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20대 새터민 및 일반 성인의 선호 대중음악 요소별 분석

Title
20대 새터민 및 일반 성인의 선호 대중음악 요소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differences in song preferences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in their twenties
Authors
강선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 및 새터민 20대 성인의 선호 대중음악을 분석함으로써 선호곡에서 보이는 두 그룹의 음악적 특성 및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에서 29세까지의 일반 성인 30명과 새터민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악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현재 참여하고 있는 음악활동과 주된 음악경험, 음악을 접하는 경로를 알아보았고 수집된 300곡의 음악은 장르, 가사내용, 음악요소별로 분석하였다. 음악적 특성에 있어서 현재 참여하고 있는 음악활동은 20대 새터민 및 일반 그룹 모두 없다는 응답이 많았고, 두 그룹 모두 주된 음악경험에 있어서는 감상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음악을 접하는 경로에 있어서는 일반 20대는 스마트폰·음원사이트를 주로 이용하는 반면 새터민들은 TV와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선호곡 300곡은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장르와 가사 내용, 음악 요소 중 음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중음악의 장르는 새터민 그룹에서는 댄스, 발라드, 트로트 등 주류음악 장르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고, 일반 그룹에서는 락, 알앤비, 포크, 힙합/랩, 인디 등 비주류 장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사내용에 있어서는 두 그룹에서 모두 사랑을 주제로 한 곡들에 대한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일반 그룹은 새터민 그룹에 비해 인생, 사회현실 등 다양한 주제에 선호가 분포되어 나타났다. 음악요소 중 음색에 있어서는 새터민 그룹은 MIDI, 전자 음색에 대한 선호가, 일반 그룹은 어쿠스틱 음색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개인의 음악선호 요인을 고려하여 살펴보았을 때, 20대 새터민 및 일반 성인 집단이 갖는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 선호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대 새터민들의 사회 정착과 적응 과정에서의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현재 음악의 기능과 역할을 보여주는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새터민 성인의 음악적 선호, 음악적 특성에 대한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explores Koreans’ taste in music and points out the differences in music preference between two groups:South Koreans in their twent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in their twenties. The experiment included interviewing Seoul and Gyeonggi residents who are in their twenties. A total of 60 participants — thirty South Koreans and 30 North Korean refugees — engaged in the study. All were asked to identify their music activities, music experiences, and their music channel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music differentl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dentify a list of their favorite songs, and the study analyzes and highlights how the two groups differ in their music preference. In terms of musical characteristics, both groups indicated that most are not engaged in extracurricular musical activities. Regarding their musical channels, most South Koreans listened to music through smart phones and streaming.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refugees used TV and internet to listen to music. In this process, 300 songs were cross analyzed and the various responses regarding genre, song lyrics, and tones wer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reside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The findings show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enjoyed main stream music which includes dance, ballad, and trot. In contrast, South Koreans preferred rock, R&B, folk, hip-hop/rap, indie, and other non-stream music. Regarding the responses to lyrics, both groups most positively responded to the topic of love, but compared to the refugees, the South Koreans also favored topics on life, society, and other realistic topics. In terms of tone,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preferred electronic, whereas the South Koreans enjoyed acoustical tones. The different responses in the two groups may suggest the differences in the groups’ cultural aspects and psychological views. The study determines that music enables and supports North Korean refugees to adjust to their new life as they face cultural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n South Korea. It also serves as a basic resource depicting the music prefer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