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엄하영-
dc.creator엄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757-
dc.description.abstractModern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advances have created the “No Boundary” global culture along with fast fashion trend and cultural cycle. With the mounting thirst of newness and freshness, and significance of creative ideas,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has been already considered as a new genre in art separately from the fashion design concept beyond its basic role of garment in the past. Furthermore, the fashion illustration has been rapidly expanding its expression realm through the research and new initiatives. In this research paper, I conduct 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a figurative feature utilizing the western 'Stained Glass Technique' motivated by the “Gach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traditional women’s hair style was a section of Custom Culture and a tool to express one’s individuality, and it was varied as per convention, material, composition, a way of wearing and etc. Thus, it tends to contain the phases of the times and vestige of Korean race. Historically, Koreans had taken great care of their hair and express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Gache had created new cultures over time and contained artistic qualities. In addition, Gache had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ition of history because the hair style in the past contained information such as one’s rank, class, identity, marital status and etc. In the late Joseon Dynasty era, Gache was a fashion trend and very popular among women regardless of one’s identity class. Joseon Dynasty women expressed their fashion and beauty through Gache even though they lived in the Confucian society while women’s own free will was totally repressed. Its explosive popularity had led to national sanctions twice and Gache was at its peak as a fashion tre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era. As such, Gache is meaningful as an element of Korean Costume Culture. While in other countries, publication resources related to ethnic hair styles and traditional hats are arranged systematically and get a lot of responses at home and abroad, there are much to be desired in this research field in Korea. Therefore, we are awaking to the need for in-depth research in this field soon. In addition, the stained glass technique would be considered as an inventive resource in the area where the short history of domestic scholastic perspective and the scarcity of research thesis pertain currently. In this study, I crafted eight torso art piece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otif reflecting the Gache formation through contempl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I reformed a female figure having characteristics in mind, such as a round face, white skin, cherry-red lips, and thick lustrous hair which were the standard of beaut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mphasized on beauty of curve and elegant. The art pieces were mainly emphasized on the Gache(hair shape) portion having curves with repetitive rhythms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with a straight dismemberment of the torso. Mosaic stressed a formative element of lines and facets division for a matrix of the stained glass technique and simply stylized lines conveys the modern sensation as well. Through a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this study, various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ache were clearly observed and a significance motif of highligh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were also seen.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able to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sense. I used glass to show the simplicity of decorativeness and hair texture effect and simplified lead wires to emphasize the twirling in order to expres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ming creative braid modernistically. As formative and artistic expression is a little piece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Gache, I tended to show the aesthetic quality of Gache which was a long-run popular fashion item among different classes of women. The front torso composition which was applied in the art pieces are the most effective composition and easy access for the center of mass with respect to transfer and stability in the form of Gache. I intended to express the eyes of the images as birds to symbolize freedom which was observed from the circumstance where the women’s free will in the Confucian society had many constraints but their strong will of expressing beauty and fashion sense through Gache was existed. The characteristic has a personality of its own. For a motif, I selected the five representative Gache’s formation reflected, Daesu, Tteoguji, Eeoyumi, Topped hair, Circled hair