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이채린-
dc.creator이채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1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朝鮮時代를 통해 王維(710-761)의 輞川圖의 주제인 망천에 대한 인식이 회화 작품 속에 어떠한 이미지를 형성하여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망천도는 왕유의 공무 중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半官半隱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이자 만년의 은거를 이루었던 곳인 망천을 그린 것이다. 조선시대 망천 이미지 인식의 배경에는 문인들의 출처관념이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出과 處의 관념 속에서 道를 행할 수 있는‘兼齋天下’의 명분으로 出의 상황에서 처했으나 이는 處의 군자적 삶의 이상을 더욱 그리워하게 하였다. 즉 개인적 삶에서 산수를 벗하고 한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지 못했던 혹은 마련되기를 바랐던 모습으로 귀거래에 대한 희망과 열망이 나타났다. 이에 귀거래에 대한 이상적 모습은 요산요수의 관념 속 本然之性인 자연으로의 귀의였고, 자연 속에서의 처사적 삶의 양식은 왕유가 관료생활 중에 휴식의 거처로 삼았던 곳이자 만년에 은거하여 자신을 수양했던 공간인 망천이 모델로 대두되었다. 또한 망천은 고전을 효방한다는 가치에서 주요 사상적 맥락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산수 속 거처 공간이라는 망천 인식의 기본적 맥락에서 조선 속 귀거래 처의 공간과 망천의 연결, 망천에서 왕유의 처사적 삶의 동경을 표현하고자한 망천의 이미지가 크게 자리하였던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문인들의 현실상황과 理想의 괴리 속 망천에 대한 열망과 망천도의 이슈화는 진행되었고, 망천도의 실견, 제작 그리고 소장을 통해 이미지가 소비, 확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망천 인식의 구조화와 더불어 조선시대 망천 회화 이미지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는 이상향으로의 망천 회화 이미지와 망천도 성행에 따른 회화 창작방식으로서의 망천 회화 이미지로 대별된다. 먼저 이상향으로서의 망천 회화 이미지 유형은 화제로도 분류된다. 선경과 탈속경, 전원 속 안분지족의 공간, 자연 속 휴식과 도체함양을 위한 공간으로서 장수유식의 장소이다. 가장 기본적으로 망천의 이상향으로서 특성은 선경이자 탈속경이였다. 망천의 공간이 긴 냇물과 푸른 산이 둘러싸인 공간으로 표현, 洞天의 지명을 가진 곳에 대입되었으며 <몽유도원도>의 제찬에서 무릉도원과 병칭, <화개현구장도>의 제발, <독서당계회도>에 도상으로 등장하며 공통적으로 분지형 공간의 회화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원 속 삶의 이상향으로 등장한 망천 이미지는 안분지족의 삶을 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되었고, 이것이 망천을 그린 회화 작품 속에 농가풍경 도상이 추가된 이미지로 나타났다. 휴식의 이미지로는 17세기 산수화 계병 중 <망천수묵계병> 발문과 왕유 망천도 범본의 도상을 차용하여 그려진 <현종정미온행도>에서 보이며 공무 중의 휴식의 이상적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나아가 산수 속에서 道를 涵養하고 修養, 修己의 수양론으로 확장된 藏守遊息의 공간인 <무이구곡도>와의 관련성과 <곡운구곡도>의 발문에 망천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망천의 회화 이미지가 창작 방식으로서 등장하는 예이다. 크게 세 가지로 대별된다. 첫 번째는 契會圖 .〮實景圖 속에 보이는 倣古參今의 창작방식으로 망천 회화 이미지이다. 조선의 실경을 그린 계회도와 실경도 속에서 조선전기부터 망천을 인식한 조선의 공간을 그린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 군은 도상적으로 幽居處가 登山臨水 공간에 위치한 거처나 휴식의 공간이자 선유 장면을 그린 작품들이다. 특히 방고참금의 회화 창작론의 정선의 실경산수화 작품들이 포함된다. 두 번째는 시화상간의 창작방식을 통해서 시의도 속에 나타난 망천 회화 이미지이다.『석농화원』별집에「겸재순첩」에 등장하는 왕유의 망천 시의도들은 이후 이방운의 망천 관련 시의도들과 같은 제목을 했다는 점에서 왕유의 망천 시의를 취한 작품들이 크게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유형은 한거, 觀水觀物, 한담, 전원락, 귀거래의 시의로 세분된다. 세 번째는 왕유와 관련하여 畵譜를 倣作하거나 왕유 망천도 도상을 차용, 변용 그리고 관념산수화 작품에 등장하는 망천 회화이미지 유형이다. 남종문인화풍의 관념 산수화가 있으며, 중국의 왕유 망천도 범본을 차용한 이방운의 작품들이 있다. 또한 화보에 실린 왕유의 선면그림을 기초로 한 작품들도 포함된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중국 왕유의 망천에 대한 인식이 회화작품 속에 투영되었을 때 어떠한 다양한 이미지로 표상화되었는지에 주목하여 고찰되었다. 고전의 효방과 이상향 속 고사의 삶에 대한 동경을 표현하였음에 접근된다. 특히, 조선시대에 망천도의 화제로 전하는 작품이 거의 전무함에도 망천의 인식과 이미지의 상호 연관성을 통해 조선시대 산수화 속에 일련의 유형과 가치를 가지고 존재하였음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동아시아 회화사 속의 고전의 주제가 어떤 사회 문화적 구조를 가지고 전개 되고 작품 속에 발현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었던 연구의 한 분야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he perception of the private estate, Wangchun villa, which became the subject of Wangchun Tu (“Painting of the Wangchun villa”) by Wang Wei (710-761) formed images in the paintings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n this painting Wang captured Wangchun as a retreat for his old age where he could lead a semi-retired life, relishing a peaceful and refreshing environment while busy with public duties. The perception of the images of the Wang River shared by the intellectuals of Jose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deas of an ideal life (i.e. 