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신현진-
dc.creator신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9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9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근대 나체화의 성립과 전개를 조명함으로서 그동안 미흡했던 서양누드와 현대 동아시아 누드 사이의 간극(間隙)을 잇는 교각(橋脚)으로서의 시도이다. 그 방법으로 나체화에 대한 시대적 담론을 바탕으로 근대 동아시아의 나체화 수용과 그 성격을 살펴보고, 근대 일본, 한국, 대만 관전 서양화부의 작품분석을 통해 관전 나체화가 어떻게 정착하고 전개되었는지, 그 시기별 재현양상으로 나체화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후반 서양미술의 근대적 주제로 유입된 나체화는 누드화의 번역조어로 사람의 알몸을 그린 그림을 뜻한다. 나체화의 원류가 되는 서양에서는, 이를 즉물적인 알몸(Naked)과 구별되는 개념 ‘누드(Nude)’로 규정하여,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미적 이상의 표현수단으로 삼았다. 하지만 동아시아 미술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이 없었고 유교 사상을 기저로 한 사회였으므로 ‘벌거벗은 몸’을 표현하여 공개하는 것은 풍속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초기에는 정책적인 제재를 가했다. 본문에서는 나체화의 원류를 파악하기위해서 개념 ‘누드’와 프랑스 아카데미의 누드화를 통해, 동아시아의 ‘누드’ 수용의 의미를 알아보고자했다. 동아시아 3국 중에서 가장 먼저 나체화를 정착시킨 것은 일본이었다. 여기에는 문명개화와 함께 근대로의 이행을 위한 서구화 및 미술의 제도화와 관련됨이 확인된다. 그리고 일본의 영향관계 속에서 근대 한국과 중국에도 ‘나체화’가 파급되는데, 이는 지식인들의 필요에 의한 선별적 수용이었으므로 담화를 통해 나타났다. 그리고 나체화는 미술교육의 기초교과로 편성되어 미술학교에서 다뤄지는 한편, 공식적인 예술로서 자리 잡게 된 것은 국가주도의 전람회, 관전을 통해서였다. 동아시아의 관전이란 시대적 특성상 일제 주도의 미술전람회로 일본의 관전과 식민지 관전을 뜻한다. 나체화 제재의 특성상 유형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 나누어 1907년 일본의 문부성전람회, 1919년 제국미술전람회, 1937년 신문부성전람회와 1922년 근대 한국의 조선미술전람회, 1927년 근대 대만의 대만미술전람회를 대상으로 삼아 1940년까지 시기별 양상을 파악하고 중앙과 지방화단이라는 이중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전은 심사위원을 통해 공모작이 선별된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심사위원의 역할이 주목된다. 따라서 입선 현황을 살펴보고 심사위원과 입선 작가의 영향관계에 따라 경향성을 파악해보았다. 나체화의 입선 비율과 제목, 제재를 통해, 나체화의 위상과 정착, 전개과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심사위원과 입선작 사이의 관계는 심사위원 출품 나체화와 출신, 역임시기를 대조하여 입선작과의 계보, 작품 내 도상 및 화풍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일본 초기 관전인 문전에서는 나체화 입선 비율이 서양화부 출품작의 약 5.5%로 현저해 영향력 있는 화제가 아니었던 것으로도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관전의 중추인물인 구로다 세이키가 나체화를 직접 출품했으므로 그 중요성이 유추되며, 그를 모범으로 삼는 화풍 및 도상의 유사성까지 나타났다. 그의 나체화는 한 명의 동양인 여인이 반라(半裸)의 형상으로, 고시마키라는 유형의 천을 두르고 자연 속에서 전경의 인물이 강조되는 도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시기에 나체화로 입선한 작가들 대다수가 그의 후배 및 제자들이었으며, 그의 화맥을 잇는 유사한 나체화가 상당수 확인된다. 관전 중기인 제전에서 나체화는 평균 10%의 입선 비율을 보였고 제 8회전(1927)에서는 약 17%라는 높은 입선율을 보이기도 했다. 이 시기는 풍기 단속의 완화 및 근대 육체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나체화가 급증한 것으로 추측된다. 표제 면에서도 반수 이상이 주제 그 자체인 ‘나체’, ‘나부’, ‘나녀’를 사용하고 있으며, 육체의 형태가 강조되는 가운데, 실내를 배경으로 한 전신정면상과 군상표현으로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1920년대에는 나체화가 육체 표현의 예술 장르로 인지되었고 서양화의 화제로서 정착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신문전기인 1930년대 이후에는 육체의 재구성을 통한 조형적 나체화도 등장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심사위원의 화풍 및 성향에 따른 영향관계가 확인된다. 근대 한국의 조선미술전람회는 시기적으로 제전기와 일치하였는데, 식민지 관전의 특성상 표준을 제시하는 참고작과 심사위원의 성향에 따라 입선작의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선미전에서는 일본 미술학교 스승 및 일본의 문전과 제전기의 도상을 재생산하는 나부가 주류를 이루었고 대부분 ‘습작’의 표제와 도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30년대 일본에서 유행하던 야수파적 성향의 나체화들이 입선되기도 하는데 이 또한 심사위원을 맡았던 작가들의 성향과 관련이 깊었다. 이는 대만미술전람회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나체화 출품 작가들의 신분이 도화교사 및 도쿄미술학교 도화사범과 출신이었던 것은 나체화를 서양미술의 기초제재로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관전의 심사위원들은 범본이 되는 나체화를 직접 출품하여 이를 서양미술의 기초로 학습하도록 했고, 이에 따라 심사위원과 입선작 사이에서 화풍 및 사승관계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전 나체화는 대다수가 동양인 모델을 사용하였고 식민지 관전의 재생산을 통해, 각 지의 토양에서 변용된 미감을 근대의 미의식으로 나체화에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at building a bridge to fill up a gap between contemporary Western and East Asian nudes that have been disregarded through examining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Nachehwa. Based on the periodic discourse on the Nachehwa, it intends to take a look at