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루이스 로울러(Louise Lawler)의 사진에 나타난 비판의식

Title
루이스 로울러(Louise Lawler)의 사진에 나타난 비판의식
Other Titles
A Study on Critical Consciousness in Louise Lawler's Photography
Authors
김예나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in Louise Lawler(1947-)’s photography. Lawler is a leading female artist in institutional critique whose works demonstrate pieces of art and the space that they occupy. In 1970’s, during which she started her career, photography received attention as the only mechanism that could shatter the myth of modernism’s originality. Also, her photography reflects the reality of artwork as an object of investment whose economic value as private property has become widely accepted. Therefore, this thesis establishes that Lawler uses photography as a medium, as well as that her views on social norms grew to include capitalism inside the art world and male dominance, with the aim of shedding light on her works of multifaceted criticism of the social structure surrounding art. Lawler photographed not only the co-existence of artwork and everyday goods inside the house of the collector, but also the process of its transportation and storage. Through photography that shows the presence of artwork in a variety of places, she demonstrated that the image of artwork on a white wall without context is a myth created by modernists who tried to preserve the purity of art. Building on the works of first-generation institutional critique artists, who posed questions on social norms and power relations regarding art museums. Lawler broadened the scope of debate to the home of the collector. Also, she shed light through photography on exter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value of a piece of art and the structure of an exhibition. Through such work, she showed that the idea of art's autonomy that artwork in and of itself has an inherent value is a deliberate invention. Lawler paid attention to places where artwork was sold, approaching the capitalistic system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by demonstrating the reality of artwork being distributed as products. She engaged in various attempts to show how artwork was traded and photographed artwork being sold at auctions. Through such works, she strived to expose the moment in which artwork with aesthetic value turns into a product with a market value. Furthermore, she made paperweights with her photography to sell at art shops, which urged people to think about the distribution of artwork in a capitalist system. Such efforts are her method of disclosing the structur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work in a capitalist society, through which she calls for critical thinking. Lawler also committed herself to criticizing the institution of art of male dominance from a feminist’s point of view. Through photography that showed how preconceived idea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were replicated and exhibited in art museums, she demonstrated gender inequality created by patriarchy. Also, by focusing on how female statues are displayed, Lawler drew attention to the fact that women are an object of male's gaze rather than individuals in an art museum. Furthermore, she exposed the unfair reality in which men determine women’s social status, by juxtaposing photography with text. The feminist angle in Lawler’s photography demonstrates that gender inequality persists within social norms. A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reviews the debate on institutional critique from different aspects through Lawler’s works that question exter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value of artwork. Her use of photography as a medium is a gesture to criticize the idea of “the uniqueness of a work of art.” Also, she contributed to broadening the meaning of art institutions which had been defined by art museums to include collectors, galleries, and auction houses. Finally, her criticism of the male-centered structure of the art world provided a basis for subsequent institutional critique to grow from internal criticism to a broader social context.;본 논문은 루이스 로울러(Louise Lawler, 1947~)의 사진에 나타난 비판 의식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로울러는 제도비판 미술을 대표하는 여성작가로 미술작품과 그것이 위치하는 공간을 보여주는 사진작업을 하였다. 그녀가 작업을 시작한 1970년대에는 사진이 모더니즘에서 추구하는 작품의 유일성, 작가의 독창성의 이상을 해체하는 유효한 수단으로 주목을 받았던 시기이다. 또한 미술품의 자산으로서의 경제적인 가치가 인정이 되면서 투자의 대상이 되었는데, 로울러의 사진작업에는 이러한 미술계의 정황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로울러가 사진매체를 이용하는 점, 그리고 제도에 대한 시각이 미술계에 내재된 자본주의 및 남성중심주의에 대한 관점으로까지 확대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로울러가 미술을 둘러싼 사회적 구조를 다각도로 비판하는 작업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로울러는 소장가의 집, 미술관에서 미술품과 일상용품이 공존하고 있는 모습과 더불어 작품이 전시되는 장소 외에도 그것이 이동, 보관되는 현장을 촬영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장소에서 미술품이 존재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사진을 통해 그녀는 주변의 맥락을 제거한 채 흰 벽에 걸려 있는 미술품의 이미지는 예술의 순수성을 보존하려는 모더니스트들이 만들어낸 신화임을 드러내었다. 미술관을 둘러싼 제도와 그 권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던 제 1세대 제도비판 작가들의 작업에서 더 나아가, 로울러는 논의의 영역을 소장가의 집으로 확장하였고, 사진 매체를 이용하여 작품의 가치와 전시의 구성을 결정하는 외부의 요소들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작품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는 예술의 자율성의 개념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임을 드러낸 것이다. 작품이 거래되는 장소를 주목하였던 로울러는 미술품이 상품으로 유통되는 현실을 사진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적으로 접근하였다. 그녀는 미술품의 판매방식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업을 시도하였고, 경매장에서 미술품이 판매되는 현장을 촬영하였다. 이러한 사진을 통해 미학적 의미의 미술작품이 경제적 의미의 상품으로 전환되는 지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그녀는 자신의 사진작품을 문진으로 만들어 아트샵에서 판매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미술품의 유통방식에 대해 재고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로울러의 시도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술품이 생산, 유통되는 구조를 노출하고, 이를 통해 비판적 사유를 이끌어 내는 방식이다. 로울러는 페미니스트의 입장에서 남성이 주체가 되어 만들어 온 미술제도를 비판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녀는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가 미술관에서 재현되고, 전시되는 방식을 담은 사진작업들을 통해서 가부장제가 만들어낸 성적 불평등의 구조를 보여주었다. 또한 여성 조각상의 전시의 방식을 주목함으로써 여전히 미술관에서 여성은 주체이기보다 남성적 시선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환기하였다. 나아가 사진작품과 텍스트를 병치하는 방식으로 남성에 의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좌우되는 현실의 부당함을 표현하였다. 로울러의 사진작업에서 드러나는 페미니스트적 시선은 남녀 간의 불평등이 제도적 틀 안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술작품에 의미를 부여하는 외부구조를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 삼는 로울러의 작업을 통해 제도비판 담론을 보다 입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었다. 사진이라는 매체를 사용하는 작업의 방식은 그 자체로 ‘작품의 유일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비판의 제스처이며, 그녀는 미술관으로 대표되는 미술제도의 의미를 당대의 미술계의 정황을 반영하여 소장가, 화랑, 경매회사 등으로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로울러가 미술제도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중심적 체제를 비판한 것은 이후의 제도비판미술이 미술내부에 대한 비판에서 나아가 보다 넓은 사회적 맥락으로 확대되는데 그 기반을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