兼齋天下) where one seeks after the Way (道) based on the concepts of “going out to the world (出)” and leading a “secluded life (處)”. They aspired for the peaceful idyllic life even when they were put to a position to serve the hubbub of the world, yearning for the “coming away home” although the reality cut them off from the possibility of leading such a tranquil life in an untroubled scenic natural landscape. The life they regarded as ideal was finding a refuge in nature, that is,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of seeking “joy in mountains and waters”. The Neo-Confucian literati class of Joseon found a model for the lifestyle they admired, that of a hermit in a secluded place in nature, in Wangchun, a river where Wang Wei had a retreat to lead an ascetic lifestyle while continuing to perform his duty as a public servant. Their admiration of Wangchun developed into a philosophical context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of finding examples in the Chinese classical works.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Wangchun as a space for human habitation in nature came to connect the “peaceful secluded life” admired by the literary circles of Joseon with the lifestyle of Wang Wei harmonizing his desire for an ascetic life with his duty as a government official. The separation between the lifestyle idealized by the Joseon literati class and the reality they were put to led to the popularity of Wangchuan landscape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idyllic images of the river and surrounding nature. The consolidated perception of the Wangchuan landscapes among the literati class of Joseon led to the prevalence of the Wangchuan images as representing a utopian world and new landscape painting techniques. The image of the Wangchuan landscapes symbolizing an ideally perfect place for living appears in several different subject matters such as a land resided by Daoist sages, divine world, idyllic place of great joy and happiness, and a place for spiritual refreshment and learning. One of the most widely depicted images of Wangchuan was that of Daoist utopia often called “Heavenly Land” (Dongcheon) and marked by a long winding stream surrounded by blue and green mountain peaks as shown by Dream Journey to the Peach Paradise (Mongyudowondo), Old House of Hwagae-hyeon (Hwagaehyeon gujangdo), and Gathering of Academicians (Dokseodang gyehoedo) where the ideal place is located in a basin enclosed by mountain peaks. While these and some other paintings of the utopian world tended to show an idyllic village where all the villagers lead happy, comfortable lives some paintings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highlighted the images of peaceful rest and refreshment as shown by the Mangcheon Views in Ink Mounted on Folding Screen (Mangcheonsumuk gyebyeong) and King Hyeonjong's Journey to the Royal Villa in Onyang in the Jeongmi Year (Hyeonjongjeongmi onhaengdo). Still other paintings, including Wuyi Mountains with Nine Bends (Muigugokdo) and A Valley of Nine Bends by Gogun (Gogungugokdo), connected Wangchuang landscapes