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朝鮮後期 山水畵의 茅亭 이미지 硏究

Title
朝鮮後期 山水畵의 茅亭 이미지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MoJeong im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landscape paintings
Authors
최소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산수화 속에 나타나는 樓亭 이미지 가운데에서도 후기의 회화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茅亭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문사들이 지향하였던 정신, 삶에 대한 이상을 寫意的으로 표현한 모정 이미지는 산수화의 제재로서도 중요한 비중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정 이미지가 갖는 상징성과 표현의도, 그리고 그 주제의식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조선 초기부터 태평성대를 대표하는 요순시대 요(堯) 임금이 실천한 검소한 삶을 뜻하는 茅茨土階 인식이 강조되면서 문사들은 화려함을 경계하고 검박한 모정을 짓는 것이 의식화 되었다. 그리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모정이 조영된 공간은 처사적인 삶을 동경하며 속되지 않은 자연과 동화되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였다. 이처럼, 누정은 성리학적 이념과 맞물려 자연을 심미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는 장소였을 뿐만 아니라, 인성함양의 도구로 인식하여 천지만물을 물상으로 취하여 窮究하고 治化하는 심성수양의 거처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누정의 상징성과 모정에 대한 문사들의 인식은 산수화 속의 모정 이미지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조선 후기 모정 이미지가 제재적으로 의도를 갖고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은일적이고 탈속적인 소재가 유행하였던 숙종연간(1675-1720) 무렵이다. 당시 문인 사대부들의 寫意的 경향과 새롭게 형성된 창작주체자로서의 문인화가들의 의식변화와 결부되어 형성․전개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시기에 모정 이미지가 활발하게 제작된 이유는 寫意性을 최고의 미적 가치로 여기던 남종화풍의 본격적인 수용과 이를 매개해 준 중국 畵譜의 유입을 들 수 있다. 남종화풍은 간일한 필체로 문사들의 모정에 대한 주관적 心懷를 화면에 옮기는데 적절하였다. 후기 회화의 모정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어 나타난다. 첫 번째는 隱逸之士를 표상하는 모정 이미지이다. 모정 자체에 의미가 부여되고, 인물의 등장 없이 초가지붕 사방에 지주를 세운 형식으로 간략하게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構成樣式에 따라 예찬식과 황공망식으로 구분된다. 예찬식 모정 이미지는 江岸의 앙상한 나무 몇 그루와, 짚이나 새 따위로 지은 빈 모정를 그린 양식이다. 여기서 모정은 속기 없이 살고자 하는 隱者와 동일시되면서 隱逸之士를 표상하는 제재로 그려진다. 이러한 예찬식 모정 이미지가 탈속과 은자의 상징이었다면, 황공망식 모정 이미지는 仙境을 향해 隱者가 도달하고자하는 최고의 장소로 상징되어 표현된다. 근경의 외쪽에 위치한 다리위로 긴 지팡이를 짚고 가는 인물의 등장과 중경의 산 중턱에 위치한 빈 모정과 소나무, 마치 선경과 인간세계를 구분 짓듯 표현된 여백, 원경의 주산과 일직선으로 시원스럽게 떨어지는 폭포로 구성된다. 은자가 다리를 건너 그윽한 산속에 위치한 모정을 향해 가서 선경 속 폭포를 바라본다는 敍事性을 담고 있음을 작품과 같이 남겨진 詩文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은일지사의 표상으로 구분되는 모정 이미지에 대한 기존의 해석은 대부분 예찬의 영향으로 해석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황공망의 영향을 받은 모정 이미지를 구분하여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처사적인 삶을 표현하는 모정 이미지이다. 조선시대 문사라면 누구나 번잡한 현실세계를 떠나 자연과 벗하며 한적한 삶을 누리고 싶은 소망을 품고 있었다. 이는 자연 속에 모정을 짓는 것에 대한 동경으로 조선시대 문화현상으로까지 자리 잡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기에 자신의 심회를 시로 쓰고 그림으로 그려 감상하고 소장하며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에 모정이라는 공간에 인물과 보다 적극적으로 결합시켜 이상화된 문사들의 추구하는 삶을 표현하였다. 이상적인 공간에서 그들이 추구하는 삶의 모습을 표현하기에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감 있는 건축구조로 그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정의 형태가 화가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는 점은 화가 자신이 원하는 문화공간으로서 취향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정 안에 표현된 인물 행위를 통해 모정독서, 모정관폭 , 모정조망, 모정한담의 이미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모정독서 이미지는 서재를 상징하는 기물과, 글을 쓰는 인물을 모정에 등장시켜 속됨 없는 공간속에서 학문을 하는 문사로서 갖추어야할 자세를 담고 있다. 모정관폭은 관폭을 하는 인물과 주산에서 떨어지는 한줄기 시원한 폭포를 배경에 배치하여, 한가하게 폭포를 완상하는 풍류적인 삶과 은둔자적 자세 등을 표현한다. 모정조망은 모정 안에 홀로 앉아 자연을 바라보는 인물이 표현된다. 개인적 풍류처로서 자연을 통해 심성수양을 하는 문사들의 심상을 나타낸다. 모정조망이 자연을 통한 개인적 자아추구의 공간이었다면 모정한담은 둘 이상의 인물이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표현하여 아회의 공간으로 의미와 역할이 확대된다. 벗과의 모임과 풍류를 이끌었다. 특히, 여름날 벗과의 納凉的 풍류를 즐기는 공간으로 주로 표현되며, 이러한 교류는 증답용 선면화로도 다수 그려진다. 처사적인 삶을 표현하는 모정 이미지는 인물과 보다 적극적으로 결합하여 이상화된 문사의 삶을 부각시켜 묘사되고 있으며, 제화시를 통해 의미를 구체화 할 수 있었다. 이처럼, 조선후기 산수화의 모정 이미지는 문인들의 은일과 탈속 정신 표현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단편적 소재를 넘어 문사들이 지향하였던 삶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함유하는 역할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처사적인 삶의 표현 속에서 인물과 보다 적극적으로 결합하여 이상화된 문사들의 삶을 부각시키기도 한다. 