characteristics of modern East Asia's embracing of the Nachehwa, and identify how Nachehwa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th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with characteristics of the Nachehwa as a periodic representation through analysis on western paintings in modern Japanese, Korean and Taiwanes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Nachehwa, which was introduced as a modern theme of the late 19th century's Western Art, refers to paintings drawing the human naked as a translated coinage. In the West where Nachehwa was originated, it was defined as a concept of 'Nude' separating from the that of superficial 'Naked' and regard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aesthetic ideal based on humanitarianism. However, East-Asian art had no such a concept, also there was a policy sanction against expressing and opening the 'naked' in the early days by reason of violating public morals since it was a society based on the Confucianism.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cceptance of 'Nude' has in the East-Asia through a concept of 'Nude' and nude paintings of the French Academy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Nachehwa. In 3 East-Asian nations, it was Japan that established the Nachehwa firstly. It seems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modern westernization and artistic institutionalization together with the civilization. Also, under the Japanese influence, 'Nachehwa' was spread in modern Korean and China, revealing itself through discourse since it was accepted selectively by needs of the intellectuals. Furthermore, Nachehwa was organized into the basic subject of art education and dealt with at an art school, also settled as the official art through th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As art exhibitions by the Japanese imperialism,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of East-Asia refers to Japanese and colonial governmental exhibitions. Characteristics of Nachehwa have a limit to classification so this study divided periods into 1907 Japanese Exhibi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1919 Teikok Art Exhibitions, 1937 New Exhibi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1922 Chosen Art Exhibitions of modern Chosen and 1927 Taiwanese Art Exhibitions of modern Taiwan and examined periodic aspects all through 1940 with observation on a dual structure of central and local painting circles. Since competitions were selected by judges, they had an outstanding role in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Accordingly, an analysis was done for actual situations of acceptance and tendencies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relations between judges and selected artists. Through analysis on the selected ratio, subject and theme of the Nachehwa, this study identified its status, process of settlement and development. In addition,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udges and selected works, under the contrast with the Nachehwa submitted by judges, their origin backgrounds and post-holding periods, genealogy with selected works, influencing relations of icons and painting styles in works were examined. In the early Japanes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 Bunten, selected Nachehwa occupied about 5.5% of entries in the Western paining section and may be regarded as not an outstandingly influential theme. However, its significance may be inferred from kuroda seiki who submitted the Nachehwa as a central figure of th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 even creating a painting style modelled after him with similarity of icons. His Nachehwa has an image of an oriental half-naked woman, showing an icon emphasizing a figure of the foreground