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김누리-
dc.creator김누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5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579-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depression among females in emerging adulthood. A total of 253 females in emerging adulthood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responded to questions regarding their attachment to parents, self-esteem, loneliness and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emales’ depression. Second, parental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s’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Female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parental attachment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females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report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ird, attachment to fath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s’ depression through loneliness. Female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parental attachment showed lower levels of loneliness, and females who reported lower levels of loneliness report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However, attachment to mothers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females’ depression through loneliness. Finally, parental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s’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and lonel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parental attachment, self-esteem and loneliness simultaneously in predicting females’ depression in emerging adulthood.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ld be used as a source in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females who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을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수도권에 거주 중인 성인진입기 여성 25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Arnett(2000)이 제시한 규준들 중 연령, 결혼 여부, 직업, 경제적 독립성과 같은 객관적 규준을 사용하였다. 부모애착은 Armsden과 Greenberg(1987)가 개발한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의 개정본인 IPPA-R(Raja, McGee, & Stanton, 1992)을 옥정(1998)이 번안 ․ 수정한 척도 중, 부모애착 척도 25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를 어주경(1998)이 번안한 척도를, 외로움은 Russell, Peplau와 Ferguson(1978)이 개발한 UCLA 외로움 척도를 Russell, Peplau와 Cutrona(1980)가 개정한 것을 박선영(1998)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울은 Radloff(1977)의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과 양병창(2001)이 번안 ․ 수정한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부애착 및 모애착 모두 자아존중감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이는 낮은 우울 수준으로 연결되었다. 셋째, 부모애착이 외로움을 통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부애착은 외로움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모애착은 외로움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낮게 지각하였으며, 이는 낮은 우울 수준으로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을 통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관련하여, 부애착 및 모애착 모두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로움 수준이 낮아져 우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을 통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부애착이 모애착보다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성인진입기라는 독립적인 발달단계가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진입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국내 상황에서 성인진입기 여성을 대상으로 부모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진입기 여성을 위한 우울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성인진입기 여성의 정신건강과 발달단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 6 B. 부모애착과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 8 C.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및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 10 D. 부모애착, 외로움 및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 14 E.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외로움 및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 18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21 A. 연구문제 21 B. 용어정의 21 Ⅳ.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조사도구 24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8 Ⅴ. 연구결과 30 A. 예비분석 30 B.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1 C. 측정모형분석 34 D. 구조모형분석 37 Ⅵ. 논의 및 결론 43 A. 부모애착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43 B.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을 통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44 참고문헌 51 부록 67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2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및 외로움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Self-Esteem, and Loneliness on Depression among Females in Emerging Adulthood-
dc.creator.othernameKim, Nu Ri-
dc.format.pagevi, 77 p.-
dc.contributor.examiner도현심-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