즉, 단순한 외형 묘사가 아닌 ‘俗’ 됨이 없는 처사적인 삶에 대한 문사들의 상상과 철학이 반영된 寫意的 이미지이다.;This paper focuses on the images of Mojeong(茅亭) Mo-Jung is a sort of open-air pacilion with a roof made of thatch and constructed with one or two spans. among the images of Noojeong(樓亭, pavilion) represented in landscape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Mojeong image is frequently represented in the latter paintings, which expresses the ideal on spirit and life oriented by literary men in symbolic ways. Although it is the image of reflecting the special consciousness of literary men rather than just a partial subject and it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landscape paintings as a topic, the specified studies still have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is proceeded to put emphasis on understanding its symbolism, expression intention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Mojeong image. The recognition of Mojatogye(茅茨土階) which referred to the thrifty life executed by King Yo(堯) in the era of Yosoon(堯舜時代) that represented an age of peace was emphasiz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t became common for literary men to build a simple Mojeong to avoid extravagance. As going through the Imjin War and the Byungja War, the space in which Mojeong was constructed implicated the symbolic connotation of longing for free life and assimilating with pure nature. In the lives of literary men in the Joseon Dynasty, Noojeong was the place of appreciating and enjoying nature in accordance with Neo-Confucianism ideology. It was also regarded as a measure of humanity cultivation and the location of moral self-cultivation to take everything in the world as a subject and make investigation as well as to lead and govern the public with benevolent politics. Such awareness on the symbolization of Noojeong and Mojeong of literary men was reflected in the images of Mojeong in landscape paintings. The emergence of the Mojeong im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pproximately the period of King Sookjong(肅宗年間, 1675-1720) in which reclusive and spiritual subjects were in fashion. It was constructed and developed along with the combination of the symbolic tendency of literary noblemen and the consciousness change of the paint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s a newly-formed creative agents at that time. The full-scale acceptance of Namjong(南宗) style which regarded symbolism as the highest aesthetic value and the introduction of Chinese art book which mediated it could be the reasons for the active produce of the Mojeong images in this period. Namjong style was appropriate for realizing the literary men’s subjective affection on Mojeong with simple writing into painting. The images of Mojeong in the latter painting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o express through images. One was the images of Mojeong representing the noblemen retiring from the world. The implications were granted to Mojeong itself which was expressed simply in the form of four pillars under thatched roof without the appearance of a person. They were distinguished into Ni Zan(倪瓚) style and HuangGongwang(黃公望) style according to building style. The Mojeong image in Ni Zan style presented few thin trees in the riverside and an empty Mojeong made of straw or litter. Mojeong was identified with a man in reclusion who tried not to live in the secular world. While the Mojeong image in Ni Zan style was the symbolization of unworldliness and hermit, the Mojeong image in HuangGongwang style expressed the best place where a recluse attempted to reach a fairyland. It was comprised of the emergence of a person with a long cane on a bridge located one side of close-range view, an empty Mojeong and pine tree located in hillside of middle-range view, the margin representing the division between fairyland and human’s land, the main mountain and vertical waterfall in distant view. The poem in the painting enabled the viewers to understand that this painting contained the narrative; a recluse crossed the bridge and went to the Mojeong located in deep mountain and watched the waterfall in a fairyland.