covering a cloth of kosimaki in the nature. In addition, in those days, most selected artists in the Nachehwa were his juniors and disciples. Also many similar Nachehwa succeeding to his legacy can be identified. In the Teiten of the intermediate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Nachehwa was selected at a ratio of the average 10%, showing about 17% of the higher ratio in the 8th exhibition(1927). In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Nachehwa increased rapidly owing to mitigation of regulations on demoralization and expansion of recognition on the body. As for titles, half of them used 'Nache', 'Nabu' and 'Nanyeo' showing the subject matter itself, also developed as an expression of a full-length front figure and groups with an interior background emphasizing a body. So, in 1920s, it shows that Nachehwa was recognized as an artistic genre of expressing a body and established as a theme of Western paintings. Also, in the period of Sinbunten after 1930s, formative Nachehwa appeared through reorganization of a body. It also reveals an influencing relation according to a painting style and a tendency of a judge. The period of modern Chosen Art Exhibitions corresponded to that of Teiten, and a tendency of selected works appeared vividly according to a reference work suggesting a standard and judge's dispositi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colonial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The mainstream was Nabu that reproduced icons of Japanese Bunten and Teiten periods or those of Japanese art school's masters, most appeared as a title and an icon of 'étude'. Furthermore, fauvist Nachehwa works popular in 1930s' Japan were also selected, deeply connected with a tendency of judge artists. It was the case also in the Taiwanese Art Exhibitions. Artists who submitted the Nachehwa were art teachers from the Dept. of Drawing Education, Tokyo Art School so it seems that they recognized the Nachehwa as a basic theme of the Western painting. As such, this study identified that judges of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submitted the model Nachehwa for learning as a basic of the Western painting so there wa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judges and selected works in painting styles and teacher-disciple relations. Besides, it reveals that most Nachehwa in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used Asian models and reflected an aesthetic sense changed from each colonial soil as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reprod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누드’의 성립과 근대 미술의 제도화 4 A. ‘누드’의 성립과 전개 4 B. 근대 프랑스의 미술 제도화와 누드화 6 C. 근대 일본의 미술 제도화 9 Ⅲ. 동아시아의 ‘누드’ 수용과 ‘나체화’의 전개 11 A. 일본의 ‘누드’ 수용과 나체화 논쟁 11 B. 한국의 ‘나체화’ 수용과 전개 20 C. 중국의 ‘나체화’ 수용과 전개 27 Ⅳ. 동아시아 관전의 ‘나체화’ 분석 33 A. 근대 일본의 관전 나체화 33 1. 문부성전람회(1907~1918)의 나체화 34 가. 문전 나체화의 입선 현황과 심사위원 34 나. 문전 나체화의 경향성 35 2. 제국미술전람회(1919~1934)의 나체화 40 가. 제전 나체화의 입선 현황과 심사위원 40 나. 제전 나체화의 경향성 45 다. 제전 나체화의 제재 49 3. 신문부성전람회(1936~1940)의 나체화 51 4. ‘관전 나체화’의 성립 57 B. 근대 한국의 관전 나체화 62 1. 조선미술전람회의 나체화 현황 62 2.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과 ‘나체화’ 입선 작가 64 3. 조선미술전람회 나체화의 작품경향 76 C. 근대 대만의 관전 나체화 81 1. 대만미술전람회의 나체화 현황 81 2. 대만미술전람회 심사위원과 ‘나체화’ 입선 작가 84 3. 대만미술전람회 나체화의 작품경향 89 Ⅴ. 맺음말 92 參考文獻 96 부록1. 圖表目錄 107 부록2. 圖版目錄 113 부록3. 圖版 117 ABSTRACT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99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근대 동아시아 관전(官展) 서양화부의 ‘나체화(裸體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Nachewha’ of Western Paintings Section in Modern East-Asia's Government-Directed Exhibitions-
dc.creator.othernameShin, Hyun Jin-
dc.format.pageiv, 132 p.-
dc.contributor.examiner장남원-
dc.contributor.examiner문정희-
dc.contributor.examiner홍선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