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정부 인력규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정부 인력규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Government Employment Size
Authors
홍채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근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among countries. Three research themes were set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First is a trend analysis on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and a national typology analysis. Change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among countries of the last 10 years. Second is an analysis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among countries. For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searches,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to the public administration workforce, educational workforce, and social welfare workforce, and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employment size of each field were examin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of this model,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countries based on 2010. Last is an analysis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ivil service size in Korea. Korea has the smallest size compared to the analysis target countries, and thus, the reason it has the smallest size was examined through a time series analysis from 1965 to 2012. The study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among countries from 2000 to 2010, there were no countries that had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other words, it turned out that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s in a stable con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through a national typology analysis by using Welfare Regime, it turned out that models of East Asia have much smaller government employment size than other models. Second, existing researches compare OECD countries having good data accessibility to Korea in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This study determined that Korea has smaller government employment size than even non-OECD countrie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examin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by including non-OECD countries. Third, preceding researches determine the fact that Korea has small government employment size by focusing on comparing the total government employment size. This study showed how small it is in each field by dividing dependent variables to each field. Suggestions on each field will be able to be used as useful political data in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employment size in the future. Fourth, looking at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Korea, the size of the general government workforce is 48.4% of that of other countries, public administration workforce 77.8%, educational workforce 42.6%, and social welfare workforce 16.1%, which shows that every field has small employment size in Korea. Especially, looking at the reason Korea has small employment size in each field, it should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employment size in the social welfare workforce because the employment siz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ccounts for 53.6%, the highest.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Korea is small because of small social welfare employment size and small educational employment size was also noted by preceding researches, 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size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workforce is also small. It usually seems that the public administration workforce would not make any differences among countries because it should be directly provided by governments rather than the private sector,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public administration workforce also generates differences among countries. The reason our country has small public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the fact that the administration employment size of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 is small.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ivil service size in Korea, the civil service size has been decided by the governmental factor rather than the administration demand factor.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the civil service size in Korea tends to increase, it has been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will to control it under the direction of government ideologies of each regime. Lastly, it turned out that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Korea is as small as 50% of that in other countries, which could produc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Korea. Because the public administration field in Korea has smaller employment size of the policy department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it needs to be increased. If the employment size of the educational field reflects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 caused by the recent birth rate drop, this field needs maintenance of the present system and rearrangement of the educational employment size. The social welfare field has the smallest government employment size, because it i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e public sector. In case of our country,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ivil service siz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managing the civil service system. Thus, it is predicted that indirect provision of public service by the private sector would increase more than direct provision by civil service. Then, the prescription for smaller government employment size in Korea than that in foreign countries should be how to manage the public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private sector, not increase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size.;본 논문의 목적은 국가 간 정부 인력규모의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가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정부 인력규모 추세 분석 및 국가별 유형화 분석이다. 지난 10년간 국가 간 정부 인력규모 추세분석을 통해 정부 인력규모의 변동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정부 인력규모를 유형화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복지국가 레짐을 이용하여 정부인력 규모를 국가별로 유형화할 수 있는지 시도하였다. 둘째, 국가 간 정부 인력규모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이다.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위해 종속변수를 일반 행정, 교육 분야, 사회복지 분야로 나누고 독립변수가 각 분야의 인력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모형의 실증 분석 자료는 2010년도를 기준으로 국가 간의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공무원 규모 영향요인 분석이다. 한국은 분석대상 국가들에 비해서도 가장 작은 규모로 나타나는데 1965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왜 작은 규모를 가지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 간 정부 인력규모의 변화과정을 추세 분석한 결과 정부 인력규모는 급격히 큰 변동을 겪은 국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인력 규모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부 인력규모 유형화 분석에서 복지국가 레짐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동아시아 모델은 다른 모델에 비해 정부 인력규모가 상당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연구들은 자료적 접근성이 좋은 OECD국가들과 한국의 정부 인력규모를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OECD국가들을 포함해서 비교해도 한국의 정부 인력규모가 작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비OECD국가를 포함하여 정부 인력규모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정부 인력규모 총량 비교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정부 인력규모가 작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를 분야별로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각 분야별로 얼마만큼 작은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분야별 제시는 향후 인력규모의 수요를 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책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한국의 정부인력 규모는 전체국가와 비교해서 일반정부는 48.4% 수준에 불과하며, 일반 행정 분야는 77.8%, 교육 분야는 42.6%, 사회복지 분야는 16.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인력규모가 모든 분야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분야별로 인력규모가 작은 원인을 살펴보면 사회복지 분야의 인력이 53.6%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 분야의 인력의 차이 때문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인력과 교육인력이 작기 때문에 한국 정부 인력규모가 작다는 사실은 기존 연구에서도 지적한 바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강조하는 점은 일반 행정 분야에서도 작은 규모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일반 행정 분야는 민간이 공급하기보다 정부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분야로 국가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지만, 일반 행정 분야에서도 국가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일반 행정 분야가 작은 이유는 지방정부의 행정인력이 작다는 사실과,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인력이 작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 공무원 규모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행정 수요요인보다는 정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한국 공무원 규모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 정권별 정부이념에 따라 공무원 규모를 통제시키려는 정책으로 공무원 규모가 유지되어왔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정부 인력규모는 외국의 정부인력 규모의 5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실은 향후 한국 정부인력 규모의 다양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일반 행정 분야는 정책을 담당하는 부처인력이 외국과 비교해도 작기 때문에 증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육 분야의 인력은 최근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를 반영한다면, 현 체제 유지 및 교육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분야이다. 사회복지 분야는 정부부문 인력 중 가장 작은 분야로 나타나는데 공공에서 담당하는 비율이 작고 민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 분야는 공공 및 민간 비율 모두 작게 나타나므로 사회복지 분야는 전체적으로 증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행정제도 여건 상 공무원 법상 공무원을 늘리기는 어렵기 때문에 민간을 통한 간접 서비스 제공방식이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을 통한 간접 서비스 제공방식이 늘어난다면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주체인 지방정부의 책임성 소재를 명확히 해야 하고 서비스 제공 기획자로서의 정부의 역할 마련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