상품과의 연계, 시장 고유의 특화 상품, 매장 진열 및 다양한 볼거리를 통해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광객들이 몰리는 성공적인 관광형 전통시장으로 자리매김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부터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함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문화관광형시장‘ 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문화관광형시장의 목적은 시장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 문화와 역사, 특산품 같은 관광 요소를 연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 하고 나아가 전통시장을 우리나라 관광명소로 발전시켜 그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현재까지 문화관광형시장은 약 60여개로, 선정 시 총 3년간 7억원 내외의 지원을 통해 시설 개선 및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관광형시장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단순 시설 현대화에만 치중해서 투자가 되고 있으나 그 수준은 대형마트에 비해 여전히 열악하며, 특색 없는 상품들은 지역고객은 물론 관광객을 끌어 모으는데 역부족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화관광형시장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를 위해 디자인적 관점의 마켓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대상으로는 광장시장을 선정하였다. 광장시장은 서울 도심 속에서 1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전통시장으로 지난해 2013년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광장시장은 명확한 아이덴티티 부재와 문화관광형시장으로써 관광객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이론 조사 및 소비자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연구의 당위성 및 타당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수립하여 광장시장 마켓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와 인식 및 인지도 개선에 효과적이기를 기대해 본다.; These days everything around us is rapidly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stream and trend of the times. Accordingly life style and thought, even emotion of people have been changed, and even now there must be ongoing changes somewhere. However, there certainly are timeless things that never changed. Warm affection(情), and traditional markets that embrace the joys and sorrows of our lives could be one of those things. However, the traditional market that has been a place of life of common people for a long time are losing their original positions in the changing of the times, as a consequence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fter the opening of a circulation market, big companies have penetrated the local economy in the forms of franchise convenience stores, big-box stores, and etc and that was the beginning of the crisis of the traditional markets. The big-box stores which are equipped with refreshing shopping environment, friendly service, and amenities such as huge parking spaces are expanding across the whole country at a rapid rate, and consumers who used to purchase foods and daily necessities at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naturally moved their steps to the big-box stores. As a result, overall sales of the traditional market has sharply decreased and merchants of the markets took a great hit even to the point of worrying about the maintenance of livelihood. Such crisis of the traditional markets came to the fore as a huge social problem, and the government has carried forward various revitalization policies and plans in order to revive the traditional markets. Nevertheless,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more traditional markets that disappear than the ones that survive. In such situation, for the traditional markets to survive, it is better to specialize the particular advantages that only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than to follow the merits of the big-box stores. There are two outstanding cases of traditional markets abroad: one is Boquería Market in Spain and the other one is Borough Market in England. They became successful tourism oriented traditional markets that attract not only the local residents, but also the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through being packaged with nearby sightseeing products, selling original goods of the market, and developing unique store display and various attractions. In our country as well,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started to be fostered as a policy to 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with the suppor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since 2008. The purpose of the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is to 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tourism elements such as local culture, history and indigenous products, furthermore to give publicity of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market by developing it into a tourist attraction of our country. There are about 60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s selected so far, and once selected, around 700 million won is supported toward the market for 3 years for amenities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various business. However, the effect of the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is fairly marginal. In most cases, a sizable amount of money invested only in the mer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but that is still on a poor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big-box market, and featureless products are inadequate to attract local residents, not to mention the tourists from outside. The problems above all things is that not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Therefore, in this paper, Market Identity in design point of view will be developed and suggested for vitalization of the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Gwangjang market is selected as a research object. Gwangjang market is a traditional market which continues its history and tradition for over 100 years in the midst of Seoul, and it has been selected as a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in 2013. However, lack of clear identity and shortage of amenities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tourists as a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became problems that are necessary to be looked into.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is study is suggested through analyzing of public opinion poll and consumer questionnaire survey. Also, based o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direction for design development is established and Gwangjang market identity design is developed and suggested accordingly. Vitalization of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and improvement of its awareness are expe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배경과 목적 1 B. 연구 방법과 범위 3 II. 용어 및 개념의 정리 4 A. 브랜드 아이덴티티 (Brand Identity) 4 B. 마켓 아이덴티티 (Market Identity) 5 C. 문화관광형시장 7 1. 문화관광형시장 7 2. 문화관광형시장 현황 9 3. 문화관광형시장 유형 11 III. 현황 및 사례 분석 14 A. 서울시 문화관광형시장 현황 14 1. 서울약령시 17 2. 남대문시장 19 3. 서울암사종합시장 23 B. 광장시장 현황 25 1. 광장시장의 역사 및 배경 25 2. 광장시장의 특성 27 3. 광장시장의 일반 현황 29 4. 광장시장의 문화관광형 사업 현황 32 5. 광장시장의 디자인 현황 36 C. 전통시장 활성화 및 마켓 아이덴티티 사례조사 41 1.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 분석 41 1-1. 바르셀로나 보케리아 시장 42 1-2. 런던 버로우 마켓 47 1-3. 일본 텐진바시스지 상점가 52 2. 전통시장 마켓 아이덴티티 사례 분석 55 2-1. 강원 봉평장 55 2-2. 성남 모란시장 63 IV. 문제점 파악 및 개선안 제안 65 A. 광장시장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대한 설문조사 65 1. 설문조사 목적 및 방법 65 2. 설문조사 구성 65 3. 설문조사 결과 분석 및 통계 66 4. 설문조사 종합 분석 및 문제점 89 B. 마켓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90 1. 마켓 아이덴티티 방향 설정 90 2. 마켓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 92 2-1. 디자인 컨셉 92 2-2. 디자인 표현 전략 93 3. 디자인 시안 96 3-1. 디자인 시안 96 3-2. 최종 디자인안 98 V. 결론 105 참고문헌 107 부록 109 ABSTRACT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813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켓 아이덴티티 (MI : Market Identity)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종로구 광장시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Market Identity (MI) Design for Vitalization of Culture Tourism Oriented Market : Focused on Gwangjang Market in Jongno-gu, Seoul-
dc.creator.othernameLee, Ji Hyun-
dc.format.pageix, 128 p.-
dc.contributor.examiner원미진-
dc.contributor.examiner권혜진-
dc.contributor.examiner이수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