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애경-
dc.contributor.author민효경-
dc.creator민효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71-
dc.description.abstract일과 생활의 조화 수준이 높으면 회사만족도, 소속감, 직무몰입, 삶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이에 최근 정부 및 기업에서는 일-생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일-생활 균형에 대한 연구의 시발점이 일과 가정생활 사이의 전이나 갈등에서 시작했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을 여성으로 한정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기혼 여성비서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일-생활의 균형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기혼여성 비서의 일-생활 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상사지지가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주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비서의 일-생활 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상사지지가 기혼 여성비서의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가?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생활 균형, 생활만족도, 상사지지의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본조사에 앞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눈덩이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3주간 이메일과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 결과 총 134부의 자료가 수거되었으며 이중 불성실하거나 미완성된 응답지 및 연구대상에 부합하지 않는 자의 응답지를 제외한 127부(94.96%)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8.0(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균형이 이루어지면 모든 영역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일-여가 균형 역시 일-가족 균형과 마찬가지로 모든 영역의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성장 균형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반적 일-생활 균형은 가정생활만족도와 직장생활만족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여가생활만족도와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사지지가 일-가족 균형 및 전반적 일-생활 균형이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위의 가설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 상사지지의 변수 간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각 변수별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둘째,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비서직 종사자의 일-생활 균형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비서학 연구 분야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셋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일-생활 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기혼 여성비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에서 수행된 연구로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국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이 중요한 상황에서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의 마련 및 시행이 기혼 여성비서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켜 여성 노동력 확보, 직무만족,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며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직무특성상 여가활동을 누릴 여건이 충분치 않은 기혼 여성비서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조직차원에서 제공하는 여가활동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별도의 승진체계를 적용 받으며 사내 교육프로그램의 참여에서 배제됨에 따라 근무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급이 낮으며, 일-성장 균형이 낮은 비서직 종사자를 위해 승진제도를 개선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성장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켜 지속 성장,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비서에 대한 상사의 인정과 지지가 비서의 생활만족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무효율을 높여 조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혼 여성비서의 일-생활 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지지가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론적, 실무적으로 의미있는 바를 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확보된 표본수가 적으며 눈덩이 표본추출법의 특성상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횡단연구, 양적연구인 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할 수 없으며 깊이 있는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일-생활 균형에 대한 연구가 상당기간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혼 여성비서의 생활영역에 있어 여전히 가정생활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가정의 영역뿐만 아니라 여가 및 성장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삶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결혼여부의 구분없이 모든 비서직 종사자의 일-생활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work-life balance is closely linked to one’s job satisfaction, sense of belong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governments and companies are putting enormous efforts to optimize the work-life balance. Initial study on work-life balance was conceived from the finding that one’s issue at home is often translated into conflicts at his/her workplace and vice versa, the phenomenon which has drawn many to study women’s role in finding the work-life balanc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that explores the work-life balance of admimistrative assistants who are mar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how supervisor support serve the role of moder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formulat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a married admimistrative assistants? Second, does supervisor support serve the role of moder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conducting the main survey, tools were created to objectively measure one’s work-life balance, life satisfaction and supervisor suppor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tools were proven by the preliminary survey. A total of 134 secretar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Oct 20th, 2014 to November 10th, 2014, of which 127(94.96%) were selected, excluding the sets of incomplete and inappropriate answers;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The data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with SPSS 18.0 to sort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ie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highligh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1) Work-family balance has positive effects on every aspect of life satisfaction as a whole 2) Work-leisure balance also yields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work-family balance. 3) Work-growth balance does not have a notabl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4) General work-life balance has positive effects on family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but such balance produces nega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5) Supervisor support serve the role of moder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also general work-life balan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cause-and-effects among work-life balance, life satisfaction and supervisor support have been described, and history of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Second,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 as it explores the work-life balance of adiministrative assistants, the research that has not been conducted in the past. Third, there existed many studies on the effect that work-balance imposes on married female workforce; however, no researchers had studied such relationship that involved married secretar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help facilitate further study of the subject in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the need for designing and adopting policies to better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secretaries is identified as a means of securing the female workforce, their work satisfaction and high level of contribution to their organization, especially in today’s time wher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has become important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domestic workforce. Second, since secretaries perform multiple tasks at the same time, and their replacements are difficult to find, the employer should provide support for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the level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Such support is essential especially for the married secretaries, whose leisure time is typically insufficient. Third, employers should devise customized promotion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for secretaries who often separated from the regular promotion system and ruled out of training opportunities, resulting in low level of work-growth balance and lower ranks compared to their actual years of service. Such customized promotion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will motivate secretaries to continuously seek career growth opportunities. Fourth, this study confirms that positive supervisor support and recognition have significant impact not only on secretaries’ life satisfacti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but also on their work efficiency, which leads to a positive effect to organization as a whole. Despite the vali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research has drawn, some limitations have been found. Therefore, these limitations are introduced to facilitate the future research. First,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Second, as this study is based on cross-sectional analysis and quantitative research, changes over time cannot be monitored and in-depth examination is challenging. Third, family life still takes the biggest portion of the life of a married secretary despite the fact that work-life balance has been studi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now. Future studies will need to cover the leisure and career growth variables to help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life, an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secretaries in general regardless of their marital status. Key Words: Work-life balance, Life Satisfaction, Supervisor Support, Married Admimistrative Assist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일-생활 균형 6 1. 일-생활 균형의 개념과 패러다임의 변화 및 영역 6 2. 일-생활 균형의 선행연구 12 B. 생활만족도 17 1. 생활만족도의 개념과 연구방법 및 영역 17 2. 생활만족도의 선행연구 22 C. 상사 지지 27 1. 상사지지의 개념 27 2.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29 3. 상사지지의 선행연구 30 D. 일-생활 균형, 생활만족도, 상사 지지에 관한 선행연구 32 1.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 32 2. 일-생활 균형과 상사지지 33 3. 생활만족도와 상사지지 34 Ⅲ. 연구방법 36 A.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6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39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0 D. 설문지 구성 및 자료의 분석방법 42 Ⅳ. 연구결과 44 A.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4 B.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 46 1. 타당도 분석 46 2. 신뢰도 분석 50 3. 상관관계 분석 51 C. 가설검증 및 평가 53 1.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53 2.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57 3. 가설 검증 요약 65 Ⅴ. 결론 67 A. 연구 결과 및 논의 67 B. 연구의 시사점 70 C.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3 참고문헌 74 [부록 1] 설문지 88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21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기혼 여성비서의 일-생활 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상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Work–life balanc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dc.creator.othernameMin, Hyo Kyung-
dc.format.pageix, 96 p.-
dc.contributor.examiner김명옥-
dc.contributor.examiner박경옥-
dc.contributor.examiner최애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