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n the Mojeong image classified as an expression of reclusive literary men had been influenced by the Ni Zan style in general. However, this paper suggests new meanings by distinguishing the Mojeong image that had been influenced by the HuangGongwang style. The other thing was the Mojeong image representing free(處士的) life. All of the literary men in the Joseon Dynasty nursed hopes to leave the busy secular world and enjoy earthy life in nature. Such yearning for building Mojeong in nature was established even as a cultural phenomenon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y transformed such yearning into poems and paintings and imparted the meaning by appreciating and possessing them because there were so many realistic difficulties. It expressed the pursued idealistic life of literary men as combining with person in a space of Mojeong more actively. Compared to the Mojeong image with simple format to express the spirits of literary men mentioned above, this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more specific and realistic building construction to represent the way of life pursued by them in the idealistic place called Mojeo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formats of Mojeong were express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painters, it could be found that the taste of the painter himself was reflected as the cultural space which he wanted. The person’s behaviors represented in Mojeong could be classified into writing poem (Mojeongdokseo, 茅亭讀書), appreciating waterfall (Mojeonggwanpok, 茅亭觀瀑), staring into the distance (Mojeongjomang, 茅亭眺望), having a talk with more than two persons (Mojeonghandam, 茅亭閑談). The poem in the painting dictated its implications. The image of Mojeongdokseo accompanied the objects symbolizing library and the person writing something. It implicated the attitude of literary men studying in the unsecular space. The image of Mojeonggwanpok arranged the person appreciating waterfall and the waterfall flowing from the main mountain in it, which implicated free life and elusive attitude to be able to enjoy waterfall at leisure. The image of Mojeongjomang represented a person sitting alone and watching nature in Mojeong. It implicated the mind of literary men cultivate their mind and spirit through nature as a personal entertaining place. Compared to Mojeongjomang as a personal place for individual self-realization through nature, the image of Mojeonghandam expanded the meanings and roles as a space of aesthetic sentiment by representing the scene of two or more persons having a talk together. It leaded to the gatherings and entertainments with friends. In particular, it was mainly represented as the place in which literary men enjoyed the cool air and art with friends in summer. Such communication was also represented as line-surface paintings as gift. The Mojeong image which expressed free life emphasized the idealized life of literary men through the active combination with person, and its meaning can be specified through the poem in the painting. The Mojeong im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the main purpose of expressing the reclusion and unworldliness spirit of literary men. Beyond the fragmentary material It played the role of delivering the meaning of the life oriented by literary men beyond a partial subject of paintings. Also, it is put emphasis on the idealized life of literary men through the active combination with person within the expression of free life. In the other words, it was the symbolic image reflecting the imagination and philosophy of literary men regarding free life without secularity rather than expressing appearance depi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