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on secretary’s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uthors
송민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지연
Abstract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오늘날의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조직의 핵심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와 유지 및 관리가 기업성패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오늘날의 인적자원의 특성은 무조건 일에 매진하기 보다는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일을 통해 자아성취나 개인적 가치들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구성원들의 다양한 개인적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키는 내재적 보상과 동기부여 방법을 통해 이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냄으로써 업무에 효율을 높이고 조직에 높은 충성심과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을 찾을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개인과의 적합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는데, 적합성 관련 연구에서는 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과 같은 태도변수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과거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개인 중심의 경력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의 경계를 넘나드는 방향으로 개인의 경력관리의 추세가 점점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경력관리에 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는 하였지만 경력관련 변인과 적합성 변인과의 실증적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환경의 복잡한 관계와 상호작용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개인-환경 적합성과 경력변인과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적합성과 관련하여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비서직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과 경력몰입, 경력만족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별, 연령, 학력, 직위 등의 사항에 대한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비서를 제한 없이 무작위 표집법으로 추출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조사도구의 정확성을 위해 30개의 표본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수정한 설문문항을 바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62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의 내용분석을 위하여 SPSS 20.0(ver.)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몰입, 경력만족에서 현 직장에서의 비서로서의 근무년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1년 미만, 1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경력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세 변인 모두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비서 그룹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비서직으로서의 어느 정도 이상의 경력을 가짐으로써 직무에 있어 전문성을 갖추게 되고 매력을 느껴 자신의 직무에 대해 보다 적합하다고 느끼며, 본인의 경력에 더욱 몰입하고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상사 적합성 변인에서 비서로서의 근무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한 명의 상사와 업무스타일이나 관계에 있어서 팀웤을 이루는 것이 여러 명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상사를 동시에 모시는 것보다 수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상사 적합성 측면에서 1:1비서, 1:2비서, 팀비서 순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몰입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인-상사 적합성은 경력만족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비서직의 경우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과 직무에 적합도가 높아야 하며 경력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과 직무보다는 상사와의 적합도가 높아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서직의 경우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높은 비서를 채용하거나 이를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다양한 인력관리 방안을 통하여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을 향상시킨다면 개인의 경력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비서가 모시는 상사의 업무효율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도 향상시키는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적합성 개념과 경력변인들 중 경력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은 소수 있었으나 경력만족과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있다. 또한 적합성 관련 연구 중에서 비서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서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서를 둘러싼 가장 주요한 경영환경을 비서가 속해 있는 조직, 비서직만의 전문성을 가지는 직무, 그리고 비서와 밀접한 업무관계를 형성하는 상사의 세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의 적합성 변인이 비서의 경력변인인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특성이나 그 조직에서의 비서직의 특성, 그리고 비서가 보좌하게 될 상사의 특성에 따라 비서의 채용이나 교육 및 인력 운용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른 실천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로 본 연구는 설문 응답자의 인지된 적합성을 측정하였는데, 정확한 연구결과를 위하여 인지된 적합성과 실제 적합성 중 어떠한 것이 더 정확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횡단연구인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보의 정확한 변화를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풍부한 표본수를 바탕으로 종단적 성격을 가지는 경력관련 변인에 맞게 종단연구를 확대하여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As the business environment has become increasingly competitive, securing and manag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are considered as a key element of corporate suc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uman resources are that they are pursuing work-life balance and trying to achieve self-fulfillment and personal values through their work rather than totally giving themselves up to their work.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organizations need to find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their employees through various rewards and motivation, so that improve efficiency in works and increase the loyalty and commitment to their organiza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it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is such an important concept to be research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working environment. Despite the increasing research on person-environment fit, i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the secretarial science study fields. To this end, this work focuses on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on secretary’s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based on empirical study.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do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affect on secretary's career commitment? Second, do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affect on secretary’s career satisfaction? This study has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the incumbent secretaries randomly extracted in a variety fields. Total 162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0.0. The key findings deriv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person-job fit,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re related to the years working as a secretary in the current company.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working experience secretaries have, the higher the variables they have.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that a certain level of expertise and experience are required to have job fit and a sense of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s a secretary’s career.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differences in person-supervisor fit depending on the working types as a secre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easier to work with a single supervisor than to have two or more ones and work as a team secretary, 1:1 secretary has the highest person-supervisor fit, 1:2 secretary the second and team secretary the last. Second, the results of the verified hypothesis show that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have positive effects on career commitment, and person-supervisor fit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commitment, and person-supervisor fit for higher career satisfaction.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work is that the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career variable such as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re investigated, which have not been studied yet especially in secretarial science study fie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e reference data for hiring and training secretaries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s, work, and supervisors. Key words: secretary,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person-supervisor fit, career commitment, career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