with a place for seeking the Truth and devotion to learning (藏守遊息). The Wangchuang landscape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rtistic techniques used to capture images. The first group of paintings, including those capturing the gatherings of academicians and statesmen as well as actual, rather than imaginary, landscapes, is marked by the technique of capturing real scenery of the world around the artists by depending on the works by old masters. The subject matters favored by this group of paintings include scenic natural sites containing mountain peaks, valleys and rivers which provide a fine place for rest and refreshment. Many of Jeong Seon’s landscapes belong to this group. The second group of paintings is characterized by “the exchange between painting and poetry” as shown by the “poetic paintings” contained in Grove of Paintings by Seongnong (Seongnonghwawon). These paintings rendering the ideas and themes of poetic works can be compared with those by Yi Bang-un in that both have the same titles suggesting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Wangchuan landscapes by Wang Wei. The themes favored by the painters of this group are leisurely peaceful life, sightseeing, idle talk, rural lifestyle, and homecoming from work. The third group of paintings is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copying, borrowing and revising images from the paintings of old masters, Chinese idealistic landscape paintings in particular. Some were under a strong influence from the Southern School of Literati Paintings while others, Yi Bang-un in particular, took images from the Wangchuan landscapes by Wang Wei, including his fan paintings. As briefed abov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verse images the Wangchuan landscapes by an old Chinese master Wang Wei reflected on the literati artists of mid Joseon. The works by these Joseon literati artists reveal that they yearned for the ascetic life of old sages led in a blissful utopian land and profusely imitated the images in the Chinese classical works. The study shows that while few of the Joseon’s literati artists took the Wangchuan landscapes as a subject matter for their works, the Chinese old master’s influence upon the Joseon literati artists is too strong to ignore in terms of poetic themes and images. The study also shows that some themes of the classical paintings continued to develop, leaving a strong influence upon the socio-cultural structure in East Asian art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중국 王維 輞川圖의 형성 5 A. 왕유 輞川 別莊의 의미 5 B. 왕유 망천도의 연원 17 Ⅲ. 조선시대의 망천 인식의 전개 30 A. 망천 인식의 유입 30 1. 고려 시대 형성 30 2. 조선 전기 전개 40 B. 망천 인식의 확산과 이미지의 성립 54 1. 망천 (장소)인식의 구조화와 이미지 55 2. 망천도 인식의 성행과 이미지 64 Ⅳ. 조선시대 망천 회화 이미지의 유형과 분석 80 A. 畵題를 통한 理想鄕의 망천 이미지 80 1. 仙景, 脫俗景 81 2. 田園樂, 安分知足 87 3. 休息, 藏修遊息 89 B. 畵目을 통한 繪畵創作으로서의 망천 회화 이미지 94 1. 契會圖 〮實景圖 속의 倣古參今 94 1)登山臨水, 別墅 94 2)樓亭, 船遊 100 2. 詩意圖 속의 詩畵相看 102 1)閑居 103 2)觀水觀物, 閑談 105 3)田園樂, 歸去來 106 3. 畵譜倣作, 관념 산수화 107 Ⅴ. 결론 112 참고문헌 115 도판목록 125 도 판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363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시대 망천(輞川) 인식과 회화 이미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angchuan(輞川) Landscapes and Artistic Images in the Joseon Period-
dc.creator.othernameLee, Chae rin-
dc.format.pagev, 154 p.-
dc.contributor.examiner홍선표-
dc.contributor.examiner장남원-
dc.contributor.examiner문정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