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도자오브제의 공간 연출 연구

Title
도자오브제의 공간 연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space directing with Ceramic Objects : Specially for Transition Space
Authors
황지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Ceramic Object is the meaning of artist-centric pure fine arts which express inner side of artist and the concept of ceramic formative which is introduced to modern ceramics when the concept of object changed the trend of art. The terms of Ceramic Object is used with modern ceramic and ceramic formative. In this study, Ceramic Object is defined as pure fine arts that central to modern ceramic formative which include both traditional and industry ceramics, also defined as morphological element that can direct a particular space. I researched the shift of the meaningless Transition Space that is the moderns live in and passed by, to emotional space by categorizing based on their type and characteristic. Therefore, I star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eramic object that directed in the Transition Space with some other elements can give appreciator various psychological transition and experience. Furthermore, artist can make audience feel transition through the ceramic object which is expressed artist’s inner side and emotion. The transition space intermediate between spaces, and hall, lobby and corridor are typical examples. The character of these spaces are changed depend on building’s purpose and form. Also, various elements can be used fit to the purposed. And it is important that how we use the space to affect the recognition, behavior, emotion and awareness of person who experience the space. Lately, there is a large range of interest about transition space and is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In this study, Ceramic object which is express artist’s inner side and emotion will be produced and directed. And an audience will get emotional transition and satisfaction by the space which have balancing between transition space and ceramic object. I define the background of the work piece of this study by research about concept of transition space, formative element and character of types. And I also define concept of ceramic object and research the role of ceramic object in the transition space. The meaning of inner side and emotion of me will be defined with 8 criteria for express lines of ceramic object and will be organizing character of transition space in connection with formative element. I will guide audiences to feel mood in the transition space trough the directing the ceramic object which is made based on this study’s background. The three main topic of this study is as follow.; 현대의 도자오브제는 과거의 오브제 개념의 변화와 함께 현대 도예에 도입된 양상의 도자 조형의 형태로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작가 중심적 순수 미술의 개념으로 현대 도예에서 현대 도자, 도자 조형의 용어와 같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자오브제 용어를 전통 도자와 산업 도자의 양상을 포함한 현대의 도자 조형이 중심이 된 순수 미술의 개념으로 작가의 내면세계, 감정이 표현되어 오브제를 경험하는 감상자로 하여금 공감을 느낄 수 있으며 특정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형태적 요소로써 규정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현재, 공간의 연속성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과거의 그저 스쳐가고 의미가 없는 전이공간(Transition Space)의 개념을 전환하여 유형과 특성에 맞게 분류하고 감성적 매개 공간으로써 변화를 추구한다. 따라서 도자오브제가 연출 된 전이공간 안에서 공간의 여러 가지 요소들과 함께 공간을 경험하는 감상자에게 다양한 심리적 공감과 경험을 주고자 한다. 전이공간은 공간과 공간 사이를 연결해주는 매개의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써 대표적으로 홀, 로비, 연결 통로의 복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건축물의 용도와 목적, 형태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지며 공간을 구성하는 형성 요소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이공간은 그 공간을 경험하는 체험자의 인지와 행동, 감성과 지각에도 영향을 주는 곳으로써 그 활용이 중요하다. 근래에는 여러 분야에서 전이 공간에 대해 특성화 된 공간으로써의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역할의 활용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이공간에 본 연구자가 인간이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보편화된 감정이 표현 된 도자오브제를 제작, 연출하여 전이 공간과 도자오브제의 조화로 공간을 경험하는 감상자에게 심리적 공감과 정서적 만족감을 줄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 작품의 디자인 배경으로써 현재의 도자오브제의 개념을 규정하고 도자오브제의 공간 연출에 있어서 전이공간에서의 도자오브제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전이공간의 개념과 기능, 형성 요소와 유형의 특성을 조사해보고 전이공간을 정의해 본다. 또한 도자오브제의 선 표현에 있어서 본 연구자의 내면세계와 감정의 선의 의미를 8가지로 규정하여 전이공간의 특성과 형성 요소와 연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따라서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한 연구배경을 토대로 도자오브제를 전이 공간에 연출하였을 때, 도자오브제가 예술 작품으로 승화되어 도자오브제가 연출된 공간을 예술 공간으로 표현하여 감상자로 하여 감성적인 공간으로의 경험을 유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을 디자인 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자가 인간이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보편화된 감정을 표현하고자 도자오브제의 선을 이미지화하기 위해 도자오브제의 조형 요소인 선에 감정이입을 하여 조형적인 도자오브제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품을 제작할 때 본 연구자가 인간의 보편화된 감정을 표현한 선의 의미를 규정하고 규정한 선의 흐름을 통해 표현된 주제가 전이공간의 심리적 요소와 연계되어 이러한 도자오브제가 감상자로 하여금 감성적인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하였다. 셋째, 공간요소인 도자오브제가 전이공간에 연출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고자 도자오브제와 전이공간의 비물질적 요소 중 하나인 빛(조명)을 활용하여 도자 오브제와 빛(조명)의 조화로 감상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과 정서적으로 만족감을 주고자 하였다. 위와 같이 도자오브제가 전이공간의 형성 요소로써 어떠한 형식으로 감상자에게 다가가 활용 될 수 있는지와 도자오브제와 전이공간의 조화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