excluding Whogae type and Adu type. And I crafted eight front torso art pieces based on the motif through contempl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crafting work done is as follows. First of all, Stained Glass Technique in order to express the volume of braided Gache’s realistic condition in a simplified process utilizing line characteristics is effective. The lead wire of stained glass gives an impression that the surface is not simple and not common and the copper tape technique conveys a dynamic impression with a change of thickness. In addition, the Patina process change the color of lead wire in accordance with the mood, so the ambience of craft piece gets concentrated. Second, the figurative representation of a reinterpretation in modern style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style became a chance to connect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in this perspective, combining Gache motif and western Stained Glass Technique became a new experiment in the fashion illustration field. A brand-new modern formative motif was developed while two different contrasts were combined such as, eastern motif with western representation techniques, modern interpretation for the traditional style, curves with straight lines, and a color with its contrast one. Third, the representation of Gache’s surface was able to describe effectually studied through the direction of grain and its pattern appeared on the glass surface. The stripped glass of intaglio was enough to explain the Gache hair in texture-wise. The braid directivity of Gache was stressed when the pattern of colored glass and the surface get reconciled with the direction of Gache’s twirling. The merits of colored glass in this study, appropriate mixed usage among transparent, non-transparency and semi-transparency, and combined multiple usage of color scheme, get harmonized well together and delivers a pictorial emotion to viewers as well as oriental-calm beauty. Fourth, the copper tape technique using multiple small piece glass represents detailed sections very effectively. In particular, it made possible to describe the detailed parts of the women’s faces. Moreover, it was even more durable and sturdy form of Gache when finishing the pieces with adding ‘came frame’ to the edges around. Finally, the stained glass can be expressed in many different atmospheres depending on what kinds of lights are being spotted. Overall relaxed mood with the color and three-dimensional effect of lead wires when there is no lights and the texture sensation of glass surface is precisely delivered. The illuminated colored glass shows its color sense, forms emphasized areas resulted from a penetration of natural light, and adds splendor and mythical ambience of the art pieces. The expression of shade and sense of volume of glass through the refraction of light is enough to represent the volume sensation of Gache. Thus, these crafted art pieces can be expressed in two different ambiences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light. As such, the free artistic expression of lead wire getting out of the typical flat surface and the simplification between Mosaic facets consisting of a matrix of the stained glass convey in modern reinterpretation from the traditional motif, called Gache. The colored glass with a variety of colors and its kinds enables the fashion illustration to embody the light. The two important elements in this study, light and stained glass, reconstruct the color sense and mood of the art pieces and even lead to stimulation and immersion of one’s sensitivity. I strongly believe that this research enables to expand the area of fashion illustration and suggests a new kind of experimental study by supporting a Korean traditional fashion style, Gache. Furthermore, as the Korean wave has swept over the rest of the world, I propose that we must conduct constant researches on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s and move forward with the differentiated concepts of Korean beauty in this global competitive market. I also believe in more Korean traditional concepts to invest marketability and promot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as Korea has plenty of global recognition. With this as a momentum, I hope the fashion illustration area to expand its territory with broader ideas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concerns and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bout motifs in our history and tradition must go on and raise their artistic value to even further.;현대의 산업과 과학기술 발달은 빠른 유행과 문화적 사이클을 이루며 국경의 경계가 없는 글로벌 문화를 형성한다. 새롭고 신선한 것의 갈증과 함께, 독창적인 발상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는 가운데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Fashion Illustration)은 이미 패션과 독립된 개념의 예술 장르로서 새로운 시도와 연구를 통해 그 표현 영역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가체를 모티브로 서양의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을 사용하여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연구하였다. 다소 이질적인 것의 결합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시도함에 의미가 크다. 전통적으로 한국 여성의 머리 형태는 복식문화의 한 부분이자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형식, 소재, 구성, 착용 방법 등이 다양하였으며, 우리 민족의 시대상과 모습이 담겨있다. 역사적으로 우리는 머리를 소중히 가꾸며 미의식을 표현하였고, 가체는 시대에 따라 새로운 양식을 창조하며 예술성을 띠었다. 과거에는 머리 형태에 그 사람의 지위, 계급, 신분, 혼인의 유무 등의 정보가 담겼으며 가체는 역사의 변천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발달했다. 조선후기, 가체는 하나의 풍조를 이루어 신분을 넘어 여성들 사이에 폭넓게 유행하였는데 여성의 자유의지가 억압된 유교 사회임에도 자신의 패션과 아름다움을 가체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그 폭발적 인기는 두 차례 국가 제재로 이어졌고 조선후기는 가체의 유행이 절정인 시기였다. 이렇듯 가체는 한국 복식문화의 한 요소로의 의미도 크다. 해외에서는 자국의 두발, 관모 관련 분야의 책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이 분야에 대한 관련서와 연구가 미비하다. 때문에 앞으로 관련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미인의 기준이었던 둥근 얼굴과 흰 피부, 앵두같은 입술, 숱이 많고 윤기가 흐르는 머리채 여성을 기본으로 캐릭터를 개발하였고 곡선미와 우아한 아름다움을 담았다. 곡선이 반복적 리듬감을 이루는 가체부분과, 대비되는 상반신의 직선 절개는 상, 하 대비를 이루며 가체를 더욱 강조한다. 모자이크는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의 모체로 선과 면 분할의 조형요소가 강조되며, 단순하게 양식화된 선은 현대적 느낌을 전달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체의 다양한 종류와 조형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고, 체(髢)를 더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였던 가체머리는 인물의 캐릭터와 신분, 개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모티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이 가능하였다. 장식성의 단순화와 머릿결 느낌을 담은 유리의 사용, 단순화된 납선은 꼬임을 강조, 창의적인 결발을 이루며 인물의 특징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가체가 표현하고 있는 조형성과 예술성은 가체가 갖는 미적 특성의 일면으로, 오랜 기간 폭넓게 유행하였던 가체를 통해 그 시대 다양한 신분의 여성들이 사용한 가체의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에 쓰인 정면 상반신 구도는 가체 형태의 전달과 안정감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구도로 무게의 중심에도 용이하였다. 여성의 자유의지에 많은 제약이 따랐던 유교사회 속에서도 가체를 통해 아름다움과 개성을 표출하였던 점에 착안하여 캐릭터의 눈은 자유를 상징하는 새의 형태를 담고자 하였다. 캐릭터는 자체의 개성이 있다. 모티브는 후계형과 아두형을 제외, 대표적인 가체의 형태감이 잘 반영된 대수, 거두미, 어유미, 얹은머리, 둘레머리를 선정하였다. 5가지 모티브를 기본으로 이론적 배경의 고찰을 통해 정면 상반신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발된 가체의 사실적 형태의 볼륨감을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을 때 선의 특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느낌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이 가능하였다. 스테인드글라스의 납선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평면성을 벗어난 느낌을 주고, 동 테이프 기법은 선 굵기의 변화를 통한 동적인 느낌을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또한 파티나 작업은 납선의 색을 작품의 분위기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하였다. 즉, 가체의 땋거나 꼬인 결발된 머리의 형태를 전개시킴에 있어서 스테인드글라스의 선과 면의 그래픽적인 분할은 가체머리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거 전통적 양식에 의한 장식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조형적 표현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관점에서 가체 모티브와 서양의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의 접목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시도가 되었다. 동양 모티브와 서양의 표현기법, 과거 전통양식의 현대적 해석, 곡선과 직선, 색채대비가 대조적으로 접목되는 가운데 현대적인 조형미가 창출되었다. 셋째, 유리 표면에 나타나는 결의 방향성과 무늬를 통해 가체 결의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하였다. 음각의 줄무늬 유리는 가체의 머릿결을 재질적으로 표현하였고, 색유리 무늬와 결을 가체의 방향성과 일치시켰을 때 가체의 결발된 방향성이 강조되었다. 투명, 불투명, 반투명 유리의 적절한 사용과 다양한 색유리의 조합은 조화를 이루며, 다양한 컬러의 터치감 있는 색유리는 회화적 느낌을 전달 할 수 있었다. 넷째, 작은 유리조각을 사용한 동 테이프 기법은 디테일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얼굴의 세밀한 부분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작품 외곽에 케임을 둘러 마무리하였을 때 더욱 튼튼한 내구성과 가체의 형태감이 강조되는 효과가 가능하였다. 다섯째, 스테인드글라스는 빛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였다. 실제로 빛이 없을 때는 전체적으로 차분한 느낌으로 납선의 컬러와 입체감. 유리 표면의 재질감이 사실적으로 전달되었다. 빛에 의한 색유리는 색감이 살아나고 빛의 투과율에 따른 강약이 생긴다. 이에 따라 보다 화려한 작품 분위기가 강조되었다. 또한 빛의 색감에 따른 다양한 분위기가 가능하고 빛의 굴절을 통한 유리 명암과 양감의 표현은 가체의 부피감을 표현하기에도 적당하다. 이렇듯 빛의 유무에 따라 작품 분위기의 변화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영역을 확장시키며 실험적 시도를 제시하고, 가체머리를 소재로 한 스타일을 제안한다. 또한 최근 한류의 열풍이 세계를 무대로 하였듯이 한국 전통을 담은 아름다움이 꾸준히 연구, 시도되어 글로벌 세계 속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또한 한국의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작품들은 격이 높은 문화 홍보의 역할 및 상품성의 부여가 가능하다. 본 연구를 계기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함에 있어 보다 폭 넓은 발상과 다양한 표현기법의 영역이 확장되길 바라며, 우리 역사와 전통 속 모티브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꾸준히 이어져 예술적 가치를 높여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목적과 의의 1 B.연구범위와 방법 3 Ⅱ.이론적 배경 4 A.조선후기 가체의 이론적 고찰 4 1.가체의 정의와 역사 4 2.조선후기 가체의 종류와 조형성 16 B.스테인드글라스(StainedGlass)의 이론적 고찰 33 1.스테인드글라스의 개념과 역사 33 2.스테인드글라스의 표현기법과 조형적 특징 48 3.스테인드글라스를 응용한 작품사례 61 Ⅲ.작품제작 및 해설 64 A.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64 B.작품해설 70 Ⅳ.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98 ABSTRACT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853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후기 가체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women’s wig “Gache” : Mainly on Stained Glass-
dc.creator.othernameUm, Ha Young-
dc.format.pagexi, 106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연-
dc.contributor.examiner주보림-
dc.contributor.examiner김인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